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usical Iconography Consideration of Yanggeum

양금의 음악도상학적 고찰

  • Lee, You-Jung (Department of Traditional Korean Music,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 이유정 (원광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
  • Received : 2020.01.23
  • Accepted : 2020.02.25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An Instruments are not only for musical usage, but also for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e yanggeum instrument began to be played in Persia before the 10th century and is played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It has been handed over for many years and played creatively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region. In this paper, we will learn about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yanggeum, which preserves its original shape without any change in form or technique, through a method of musical iconography. As a method of musical Iconography for the musical instruments, we examined the data on the drawings and compared it with the literature, focusing on the origin, form and performance of the instrument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not only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instrument research, but also help understand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instrument.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musical instruments will be done in many different ways and that the realm of musical science will be approached widely.

악기(樂器)는 음악을 연주하는 데 쓰이는 기구로서 뿐만 아니라 음악적, 역사적 또는 사회적 맥락에서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양금은 사다리꼴 모양의 몸통 위에 줄을 괘에 얹어 채를 이용하여 현을 쳐서 연주하는 타현악기(打絃樂器)로 고대 아라비아와 페르시아에서 기원하여 세계 여러 지역에서 창조적으로 계승되어 연주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나 연주법의 변화 없이 원형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한국 전통양금을 음악도상학(音樂圖像學, Musical Iconography)적 연구 방법을 통해 악기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악기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악기 본연의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악기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음악도상학적 방법을 통한 연구를 통해 악기연구가 보다 다층적인 면에서 활성화되고 음악학의 영역이 더욱 폭넓은 측면에서 다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周少婧, 从 "洋琴"到 "扬琴", 上海音乐学院, p. 2, 2010.
  2. 이영진, 인간과 악기, 모토폴리, p. 30, 2016.
  3. 국립국악원, 한국과 유럽 악기로 만나다, 국립국악원, 2014.
  4. 송방송, 한겨례음악대사전, 보고사, pp. 1115-1116, 2012.
  5. H. S. Kim, Socio-cultural Meaning of Ethnic Instruments in Contemporary Singapore, Journal of the Music and Culture, Vol. 17, p. 117, 2007.
  6. 홍정수, 허영한, 오희숙, 이석원, 음악학, 심설당, p. 139, 2004.
  7. Y. J. Kim and B. H. Kang, A Study on Foreigners' Acceptance Responding onto Intention of Hallyu Contents Production -Focusing on Events in Istanbul Gyeong-Ju Culture Expositio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10, No. 5, p. 32, 2016.
  8. 조석연, 양금(덜시머)의 유형과 기원에 관한 연구, 韓國音樂史學報, Vol. 41, p. 143, 2008.
  9. 吴琼, 清代扬琴考, 武汉音乐学院, 硕士, 2013.
  10. 안미선, 겨레 전통 도감 국악기, 토박이, pp. 70-72, 2009.
  11. 郭蔷华, 扬琴在清代的传播与接受, 武汉音乐学院民乐系, 硕士, p. 75, 2012.
  12. S. H. An, The research about the origin and flow in Yang-Geum, Journal of the Korean Music and Education, Vol. 27, 2009.
  13. J. W. Song, The Meaning of Musical Realization of Chosun Chunghwaism and the Adoption of Culture and Science of the Ching China, Journal of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Vol. 11, p. 242, 1999.
  14. X. H. Liu and M. M. Yang, Comparative Study on the Spring Festival Custom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11, No. 2, p. 58, 2017.
  15. 이한나, 근대기 사진 자료에 나타나는 양금 검토-연주 구성 및 자세를 중심으로-, 한국퉁소연구회, pp. 235-273, 2013.
  16. 이한나, 근대기 양금 명인 김상순(金相淳)의 음악활동 고찰,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14.
  17. 국립국악원, 한국의 악기, 돌베개, pp. 190-211,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