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CS Curriculum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7초

해외 우수사례를 통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aboratory curriculum Model of the foundation NCS through exemplary international cases)

  • 김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73-683
    • /
    • 2016
  •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은, 국가와 산업계가 주도하여 개발 인증 고시한 NCS를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교육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목적달성을 위해 교육기관은, 급변하는 산업현장에 적응할 수 있고 산업체의 요구에 부합된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결하여야 한다. 고등교육법 제47조는 전문대학의 존립목적을 설명하고 있고, 이는 산업발전이 국가사회발전과 관련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과 동일하다. 이러한 전문대학의 교육목표와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산업체와 대학의 효율적이고도 긴밀한 협력구조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우리나라 전문대학들의 산학협력모델을 분석하고,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에 부합하는 모델을 찾음과 동시에, 해외 우수대학의 뛰어난 산학협력모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과 'NCS 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프로세스와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은, ''NCS 기반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산업현장에 부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대학과 산업체가 효과적인 협력구조를 가지고 각자의 목표를 추구하도록 돕는다. '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은, 대학의 취업률 향상과 산업체의 우수인력확보를 가능하도록 하며, 효율적 대학교육과 우수인력양성을 통한 국내 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업계 고교 NCS 기반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과제 (The Actual Situation and Task that The Industrial Area Highschools Organiz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Based Curriculum)

  • 이영민;임유화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2-43
    • /
    • 2016
  • 이 연구는 공업계 고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NCS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및 전문계학과를 설치한 일반고를 포함하여 총 583개교를 대상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였고, 그 중 283개 단위학교의 공업분야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파악된 문제점은 첫째, 산업분야별 인력수요 전망을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기준학과를 설치하지 못했다는 점. 둘째, 공업분야 특성화고의 경우 실무과목의 수와 과목당 평균단위수가 다른 특성화고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학습모듈 활용, 교수학습방법 개발 및 교원 역량 강화 방안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 셋째, 공업분야 특성화고의 전문교과 담당교사의 수업부담이 더 증가한다는 점, 넷째, 인력양성목표와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약하다는 점, 다섯째, NCS 실무과목을 3학년에 집중 편성함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균형잡힌 학습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었다. 공업계 고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이 선순환적으로 작동하고 안착하기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역량 향상과 Career Path(진로경로)를 고려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NCS 학습모듈 내용을 재구조화해야 한다. 셋째, NCS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하여 모듈식 교수학습방법 등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연구 적용해야 한다. 넷째, 교원의 역할변화로 요구되는 추가역량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교원의 수업부담 경감방안과 수업역량 강화방안을 확립하여야 한다.

직업계고 교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연구 (A Study on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NCS based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안재영;이찬주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01-127
    • /
    • 2018
  • 이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는데 교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구명하고 이 역량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에서의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은 4개의 대영역, 11개의 중영역, 35개의 요소로 구명되었다. 요구 및 환경 분석(대영역 1)은 2개의 중영역인 요구 분석, 학습 환경 분석으로, 교육과정 편성(대영역 2)은 4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 유형 설정,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 선정,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으로, 교육과정 운영(대영역 3)은 3개의 중영역인 교수 학습 준비, 교수 학습 실행, 교수 학습 평가로, 교육과정 평가 및 피드백(대영역 4)은 2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 피드백으로 구성된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는 교수 학습 실행(19.6%), 교수 학습 평가(14.2%), 교육과정 평가(12.5%), 교육과정 피드백(11.2%), 교수 학습 준비(9.2%),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8.6%),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 선정(7.5%),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유형 설정(6.6%), 학습 환경 분석(5.4%), 요구 분석(3.9%),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1.5%)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H사이버대학 부동산도시미래학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 Focus on the Case of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Urban Future at Hanyang Cyber University)

  • 함남혁;김재준;여옥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694-711
    • /
    • 2016
  •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좋은 자원이다. 최근 4년제 대학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계 수요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전문대학, 폴리텍대학 등 직업교육훈련기관에서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4년제 대학의 국가직무능력활용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NCS는 기존 교육과정을 보완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NCS 기반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 과정, NCS 기반 교과목 운영, 학습자 피드백.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NCS 도입을 고려하는 4년제 대학 및 사이버대학에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NCS기반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의 NCS확산연구 (A Study on the Diffusion of NCS-based Curriculum in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 최연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21-231
    • /
    • 2020
  • 우리나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직무능력은 현업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스킬이나 기술 외에도 조직의 구성원으로 갖추고 있어야 할 공통능력,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NCS기반 교육관련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NCS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각 개별 NCS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포함되어야 할 직무능력 구성요인, NCS 도입 및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핵심요인,NCS기반 교육·훈련과정의 긍정적 효과 및 부정적 효과 등으로 구분하여 간략히 요약해 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 확산의 당위성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또한 상당한 관련 데이터가 축적되고 NCS확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한국산업인력공단과 NCS 웹사이트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의 교육강화 측면에서의 몇 가지 제안점을 제시한다.

