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 behavior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3초

D상 유화물을 이용한 W/O 유화물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W/O Emulsion by D Phase Emulsification)

  • 김형진;정노희;윤영균;박관선;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32
    • /
    • 1998
  • The emulsion stability of W/O emulsion prepared by D phase emulsification during storage and handling is studied by using phase diagrams. The process of D phase emulsification begins with the formation of isotropic surfactant solution, followed by formation of oil-in-surfactant (O/D) gel emulsion by dispersion of octamethylcyclotetrasiloxane(OMCS) in the surfactant solution. Polyols were essential components for this purpose.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polyols, the solution behavior of nonionic surfactant/oil/water/polyol systems were investigated by the ternary phase diagrams of polyoxyethylene oleyl ether/OMCS/propylene glycol(PG) aqueous solutions. The addition of PG increased the solubility of oil in the isotropic surfactant phase. D phase emulsification method has been applied to a new type of cosmetics. By using this emulsification technique, O/W emulsion were formed without a need for adjust of HLB. Fine and stable W/O emulsions were prepared by D phase emulsion.

농촌관광기반의 지속가능한 마을정비 유형의 설정 (A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scheme of rural villages considering infrastructure for rural tourism)

  • 김대식;권용대;최수명;임창수
    • 농촌계획
    • /
    • 제11권1호
    • /
    • pp.45-53
    • /
    • 2005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rural village development policy considering tourists' stay pattern and villages' resources which can be infrastructure for green-tourism. For this purpose, a relationship table between amenity resources and the stay pattern was developed as a guide line to combine a set of several facilities fer village renewal. The amenity resources system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classes(social, industrial, and natural/cultural/historical resources) and a relationship diagram between three classes and tourists' behavior was also defined. The table and diagram were applied to make renewal plan for 40 rural villages of the study area, Bukmyun, Cheonan, Chungnam province, so that the development scheme for the villages was suggested reasonably by the new findings of this study.

DEPRESSION: CELLULAR AND PHYSIOLOGICAL CONSEQUENCES OF STRESS (ANTIDEPRESSANT EFFECT OF SEROTONIN N-ACETYLTRANSFERASE INHIBITOR)

  • Kim Kyong-Tai
    • 한국식품영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ood,Nutrition and Health for 21st Century
    • /
    • pp.22-37
    • /
    • 2001
  • Melatonin is secreted during the hours of darkness and is thought to influence the circadian and seasonal timing of a variety of physiological processes. Serotonin N-acetyltransferase (AA-NAT) which is found to be expressed in pineal gland, retina, and various tissues, catalyses the conversion of serotonin to N-acetylserotonin and is known as the rate-limiting enzyme in the biosynthetic pathway of melatonin. The compounds that modulate the activity of AA-NAT can be used to treat serotonin-and melatonin-related diseases such as insomnia, depression and seasonal affective disorders (SAD). Several assay methods have been developed by which to measure AA-NAT activity. We have also developed a simple, rapid and sensitive AA-NAT assay method that takes advantage of differences in the organic solubilities between acetyl CoA and N-acetyltryptamine. We screened modulators of AA-NAT activity from the water extracts of the medicinal plants. We found MNP1005 which strongly inhibited the activity of AA-NAT ($IC_{50}$=2.2$\mu$M). Enzyme inhibitory kinetic studies revealed that MNP1005 exhibited a noncompetitive inhibition toward tryptamine.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MNP1005 was investigated on behavioral despair test so called forced swimming test (FST). MNP1005 significantly increased swimming behavior by reducing immobility with treatment of 10 mg/kg when compared to the vehicle-treated control group (P < 0.05). This suggests that MNP1005 possesses antidepressant activity. The influence of chronic MNP1005 treatment on the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was examined by in situ hybridization and Northern blot. Chronic treatment of MNP1005 blocked the downregulation of BDNF mRNA in the frontal cortex and other cortex regions in response to restraint stress.

  • PDF

마이크로-나노 구조가 있는 표면에서의 액적 계면 거동 현상에 대한 연구 (Interfacial Behavior of Water Droplet on Micro-Nano Structured Surfaces)

  • 곽호재;유동인;김무환;박현선;키요후미 모리야마;안호선;김동억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5호
    • /
    • pp.449-453
    • /
    • 2015
  • 최근 표면개질을 통한 젖음성 향상을 위하여, 마이크로와 나노 구조가 계층적(hierarchical)으로 존재하는 표면에 대한 연구가 공학 및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계층적구조가 존재하는 표면에서 초친수성(super-hydrophillic)은 대개 물방울(water droplet)의 계면 거동에 의해 그 특성이 확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친수성 표면위에서의 물방울 계면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토리소그래피(photo lithography)공정과 건식 식각공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표면을 제작하였으며, 실험 표면에서의 계면 거동은 초고속카메라로 가시화하였다. 가시화 자료를 바탕으로, 물방울 계면거동은 표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및 나노구조의 지형학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이부프로펜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고체분산체 제조방법에 따른 물리화학적 성질 및 용출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Release Behavior of Ibuprofen Solid Dispersion with Cellulose Acetate Prepared with Various Methods)

  • 이은용;오명준;김세호;성경열;이영현;김수진;서한솔;이동원;강길선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13-118
    • /
    • 2011
  • 고체분산체는 난용성약물의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기술로 용출특성을 고분자의 성질, 고분자의 함량 및 물리화학적 성질에 의하여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부프로펜과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분무건조와 로터리 증발법을 사용하여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고체분산체의 표면성질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X선 회절기(X-RD)와 사치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결정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고체분산체의 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적외선 분광기(FTIR) 분석을 하였으며, 수분 친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분접촉각 측정을 하였다. 용출 특성은 인공정액(pH 6.8) 및 인공위액 (pH 1.2)에서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약물의 결정성은 고분자의 비율이 증가하면 결정성이 감소하였으며, 화학적 변화는 없었다. 수분 친화도는 고분자비율과 비례하였으며, 분무건조로 제조된 고체분산체의 경우가 조금 높은 수분 친화도를 가졌다. 용출실험 결과 인공위액에서는 고분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용출률이 증가하였으며, 인공장액에서의 용출속도는 고분자의 비율과 반비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망둥어의 일종(一種), Gobiosoma bosci의 세력권점유(勢力圈占有) 생태(生態) (The territorial behavior of the naked goby, Gobiosonia bosci, (Pisces: Gobiidae))

