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CL 회로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파워 스위치 구조를 결합한 비동기 회로 설계 (Asynchronous Circuit Design Combined with Power Switch Structure)

  • 김경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7-25
    • /
    • 2016
  • 본 논문은 동기회로에서 누설 전류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되는 파워 스위치 구조를 결합한 새로운 구조의 저전력 비동기 회로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Static 방식, Semi-static 방식과 같은 기존의 지연 무관방식의 비동기 방식과 비교해서 다소 속도의 손해는 있지만, 파워 스위치에 의해서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는 누설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전체 사이즈가 작아짐으로써 데이터가 입력되는 순간의 스위칭 전력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속도보다 저전력을 기본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전전력 설계 방법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방식의 비동기 회로를 사용하여 $4{\times}4$곱셈기를 0.11um 공정으로 설계하고, 기존의 비동기 방식의 곱셈기와 스피드, 누설 전류, 스위칭 파워, 회로 크기 등을 비교하였다.

Coupling Reaction of CO2 with Epoxides by Binary Catalytic System of Lewis Acids and Onium Salts

  • Bok, Taekki;Noh, Eun Kyung;Lee, Bun Yeou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8호
    • /
    • pp.1171-1174
    • /
    • 2006
  • Various off-the-shelf Lewis acids in conjunction with various onium salts are screened for coupling reaction of $CO_2$ with epoxides. Among the tested ones, $VCl_3/n-Bu_4NOAc$, $VCl_3/(n-Bu_4NCl$ or PPNCl), $FeCl_3/ n-Bu_4NOAc$, and $FeCl_3/ n-Bu_4NOAc$are proved to be highly active. Propylene oxide, epichlorohydrin, styrene oxide, and cyclohexene oxide can be converted over 90% yields to the corresponding cyclic carbonates without the use of organic solvents under mild conditions by 0.1-1.0 mol% catalyst charge.

Synthesis of Tetracyclic 5-Azaindole Analogues by Palladium-Catalyzed Sequential Annulation

  • Sung, Nack-Do;Yang, Ok-Kyung;Kang, Song-Su;Yum, Eul-Kg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9호
    • /
    • pp.1351-1354
    • /
    • 2004
  • Tetracyclic 5-azaindole analogues were prepared by palladium-catalyzed sequential annulation of benzylidene(3-iodopyridinyl-4-yl)amine and 1-aryl substituted internal alkynes under $Pd(OAc)_2,\;n-Bu_4NCl,\;and Et_3N\;at\;120^{\circ}C.$ The synthetic procedure showed possible diversification of tetracyclic 5-azaindole analogues by varying the 1-aryl substituent in internal alkynes.

Cytotoxic C-Benzylated Chalcone and Other Constituents of Ellipeiopsis cherrevensis

  • Wirasathien, Lalita;Pengsuparp, Thitima;Moriyasu, Masataka;Kawanishi, Kazuko;Suttisri, Rutt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6호
    • /
    • pp.497-502
    • /
    • 2006
  • A new natural C-benzylated chalcone, $2',4'-dihydroxy-3'-(2-hydroxybenzyl)-6{\c}-methoxychalcone$ (2), along with two other flavonoids, tiliroside and kaempferol 3-O-rutinoside, and an oxoaporphine alkaloid, lanuginosine were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Ellipeiopsis cherrevensis (Annonaceae). Two known polyoxygenated cyclohexene derivatives, ferrudiol and zeylenol, and a new analog, ellipeiopsol D, were also isolated. The chalcone 2 exhibited cytotoxic activity against human small-cell lung-cancer (NCl-H187), epidermoid carcinoma (KB) and breast cancer (BC) cell lines with $IC_{50}$ values of 1.40, 5.31 and $13.92\;{\mu}g/mL$, respectively. This compound also showed antimalarial activity against Plasmodium falciparum with an $IC_{50}$ value of $7.1\;{\mu}g/mL$ as well as antimicrobacterial activity against Mycobacterium tuberculosis with a MIC of 25 mg/m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rmatan Sulfate from Eel Skin. Anguilla japonica