전문대학 응급구조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methods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in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 홍성기;고봉연;이정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3-97
    • /
    • 2015
  • Purpose: Although appointed as a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based reserves department,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an NCS-based emergency department, is mainly focused on subject deduction for a NCS-based curriculum. Methods: Job models were formed and verified by combining the competency unit of NCS and the duty of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based on the development procedure indicated in the guidelines for a NCS-based curriculum. The mapping method of the subject was performed by deducting necessary competency units (duty) and competency unit elements (task) by connecting with the composition items of NCS and DACUM. Results: Job models combined with job analysis for the NCS and DACUM were reduced to 13 competency units (duty) and 79 competency unit elements (task). A modified method such as the 1:N method was mainly applied as a subject-matching method with consideration of the competency level and size of the competency unit. Conclusion: It would be a desirable direction to develop a NCS-based curriculum in the center of the practice su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ompetency unit and competency level of the competency unit element. The existing curriculum should be promoted as a field-oriented curriculum at the complementary level.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교수자의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jor Courses Operation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of Instructor)

  • 권선영;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9-149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NCS를 적용한 교과목을 실제로 운영한 교수자들의 경험을 FGI 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NCS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현장에 도입된 NCS에 대해 교수자들은 전반적으로 NCS의 취지와 배경을 잘 알고 있었고, 문헌정보학 NCS 교과과정에 대해 직무요소 도출의 비 적절성, 실제 교육 및 실무현장의 의견 미반영, NCS 분류체계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NCS 교과 운영 경험에서는 산출물 서류 작업의 부담감, 평가의 방법이나 시기의 차별성, 학생과의 의사소통 필요성에 대한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NCS 교과 운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업인원 및 교육시간의 부여 필요성, 추가 교육시간 및 재평가의 필요성, NCS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실습기자재의 구비 필요성, 상대평가제도와 NCS 평가제도와의 불일치 문제, 교육현장 및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능력단위와 수행준거의 보완 필요성 등을 제기하였다. 넷째, 향후 NCS 교과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수업인원의 적절한 배정, 실습기자재의 충분한 지원,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수성 및 현장 실무와 경험을 반영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전공에서 향후 NCS에 기반을 둔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의 선택 동기가 NCS교육과정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Selection Motivation of Security-related Department Students on NCS Curriculum and Career Decision)

  • 최정일;장예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59-166
    • /
    • 2018
  • 본 연구는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의 선택 동기가 NCS교육과정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첫째, 전공 선택 동기, 둘째, NCS 교육과정, 셋째, 진로결정"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변수의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Chronbach's Alpha 계수를 제시하고 베리맥스Berimax 방식을 수행하였다. 측정항목들의 AVE와 CR 수치가 모두 기준치인 0.5와 0.7 이상으로 산출되어 항목들의 집중타당성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설검증결과 표준화계수가 '선택 동기 ⇨ NCS 교육과정'는 0.563로, 'NCS 교육과정 ⇨ 진로결정'는 1.339로 산출되어 두 가설의 관계가 양(+)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서는 선택 동기를 높여주고 NCS 교육과정의 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컴퓨터공학 교과과정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of Computer Engineering based on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권오영;장경식;민준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7-76
    • /
    • 2015
  •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은 근로자가 자신의 직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을 도출하여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이다. 4년제 대학의 경우 NCS를 활용한 교과과정 개편에 관한 가시적인 계획은 없는 상황이나 대학교 교과과정의 현장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고, NCS에 기반한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도입등으로 4년제 대학교 교과과정에 NCS가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4년제 대학교 컴퓨터공학전공을 참조하여 NCS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NCS를 활용하여 교과과정을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공업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의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Effectiv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강철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1-1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에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가능성과 기대 효과, 그리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의 전문교과 교원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를 기반으로한 인력 양성 및 활용 정책이 긍정적인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이 학교 교육과정에 적용될 필요성이 크다고 인식한 반면, 2016학년도부터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 운영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무리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산업체 교육 요구 분석, 산업체 직무 기반의 교육목표 및 내용 설정, 산업체 직무 기반의 평가, 교원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역량 향상, 산학협력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측면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인식한 반면,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학교 운영 측면에서는 실습기자재 재정비 및 확충, 실습수업의 대상 학생을 15~20명 수준으로 감축, 교원의 현장 교육 역량 강화, 교원 수급 지원, 산학협력에 기반한 현장 중심 교육의 내실화, 학습모듈 등 NCS 기반 교재의 정규 교과서화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유관기관의 지원 방안 측면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취업 지원 및 현장 교육의 제공, NCS 능력단위별 현장 교수 지원,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터한 현장 실무 교육프로젝트의 제공, 산업체의 직무능력 평가제 도입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