• 제목/요약/키워드: NDF

검색결과 1,007건 처리시간 0.032초

Orchargrass - Red Clover 단순혼파초지의 시비수준이 목초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P-K Levels on the Herbage Yield and Quality of Orchargrass - Red Clover Mixtures)

  • 이형석;이인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7-315
    • /
    • 1994
  • 본 연구는 휴경지 및 완경사지를 잡약적인 방법으로 초지를 조성하여 단기간(3~6년)에 걸쳐 목초생산성을 증진하는데 자적을 두고 orchardgrass(OG)-red clover(RC) 단순혼파초지의 관리 및 이용체계를 확립하고자 1991년에서 1993년까지 3년간 N-P-K 시비수준 6처리를 두어 (0-0-0-, 50-100-100, 100-150-150, 200-250-250, 300-250-250kg/ha)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P-K 시비수준의 높아짐에 따라 처리구에서 OG의 건물수량은 현저히 증가된 반면에 RC의 건물수량은 감소되었다(P<0.01). 3년 평균 - 건물수량은 N-P-K 300-350-350kg/ha 수준에서 13,082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200-250-250kg/ha와 150-200-200kg/ha수준에서 각각 10,664kg과 10,564kg을 얻었으나 두 수준간에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 식생구성비율 N-P-K 시비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OG는 증가되었고 반면에 RC는 감소되었다. 3년차 최종 예취시 식생구성비율은 ha당 N-P-K 시비수준이 0-0-0-일 때 OGdkh RC의 비율이 20%:80%인데 비해 150-200-200kg/ha에서는 60%:40% 이었고 300-350-350kg/ha 수준에서는 84%:16%이었다. 3. CP 함량 및 DMD는 N-P-K 시비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RC의 식생구성비율 감소로 인해 낮아졌으며(P<0.05) 반대로 NDF gkaifd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P<0.01). 4. CP 및 DDM 함량은 N-P-K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3년 평균 CP 및 DDM 함량은 300-350-350kg/ha 수준(1,847 및 9,391kg)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200-250-250kg/ha(1,651 및 7,774kg) 150-200-200kg/ha(1,676 및 7,757kg) 수준이었으나 두 처리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OG-RC 단순혼파초지에서의 N-P-K시비수준은 건물수량과 CP DDM 함량으로 보면 300-350-350kg/ha일 때 가장 높았으나 RC의 식생구성비율 수준 및 투입된 비료 가격을 기초로 초지에서의 목초생산비용을 고려할 때 OG-RC 단순혼파초지에서의 N-P-K시비수준은 150-200-200kg/hark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새로운 유지작물 기름골의 재배기술과 사료가치 (Studies on the Cultivation Technique and Evaluation of Forage Resources for a New Oil Crop Chufa(Cyperus esculentus L.))

  • 성병렬;김종근;김원호;박희운;방진기;송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3-170
    • /
    • 2004
  • 새로 도입된 기름골의 적정 질소 시비량, 재식거리 및 파종기를 규명함과 동시에 수확 후 농업부산물인 경엽의 사료가치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기름골의 질소시비에 대한 반응이 둔감하여 질소 시용량이 많을수록 생괴경의 수량이 감소되었으며, 질소의 적정시비량은 10kg/10a 정도이며, 적정 재식거리는 휴폭 50cm, 주간거리 15∼20cm로 하여, 1본 2립씩 파종하는 것이 생괴경 수량성이 높곤 파종기는 파종전 5일간 침종한 후 5월 10일경에 파종할 경우 초장이 길고, 주당 괴경수도 많았다. 또한, 기름골 수집종의 사료 가치 평가에서 초장은 평균 126cm, $\m^2$당 경수는 671개, 도복은 중 정도이었으며, 괴경 수확 후 잎의 10a당 생초수량은 2,135kg, 건물수량은 590kg 정도이었으며, 사료가치는, 경엽의 조단백질 함량은 볏짚보다 약 2배 정도 높고 조지방도 다소 높으며 가축의 기호성은 볏짚과 비슷하였다. 그리고, 사일리지 품질특성 중 ADF 값은 볏짚보다 낮으며, NDF 및 가소화 양분 총량은 거의 같았고, 소화율은 11% 정도 높으므로서, 기름골 부산물인 경엽은 조사료로서의 이용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인정된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화산 101호'의 생육단계별 생산성 및 사료가치 변화 (Change in Dry Matter Yields and Feed Values of Italian Ryegrass, Hwasan 101,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최기준;임영철;지희정;이상훈;이기원;김동관;서성;김기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7-112
    • /
    • 2011
  • 본 시험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 만생종의 생육단계별 건물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히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수원지역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만생종인 '화산101호'의 생육단계는 수양기, 출수시, 수전기 및 개화기가 각각 5월8일, 5월 18일, 5월 28일 및 6월 3일이었다. 생육단계별 건물 및 가소화영양소 총량은 수잉기에서 개화기까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건물수량은 수잉기(4,818 kg/ha)에서 출수시(7,244 kg/ha) 까지 10일 사이에 50%까지 증가하였다. 생육단계별 조단백질 함량은 수잉기 18.32%, 출수시 15.12%, 수전기 12.58% 및 개화기 12.36%로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수전기와 개화기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NDF와 ADF의 함량은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TDN와 IVDMD 함량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수전기에서 개화기 사이에는 사료가치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탈이란 라이그라스 만생종인 '화성 101호'의 알맞은 수확시기는 수전기에서 개화기 사이에 하는 것이 조사료 생상성 향상에 유리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take, digestibility, and performance of lambs fed spineless cactus cv. Orelha de Elefante Mexicana