  • Lee, In-Seon;Sakai-Shinobu;Kim, Wan-Seok;Nakamura-Ayako;Imanari-Toshio;Toida-Toshihiko;Kim, Yeong-Shi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16.1-316.1
    • /
    • 2002
  • Dermatan sulfate (DS) was isolated from eel skin (Anguilla japonica) bv actinase and endonuclease digeslions followed by ${\beta}$-elimination reaction and DEAE-Sephacel chromatography. DS was a major glycosaminoglycan in eel skin with 88% of the total uronic acid. The content of IdoA2S$\alpha$1longrightarrow4GalNAc4S sequence in eel skin. which is known to be a binding site to heparin cofactor II. was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dermatan sulfate from porcine skin. The anti-lla activity of eel skin dermatan sulfate mediated through heparin cofactor ll(NCL) was 25 units/mg. whereas DS from porcine skin shows 23.2 units/mg.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was determined as 14 kDa by gel chromatography on a TSKgel G3000SWXL column. Based on H1 NMR spectroscopy. we suggest that 3-sulfated and/or 2.3-sulfated ldoA residues are present in the chain.

  • PDF

Dimethyl Sulfoxide-물 混合溶媒中에서 Tetraethylammonium Chloride의 分몰容積 및 粘度에 관한 硏究 (Partial Molal Volume and Viscosity of Tetraethylammonium Chloride in Dimethyl Sulfoxide-Water Mixtures)

  • 조병린;이영자;이익춘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0
    • /
    • 1975
  • 여러 組成의 dimethyl sulfoxide(DMSO)-물 混合溶媒中에 tetraethylammonium chloride$((C_2H_5)_4NCl)$의 分몰容積 및 相對粘度를 $30^{\circ}C$에서 測定하였다. 그 結果로 부터 DMSO의 몰分率이 0.2${\sim}$0.3인 組成에서 溶媒構造가 가장 强化된 상태임을 알았으며 이것은 粘度에 關한 Jones-ole式(${\eta}_r=1+AC^{1/2}$+BC)의 A-係數의 最小値 및 B-係數의 最大値의 現象을 나타낸다. 또한 DMSO의 몰分率 이 0.4${\sim}$0.5인 組成에서는 溶媒構造가 가장 파괴된 상태로서 $Cl^-$의 强한 electrostriction 效果로 因한 收縮으로 分몰容積이 最小値이며, 粘度 B-係數가 最小로 나타남을 알았다. 그리고 limiting effective flowing volume $V_e^{\circ}$와 粘度 B-係數와의 사이에 B=2.5$V_e^{\circ}$의 관分率계가 近似的으로 成立함을 確認하였다.

  • PDF

대한해협에서 표층 뜰개 이동 예측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the Surface Drifter Trajectories in the Korean Strait)

  • 하승윤;윤한삼;김영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1-18
    • /
    • 2022
  • 본 연구는 대한해협 인근 입자추적 예측 기법의 정확도 개선을 위해서 해수유동 수치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만든 입자추적 모델과 현장 관측 자료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 입자 추적 모델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세부 연구 방법으로는 대한해협에서 관측된 표층 뜰개 이동 궤적 자료, 3개 관측소(가거도, 거제도, 교본초 관측소)의 조위 및 바람자료를 학습시켜 만든 기계 학습(선형 회귀, 의사결정나무) 기반 예측자료, 수치모델 예측자료(ROMS, MOHID)를 3가지 오차평가방법(CC, RMSE, NCLS)을 통해 비교하였다. 최종 결과로서 CC와 RMSE에서는 의사결정나무 모델의 예측 정확도가 가장 우수하였고 NCLS에서는 MOHID 모델의 예측 결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AI 기법을 활용한 제주도 남서부 해역의 입자추적 예측 연구 (AI-Based Particle Position Prediction Near Southwestern Area of Jeju Island)

