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7초

클래식 음악 연주복에 대한 의복 태도와 디자인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Clothing Attitude and the Design Preference at Playing Costume of Classic Music)

  • 변지현;김미영
    • 복식
    • /
    • 제55권8호
    • /
    • pp.99-111
    • /
    • 2005
  • The research analyzed the clothing attitude which it follows in type of performance musical instrument and a design preference moral difference. The result which tries to observe the clothing attitude which it follows in type of performance musical instrument and a design preference moral difference, it was visible a difference little by little. When comparison it tries the design which it prefers but consequently most in type of performance musical instrument, the big difference is not born and not to be putting the difference of the preference design which it follows in type of musical instrument specific your neck line, color, and silhouette of the vocal musician or wind music performer. When seeing whole, the clothing attitude regarding a performance luck compared to considered seriously an aesthetic pursuit and a convenient characteristic and harmonious, there design preference is the clothes which have no sleeve, neckline like camisole, black and pastel color, design with lots of decorations, princess silhouette, and they prefer the fabrics which have softness to it. Now, I want to introduce restriction of this research and proposal. First, the fundamental research of performance's clothes is insufficient with restricted point and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is difficult, second, it was difficult to stretch the whole market for performers because of limitation for research volunteers. Only few volunteers are from college who are majoring in music.

한국 아쟁(牙箏)과 중국 알쟁(軋箏)의 악기학적 고찰 (Consideration of Korean Ajaeng and Chinese Yazheng Based on Organology)

  • 이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217-226
    • /
    • 2020
  • 아쟁(牙箏)은 현재까지 원형적인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동아시아의 지터류 찰현악기로 전통음악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오늘날 창작 국악에서도 중요한 악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음악사적 연구의 자료가 충분치 않아 악기학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아쟁의 악기학적 고찰을 위해 역사적으로 유래가 같은 중국 알쟁(軋箏)의 문헌기록과 음악도상(圖像)자료 등을 통해 지터류 찰현악기의 기원, 악기의 형태, 연주자세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국 알쟁과 한국 아쟁은 중국의 고대 전통악기인 축(筑)의 한 형태가 기원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류 지터류 찰현악기이지만 중국의 알쟁은 연주되는 목적과 장소에 따라 악기 형태가 달랐고, 연주자세도 서서 어깨에 고정시키거나 악기를 지면에 수평으로 고정시켜 연주하는 방법이 있었다. 한국의 아쟁은 고려 때 중국에서 전해진 악기의 형태와 바닥에 앉아서 받침대 위에 악기를 놓고 연주하는 방식이 지금까지도 큰 변화 없이 전승되어 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악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음악사적 의의를 찾아봄으로써 전통음악과 국악기에 대한 보존과 발전을 위해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한국과 중국 전통악기 연구자들의 학문적 교류와 공동연구를 통해 악기학에 대한 다각도적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양금의 음악도상학적 고찰 (A Study on the Musical Iconography Consideration of Yanggeum)

  • 이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85-95
    • /
    • 2020
  • 악기(樂器)는 음악을 연주하는 데 쓰이는 기구로서 뿐만 아니라 음악적, 역사적 또는 사회적 맥락에서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양금은 사다리꼴 모양의 몸통 위에 줄을 괘에 얹어 채를 이용하여 현을 쳐서 연주하는 타현악기(打絃樂器)로 고대 아라비아와 페르시아에서 기원하여 세계 여러 지역에서 창조적으로 계승되어 연주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나 연주법의 변화 없이 원형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한국 전통양금을 음악도상학(音樂圖像學, Musical Iconography)적 연구 방법을 통해 악기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악기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악기 본연의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악기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음악도상학적 방법을 통한 연구를 통해 악기연구가 보다 다층적인 면에서 활성화되고 음악학의 영역이 더욱 폭넓은 측면에서 다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Prevalence of Playing-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Player

  • Kim, Jung Yong;Min, Seung Nam;Cho, Young Jin;Choi, Jun Hyeok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49-756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 player using a variety of traditional classical instruments: Gayageum, Geomungo, Ajaeng, Haegeum, Daegeum, Piri and Samul instruments. Background: A large percentage of instrument players have suffered from the musculoskeletal pain of each body parts.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players. Method: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a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musculoskeletal disorders was develop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parts: demographic factors, performance factors, musculoskeletal disorders symptoms, musculoskeletal disorder experience. For the survey, 118 expert players participated.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Results: Th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 severe pain from musculoskeletal disorders were observed at neck, shoulder, back and knee. The musculoskeletal experience was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factor of body height in Gayageum and Geomungo. In addition, the musculoskeletal experience in Geomungo was related to age and career. However, the musculoskeletal experience in Ajaeng and Haegeum was only related to the factor of hobby. The musculoskeletal experience in Daegeum and Piri was related to stretching.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musculoskeletal experience and sex in Daegum. In Samul instrument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at age, BMI, career and stretching. Conclusion: The symptoms of playing-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players were prevalently observed at neck, shoulder, back and knee. In addition, these symptoms were related to the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body height, BMI, career, sex, hobby and stretching.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preliminary data for preventing the musculoskeletal injuries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players.