  • Lopes, Levi Auto;de Andrade Ferreira, Marcelo;Batista, Angela Maria Vieira;Maciel, Michel do Vale;Barbosa, Rodrigo de Andrade;Munhame, Joana Albino;da Silva, Tomas Guilherme Pereira;Cardoso, Daniel Barros;Veras, Antonia Sherlanea Chaves;de Carvalho, Francisco Fernando Ramo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8호
    • /
    • pp.1284-1291
    • /
    • 2020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armine cochineal-resistant spineless cactus genotypes cv. Orelha de Elefante Mexicana (Opuntia) and Miúda (Nopalea) on the intake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gestive behavior, performance, and ultrasound measurements of growing lambs. Methods: Thirty-six male (non-castrated) Santa Inês lambs were used, with an average age of 6 months and an initial average weight of 22.0±2.9 kg. They were distribu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3 treatments (Tifton hay, Nopalea and Opuntia) and 12 replications, using initial weight as a covariate. The experimental period was 86 days, with the first 30 days used for the adaptation of the animals to the facilities, diets and management, and the remaining 56 days used for evaluation and data collection. Results: The intake and appar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crude protein (CP),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otal carbohydrates (TC), non-fibrous carbohydrates (NFC),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as a function of the diets, with the Nopalea treatment (p<0.05) increasing DM intake (g/kg and % body weight [BW]), CP, TDN, and TC digestibility, whereas the Tifton hay diet led to a high (p<0.001) neutral detergent fiber corrected for ash and protein (NDFap) g/d intake, NDFap (BW %) and digestibility of said nutrient. There was no effect of treatments (p>0.05) on feeding time, however, rumination time and total chewing time were higher (p<0.05) for animals fed Tifton hay. The performance of the animals was similar (p>0.05). For the ultrasound measurements, Nopalea promoted an increase in the final loin eye area, compared to Tifton hay. Conclusion: The use of spineless cactus variety Miúda leads to the greater intake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The evaluated carmine cochineal-resistant spineless cactus genotypes are alternatives for semi-arid regions as they do not negativ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growing lambs.

주정박 사일리지 제조시 인삼박의 혼합이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ng Ginseng Meal on the Quality of Distillers Feed Silage)

  • 이수기;이인덕;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1호
    • /
    • pp.27-3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타피오카 주정박에 인삼박을 혼합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였을 때, 사일리지의 품질 (시험 I)과 건물 섭취량 및 소화율 (시험 II)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일리지 조제시 수분함량을 낮추기 위하여 소맥피를 10% 수준으로 첨가하였으며, 인삼박의 혼합비율은 원물기준으로 0, 15 및 30% 수준 (3 처리)으로 하였다. 처리당 5반복으로 20kg 씩 비닐백에 넣고 공기를 배제하여 포장한 후 $20{\sim}25^{\circ}C$에서 30일간 숙성시켜 공시하였다. 시험 II의 소화 시험에서는 10개월령의 재래산양 수컷 12두 (평균체중 14 kg)를 공시하여서 처리당 4반복이 되게 하였다. 7일 동안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 5일간 소화율을 조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삼박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NDF 및 ADF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인삼박 30% 첨가구는 인상박 무첨가구와 인삼박 15% 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0.05). 그리고 조지방 함량과 hemicellulose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 pH는 인삼박을 혼합하므로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삼박 처리구간에 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젖산 함량은 인삼박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많아졌으며(P<0.05), 총산도 인삼박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은 결과를 나타냈다. 초산은 인삼박 30% 첨가구가 유의하게 적었다. 한편 낙산은 인삼박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P<0.05). 3. 사일리지의 섭취량은 인삼박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건물 소화율은 인삼박을 많이 혼합할수록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주정박에 인삼박을 혼합하여 사일리지를 조제하는 것은 주정박 만으로 조제할 때 보다 더 좋은 품질의 사일리지를 만들 수 있으며, 기타 유사 재료에 대해서도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Feed Value of IRG in Middle Region Using UAV