  • 석규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08-216
    • /
    • 1993
  • 망둑어의 일종인 Gobiosoma bosci의 세력권 점유행동을 실험실에서 24시간마다 관찰을 하였다. 각 개체들은 크기나 성별에 관계없이 접근 위협 공격, 그리고 싸우는 세력권을 유지하기 위한 적대행동을 보였다. 실험동물의 체색변화는 실험기간동안 계속적으로 변하였으며, 점유자와 침입자의 크기가 비슷한 경우 싸우는 시간이 길었으며 체색의 변화가 심하였다.

  • PDF

음의 푸아송비를 갖도록 변환된 와이어 직조 Kagome (A Wire-Woven Kagome Transformed to have a Negative Poisson's Ratio)

  • 강대승;한승철;박종우;;강기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9호
    • /
    • pp.827-833
    • /
    • 2016
  • 와이어 직조 Kagome는 와이어로 직조된 Periodic Cellular Metal의 일종으로서 Kagome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와이어 직조 Kagome는 무게 대비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가지면서 대량 생산에도 큰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alpha}$-cristobalite 구조적 특성을 모사하여 음의 푸아송비를 갖는 새로운 직조 구조체를 개발하였다. 와이어 직조 Kagome를 제작한 후 사면체 단위셀 부분을 강구와Epoxy를 이용하여 채우고, 초기 변형을 주어 시편을 제작하였다. 또한 FEA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작 가능성을 확인하고, 실제 제작한 구조체를 대상으로 기계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원전 안전 3 등급 고밀도 폴리에틸렌 매설 배관 맞대기 열 융착부의 인장 피로특성 평가 (Study on Tensile Fatigue Behavior of Thermal Butt Fusion in Safety Class III High-Density Polyethylene Buried Piping in Nuclear Power Plants)

  • 김종성;이영주;오영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1호
    • /
    • pp.11-17
    • /
    • 2015
  • 최근에 원자력 발전소 안전 3 등급 배관에 적용되고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배관은 융착표면을가열한 후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열 융착 공정을 이용하여 맞대기 융착되어진다. 이러한 열 융착공정은 맞대기 융착부에 비드 형상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비드 형상의 응력집중에 기인하여 피로수명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피로거동에 미치는 맞대기 열 융착부 비드의 효과를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응력 제어 조건 하의 인장 피로 시험과 유한요소 탄성응력 해석을 수행하여 맞대기 열 융착부의 인장 피로 거동을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중주기 및 고주기 피로 영역에선 피로수명에 미치는 비드의 영향이 미미한 반면 저주기 피로 영역에선 비드의 존재가 피로 수명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보호 튜브의 풀림 거동 및 하중 예측 (Unwinding Behavior of and Load Prediction for Protective Tube Around Fiber-Optic Cable)

  • 김건우;이재욱;김형렬;유완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3호
    • /
    • pp.235-241
    • /
    • 2014
  • 심해 군사 작전에서 유도체의 타격 성능 향상은 모함과 유도체가 광 케이블을 통하여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때 광 케이블은 엉킴 및 절단과 같은 풀림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튜브에 의해 보호된다. 또한 보호 튜브는 전단 핀에 의해 유도체와 연결되며, 전단 핀의 파손에 의해 유도체는 보호 튜브와 분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도체 및 보호 튜브를 모델링하고, 유도체의 운동에 따른 보호 튜브의 풀림 거동을 분석하며 전단 핀에 작용하는 동적 하중을 예측한다. 유도체와 보호 튜브는 질점으로 구성하며, 일정 길이 구속으로 연결한다. 전단 핀에 작용하는 하중은 실험 결과와 비교 검증하며, 이를 바탕으로 보호 튜브의 거동을 예측한다.

주왕산국립공원의 이용자 행태조사 (Surveying Visitors′ Behavior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김용근;최성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0-166
    • /
    • 1995
  • 주왕산국립공원의 이용객 행태조사는 1994년 8월 3일부터 5일까지 자체개발한 설문지를 가지고 현장에서 실시하여 총 346명의 이용객이 참여하였다. 이용객 경제적 특성은 남자가 65%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으며, 교육정도는 대졸 이상이 63%로 교육수준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왕산국립공원의 탐방경험에서는 97%가 주왕산 이외의 국립공원을 방문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방문동기는 자연경관을 감상하는 목적이 가장 높았으며, 동반자 특성은 50%의 응답자는 가족과 함께, 그리고 36%는 친구와 함께 방문하였다. 응답자의 51%는 한나절 이용객이었으며, 응답자의 18%는 도시락을 준비하였었다. 일반적으로 방문객들은 국립공원의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주왕산국립공원의 환경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쓰레기를 불법투기하는 6가지의 이유 중에서 무의식중에 버린다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환경이 버려져 있으므로 버린다는 환경탓에 의한 경우였다 대부분의 방문객은 남이 하는 환경훼손행위 에 대해 직접 나서서 시정하는 ‘끼어들기 행태’를 좋아하지 않았다. 가상적인 딜레마에서 공원의 규칙을 지키려는 의도가 강하면, 반대로 규칙을 어겨도 된다는 의도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