사회적 기술 훈련 기반 악기연주의 지적 장애 아동에 대한 사회성 개선 효과 (Social Skill Training Base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SST-MIP) Program Improves Socia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홍금나;김현석;최민주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3
    • /
    • 2024
  • 배경: 언어적 소통이 어려운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비언어적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목적: 지적 장애 아동의 사회성을 개선하기 위한 음악 치료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임상적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음악치료에서의 기존의 악기 연주와 사회적 기술을 통합하는 사회적 기술 훈련에 기반한 악기 연주(Social Skills Training base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SST-MIP) 중재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지적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임상적 효과를 평가했다. 총 51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고 무작위로 실험군 (29명)과 대조군(22명)에 배정했다. 실험군은 주 1회 50분 단위로 32주 동안 SST-MIP 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기술 수준은 SSRS (Social Skills Rating System - teacher form, elementary level)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결과: 실험군의 SSRS의 평균 점수는 10.7점에서 22.4점으로 109.2% 증가한 반면 (p <.001), 대조군은 11.3점에서 14.7점으로 상대적으로 소폭 (30.7%) 상승(p <.05)한 것으로 나타났다. SST-MIP 중재 후 실험군의 SSRS 점수는 대조군에 비해 57.2%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기술의 세부 영역인 자기 통제 79.6%, 주장 56.8%, 협력 43.2%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결론: SST-MIP는 지적 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제안된 SST-MIP는 언어적 소통이 어려운 지적 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훈련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묘제례악 소(簫)의 유입과 변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n the Influx and Change of the 'So'(簫) used in Confucian Shrine Ritual Music)

  • 조석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35호
    • /
    • pp.441-470
    • /
    • 2017
  • 본 논문은 문묘제례악 소의 유입과 변화에 관한 세 가지 쟁점을 다루었다. 첫째, 현재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쌍날개 악학궤범가(架)형의 악기는 1116년(예종 11) 송나라 대성아악이 유입될 때 함께 들어온 형태가 아니라, 공민왕 19년 명나라로부터 들여온 원나라 형태의 소이다. 대성아악이 들어온 고려 예종 당시의 송나라에는 쌍날개 악학궤범가형의 배소가 아직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는 원나라 때 처음 등장한다. 이후의 시기인 공민왕 때 '소'와 함께 '배소'라는 이름의 새로운 악기명이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연유로 해서 이 '배소'가 지금의 쌍날개 악학궤범가형의 악기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둘째, "악학궤범"에 기록된 조선시대 소의 형태는 비록 중국의 것을 따르고 있지만, 그 음고와 배열은 12율 4청성의 음역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음률이 높아지는 배열로 현재까지 그 원형의 맥을 잇고 있다. 중국의 16관 배소는 12율 4배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로 8율과 8려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한국의 쌍날개 악학궤범가형 16관 배소는 12율 4청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율관의 길이와는 무관하게 좌에서 우로 황종부터 청협종까지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셋째, 1930년대에 이르러 '악학궤범"과 전체적인 형태는 같으나 관 사이가 붙은 것과 관 사이가 떨어진 것으로 존재하였고, 이후로는 현재 경북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것과 문묘제례악에 사용되는 악기에서 보듯 관 사이가 떨어진 악기만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관 사이가 떨어진 형태는 악기학적 관점에서 볼 때 퇴보한 형태이며, 역사적으로도 연결고리를 갖지 못한다. 어떠한 연유로 소가 이처럼 변모하였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악기학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에서 "악학궤범"의 우리화(化)된 소의 형태를 다시금 정립하는 것이 마땅하다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Pulmonary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mateur Wind Instrument Players and Choir Members