  • Na, Sang-Il;Kim, Young-Jin;Park, Chan-Won;So, Kyu-Ho;Park, Jae-Moon;Lee, Kyung-D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91-400
    • /
    • 2017
  • Italian ryegrass (IRG)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grasses available to farmers. It offers rapid establishment and starts growing early in the following spring and has fast regrowth after defoliation. So, IRG can be utilized as the dominant/single species of grass used in a farming system, or to play a role as a large producing pasture and sacrificial paddoc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or the evaluation of feed value of IRG. For this study, UAV imagery was taken on the Nonsan regions two times during the IRG growing seas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NDVI_{UAV}$ and feed value parameters such as fresh matter yield, dry matter yield,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and crude protein at the season of harve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NDVI_{UAV}$ and feed value parameters of IRG revealed that $NDVI_{UAV}$ correlated well with crude protein (r = 0.745), and fresh matter yield (r = 0.655).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the variation of $NDVI_{UAV}$ was significant to interpret feed value parameters of IRG. Eight different regression models such as Linear, Logarithmic, Inverse, Quadratic, Cubic, Power, S, and Exponential model were used to estimate IRG feed value parameters. The S and exponential model provided more accurate results to predict fresh matter yield and crude protein than other models based o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p- and F-value. The spatial distribution map of feed values in IRG plot was in strong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in terms of geographical variation and relative numerical values when $NDVI_{UAV}$ was applied to regression equation. These lead to the resul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ariations in feed value of IRG according to $NDVI_{UAV}$ were well reflected in the model.

옥수수주정박이 산란계의 생산성, 영양소이용율 및 분 암모니아 방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on Producti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Fecal Ammonia Emission in Laying Hens)

  • 신명호;유한진;이학림;이수기;이봉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137-145
    • /
    • 2008
  • 본 시험은 옥수수 주정박(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의 산란계용 배합사료에 첨가시 산란계의 생산성 및 영양소 대사율, 계분의 암모니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3주령의 Hy-line Brown 계통의 산란계 216수에 DDGS를 0% 함유한 사료를 대조구(T1)로 하고, 대조구와 동에너지(TMEn 2,780 kcal/kg)-동단백질(17.0%)이 되게끔 DDGS를 각각 10%(T2), 20%(T3) 첨가한 3가지 사료를 10주간 급이하였다. 시험설계는 3처리 6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임의 배치법을 사용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난생산 사료요구율, 영양소대사율 및 계분의 암모니아 발생을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난생산 사료요구율 등의 산란 생산성은 모든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영양소 대사율에 있어 건물의 대사율의 경우 DDGS를 첨가한 처리구들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조지방과 NDF의 대사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가용무질소물의 대사율은 DDGS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Ca과 P의 대사율은 DDGS 첨가구들과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계분의 암모니아 발생은 DDGS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암모니아 발생이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산란계사료에서 DDGS를 10~20%까지 옥수수-대두박을 대체하여 사용할 경우, 건물과 NFE 대사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산란성적에 아무런 영향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미숙 온주밀감을 이용한 통 밀감 분말과 착즙액의 성분함량 및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jor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Whole Fruit Powder and Juice Prepared from Premature Mandarin Orange)