  • 하승윤;김희준;곽경일;김영택;윤한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72-81
    • /
    • 2022
  • 본 연구는 제주도 남서부 해역의 표류체 이동 예측을 위해 2020년 8월 제주도 남서부 5개 지점에서 투하된 표층 뜰개 위치자료와 수치모델 예측자료를 학습자료로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입자추적 모델 5개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AI 기법은 기계학습 3종(Extra Trees, LightGBM, Support Vector Machine)과 딥러닝 2종(DNN, RBFN)이다. 또한 해수유동 수치모델 입자추적 예측자료 1종 및 AI 기법 입자추적 예측자료 5종을 표층 뜰개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각 예측모델별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6종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5개 정점에 대한 3개 스킬량(MAE, RMSE, NCLS)의 평균값을 비교 검토하였다. 최종적인 결과로서 딥러닝 DNN 모델이 MAE, RMSE, NCLS에서 다른 모델보다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요크셔종의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 Traits in Yorkshire)

  • 송광림;김병우;노승희;선두원;김효선;이득환;전진태;이정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41-52
    • /
    • 2010
  •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05년까지 K GGP 종돈장에서 농장검정된 Yorkshire종 16,202두의 산육형질자료 를 근거로 다변량 통계모옇을 이용한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모수를 추정 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된 모든 산육형질에 대해 성, 출생년도, 출생계절, 산차 및 생시체중의 효과는 고도의 유의성(p<0.01)을 나타내었다. 산육형질에 대한 생시체중 그룹의 효과는 생시 체중이 높은 그룹일수록 일당증체량 및 정육율은 높아지는 반면, 90 kg 도달일령, 등지방 두께 및 등심단면적은 결과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시체중이 높은 그룹이 복 평균개체중과 복 총체중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력의 경우 복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유전력 보다 10~30%까지 낮게 추정되었다. 복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유전력 및 복의 효과를 고려한 유전력 결과는 각각 일당증체량이 0.468, 0.328, 90 kg 도달일령이 0.474, 0.326, 등지방 두께가 0.452, 0.396, 등심단면적이 0.240, 0.200, 정육율의 경우 0.458, 0.380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최근 연구문헌의 자료 및 유전모수추정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확한 유전모수 추정을 위해 분석시 복의 효과를 고려한 모델식을 적용하여 육종가의 정확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혼합용매계에 대한 아민염의 전기전도도에 관한 연구. 메탄올-물 혼합계에 대한 메틸암모늄염의 전도도 (A Study on Conductance Behaviors of Amine Salts in the Binary Solvent Mixtures. Methylammonium Chlorides in Methanol-Water Mixtures at $25^{\circ}C$)

  • 윤상기;김봉규;엄태섭;박종열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5-192
    • /
    • 1976
  • 여러가지 조성의 메탄올-물 혼합용매와 물에 대한 몇가지 아민염의 당량전도도 (${\Lambda}$)를 $25^{\circ}C$에서 측정하였다. 즉 0.0${\sim}$0.6 몰분율(m.f.)까지의 메탄올-물 혼합용매와 물에 대하여 염화암모늄과 1급에서 4급 암모늄염에 이르는 4가지 메틸암모늄염화물의 당량전도도를 0.01 ${\sim}$ 0.04 M 농도범위에서 측정하고 Fuoss-Onsager의 반이론식으로서 극한당량전도도(${\Lambda}_0$)를 구하였다. 실험결과는 용매조성 및 염의 종류에 따른 극한당량전도도의 변화에 대하여 논의되었다. 즉 아민염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인 현상으로 특이한 점은 메탄올의 농도가 커짐에 따라 ${\Lambda}_0$는 줄어드는데 그 줄어드는 크기가 물에 가까울 수록 크고 0.4 m. f.에서 극소값을 보였다. 또한 염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Lambda}_0$는 줄어들고 동일한 실험조건에서 대응하는 n-아민염에 대하여 측정된 ${\Lambda}_0$값보다 크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현상들은 용매와 용질의 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같은 용매계에서 관측된 분몰랄부피 현상과 극히 닮았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