  • Baek, Jeong Yun;Kim, Joong Hwi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4권5호
    • /
    • pp.248-25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effect of amateur wind musical performance and choir activity on pulmonary function, and to determine the usefulness as a respiration training program by measuring the pulmonary functions of subjects. Methods: A total of 90 subjects (wind instrument players group=30, choir members group=30, control group=30)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Pulmonary function test (FVC, FEV1, FEV1/FVC ratio, MVV, SVC, PEF, FEF 25-75%, IRV, ERV) was conducted using a spirometer (CardioTouch 3000S, Bionet, Seoul, Republic of Korea). Each factor was measured 3 times to meet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criteria, and the highest value was used in the analysis. Results: Comparing pulmonary function between the amateur wind instrument players (WP), amateur choir members (CH), and control (CG) group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V1, FVC, FEV1/FVC, and ERV (p<0.05). Highest values were obtained in the WP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tained for various factors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ractice year (PY), practice time per week (PTPW), and exercise time per week (ETPW): FEV1 and FVC in PY, FEV1/FVC in PTPW, and FEV1/FVC, MVV, PEF, and FEF (25-75%) in ETPW. Conclusion: Amateu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effectively improves lung function and is useful as a breathing training program for preventing debilitation and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치료적 악기 연주 적용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우세손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sing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 (TIMP) in Uninvolved Hand Function for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한송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8권1호
    • /
    • pp.1-16
    • /
    • 2011
  • 본 연구는 치료적 악기연주 훈련에 참여한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우세손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뇌성마비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11~12세 아동 3명을 대상으로 3주간 12회기~15회기에 걸쳐 매회 20분 동안 실시되었다. 아동의 손기능은 Jebsen Hand Function Test(젭슨 손 기능 평가), Box and Block Test(상자와 나무토막검사)로 사전, 사후에 측정되었고,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는 사전, 중간, 사후에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아동 모두 Jebsen Hand Function Test 손기능 점수와 Box and Block Test 기민성 점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개별 손가락의 타력과 독립적인 움직임을 보기 위한 MIDI 평가에서 A, B 아동의 건반을 누르는 손가락의 타력이 향상된 반면 C아동의 타력은 감소되었다. 이는 치료적 악기연주 훈련이 아동들의 우세손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치료적 악기연주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손기능 재활훈련의 한 부분으로 접근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그 의의를 갖는다.

악기별 분리처리를 통한 고음질 오디오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High-Quality Audio System with the Separately Processed Musical Instrument Channels)

  • 김태훈;이상학;김대경;이상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6-35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노래반주기를 위한 고음질 오디오 시스템 구현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노래반주기의 중요한 기능인 키/템포 변환 음질의 개선을 위하여 악기별 채널 분리를 수행하였다. 악기별로 채널을 분리하여 처리함으로 고음질의 변환이 수행됨을 상관계수의 변화와 MOS 평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구현된 오디오 시스템은 TI사의 32비트 부동 소수점과 고정 소수점 연산이 모두 가능한 DSP인 TMS320C6747를 이용하였으며 다채널의 WMA 복호화, MP3 부호화와 복호화, wav, EQ 및 템포/키 변환을 실시간으로 수행 가능하다. WMA 10채널로 구성되어 악기별 분리 처리가 가능도록 하였다. 또한 MP3 부호화/복호화는 녹음과 재생 기능으로 이용되고 wav 채널은 효과음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보로부두르 주악도와 한국의 불교 악가무 (The musical Iconography of Borobudur and today's performance culture in Indonesia)

  • 윤소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637-667
    • /
    • 2019
  • 8~9세기 무렵 인도네시아는 세계3대 불교 유적에 드는 보로부두르 대탑을 건설하였지만 오늘날 인도네시아에서 불교신자를 만날 수가 없고, 인구 대부분이 무슬림이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이슬람적 사회·문화 풍토 속에 불교적 산물인 보로부두르의 공연 예술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를 현지 조사를 통하여 조명해 보았다. 불교왕국이었던 샤일렌드라왕조는 사라졌지만 그들의 문화는 이어지는 힌두왕조와 융합적 관계를 유지하며 존속하였다. 16~17세기 인도네시아에 이슬람이 유입될 당시 합리적 온건주의인 수니파 독경사(讀經師)들은 기존의 신행을 문화로 포용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까지도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아랍풍 이름 보다 "쉬리, 라마, 시타, 아르주나"와 같은 인도풍 이름과 함께 라마야나 주인공들이 행하는 인도문화적 덕목을 추구하고 있다. 오늘날 인도네시아의 불교 인구는 1%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보로부두르에 새겨진 주악도는 인도네시아의 공연 문화 곳곳에서 발견되었다. 보로부두르 부조에 보이는 궁중악사의 춤사위와 똑 같은 동작으로 춤 추는 악인들이 있었고, 각종의 공연예술에서도 부로부두르의 주악도를 연상시키는 모습들이 발견되었다. 그런가하면 한국의 사찰에서 발견되는 긴나라나 가루다, 간다르바 등, 힌두 신화속 뮤즈들이 같으면서도 다른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인도네시아의 가믈란은 종교의식 및 궁중·마을 행사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그림자극, 인형극, 타악 앙상블 등 여러 장르로 분파되었다. 이는 대부분의 전통 공연이 무속을 비롯한 기타 종교의식에서 출발하여 공연예술화 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한국 사찰에서의 법기 타주와 이에 수반되는 의례악가무는 조선시대 억불을 맞아 걸립패와 유랑악사들의 탁발의 도구가 되었고, 오늘날 풍물놀이, 사물놀이 및 기타 공연예술의 자양분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인도네시아의 타악합주 가믈란과 한국불교의 법구 타주는 다양한 예술장르를 파생 시키는 문화 예술의 원류로써 중요한 키워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