  • 강영주;양민호;고원준;박승림;이봉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83-788
    • /
    • 2005
  • 매년 제주지역에서 적과에 의하여 발생하는 미숙과 5-10만톤을 자원화하기 위하여 8, 9, 10월에 수집된 미숙감귤을 마쇄한 후 전자파 가열건조한 통 밀감 분말과 착즙 액에 대하여 적과 시기별 일반성분, 식이섬유, 유리 당, 유기산, flavonoid 분석을 하였다. 숙도가 높을수록 미숙감귤분말의 지방, 회분, 단백질, 총산은 감소하였으나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식이섬유는 총 식이섬유(TDF)가 8월 53.1%, 9월 49.7%, 10월 39.9%로 함량이 높으며, 중성 식이섬유(NDF), 산성 식이섬유(ADF)의 경우도 숙도가 낮을수록 함량이 높았고 착즙 액은 모두 1% 이내로 적었으며 시기별 차이도 뚜렷치 않았다. Flavonoid는 미숙감귤분말의 narirutin과 hesperidin이 각각 8월 1317.8mg% 및 6129.5mg%에서 10월 881.0mg% 및 44221.2mg%로 감소하였으며 neohesperidin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 당은 숙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높아·졌으며 8월의 경우 glucose>fructose>sucrose순이었으나, 10월로 갈수록 sucrose>fructose>glucose순으로 변하였다. 유기산은 미숙감귤분말의 경우 citric acid가 8월 27.86%에서 10월 11.41%로 낮아졌고 ascorbic acid는 0.081%에서 0.12%로 미량이지만 과실이 익어갈수록 높아졌으며 착즙액도 길은 경향을 보였다 총 polyphenol과 전자공여작용은 미숙감귤분말과 착즙 액이 각각 8월 21.7mg%과 78.2mg% 및 44.2% 및 61.6%로 숙도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8월 미숙감귤분말 추출액과 미숙감귤 착즙 액의 각각 아질산염소거작용은 8월 미숙감귤분말의 경우 pH 1.2에서 57.2%의 비교적 높은 소거 능을 보였다. 따라서 미숙 통밀감 분말은 식이섬유 및 flavonoid 소재원으로 이용 가능성이 있다.

청보리 품종의 적정 수확시기 및 사료가치 평가 (Effect of Harvest Time and Cultivar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 윤성근;박태일;서재환;김경훈;송태화;박기훈;한옥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1-128
    • /
    • 2009
  • 이 연구는 사료용 청보리 전용품종들의 수확 시기별 수량과 품질을 검토하여 적정 수확 및 이용시기를 도출하고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시험은 수확시기를 주구로 5회 (출수기로부터 7일 간격), 품종을 세구로 4품종 ('영양', '우호', '유연', '다미')을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배치하여 실시하였고,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지상부 이삭비율은 출수기 이후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28 일에는 전체 건물중의 44%를 차지하였다. 건물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 하였는데, 출수기에 4,185 kg/ha에서 출수 후 28얼에 8,997 kg/ha이였으며, 품종별 평균수량은 영양보리가 펑균 7,431kg/ha로 가장 많았고, 유연보리가 6,052 kg/ha로 가장 적였다. TDN 수량은 수확시기 및 품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출수기에 2,657 kg/ha에서 출수 후 28일에 5,957 kg/ha으호 증가하였고, 품종별 평균수량은 영양보리가 평균 4,654 kg/ha로 가장 많았고, 유연보리가 3,800kg/ha로 가장 적었다. 전체적으로 영양보리는 건물수량이 많았고, 우호보리는 NDF와 ADF 함량이 낮았으며, 단백질과 TDN 함량이 높았고, 유연보리는 낮은 수량 및 사료가치를 보였다. 이들의 적정 수확시기는 품종간 차이는 있으나 출수 후 30일 전후였다.

충남지역 논 재배에 적합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 선발 (Selection of Silage Corn Hybrids for Paddy Field in Chungnam Region)

  • 나승연;지희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3-360
    • /
    • 2011
  • 본 시험은 중부지방에 배수가 불량한 논에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를 파종하여 논 재배에서 적응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여 양질의 조사료를 생산할 목적으로 충남 서천농가의 배수가 불량한 논에서 수행하였다. 국내육성 4품종과 도입품종 14품종 등 18품종을 시험한 결과 생육 특성면에서는 P32T83이 경직경이 15.1 mm로 굵고 착수고가 57 cm로 낮으며, 당도가 $12B^{\circ}$로 높고 생초수량이 ha당 55,220 kg, 건물수량이 19,680 kg, TDN 수량이 13,280 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DF 및 NDF 함량이 낮고, 건물소화율도 81.9%로 가장 높게 나타나 사료가치도 우수하였다. 다음으로 NC7117이 경직경이 15.5 cm로 굵고 생초수량이 ha 당 50,890 kg, 건물수량이 19,110 kg, TDN 수량이 12,160 kg으로 양호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보여 밭작물 옥수수와 같은 수준의 수량 및 품질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진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을 논에 재배하면 밭 재배에서와 같은 수준의 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