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al Marketing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3초

뮤지컬 <디에>의 마케팅 성공이 중국 뮤지컬 발전에 끼친 영향 (The Influence of the Marketing Success of the Musical in the Chinese Musical Industry)

  • 황표;한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83-393
    • /
    • 2021
  • 본고는 중국 뮤지컬 역사상 최초로 세계 뮤지컬 시장에 진출한 <디에>의 마케팅 성공요인을 분석하였고, <디에>의 성공이 중국 뮤지컬 발전에 끼친 긍정적인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먼저 뮤지컬 마케팅의 중요한 다섯가지 요소를 분석기준으로 정하였고, 이를 통해 중국 뮤지컬 <디에>의 성공 원인을 분석한 결과 '포지셔닝', '티켓 프로모션', 'PR 전략', '프로듀서', 'OSMU' 기법 등에 있어서 체계적인 전략 수립에 의한 마케팅 추진이 이루어졌음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중국 뮤지컬에 있어서 <디에>의 사례는 전문적인 마케팅에 의한 최초의 성공사례라고 볼 수 있으며, 이 같은 성과의 영향으로 중국 정부와 지자체의 뮤지컬 지원 제도들이 수립되었고 최근 몇 년 간 중국 뮤지컬은 질적인 면과 산업적인 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뮤지컬과 관련된 더 많은 학술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향후 작품성과 상품성을 고루 갖춘 뮤지컬 작품이 창출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로 쓰여 지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뮤지컬 관객의 시장세분화 연구 - 국내 대학생 관객을 중심으로 - (Market Segmentation of Musical Audience -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

  • 신혜선;김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31-144
    • /
    • 2006
  • 본 연구는 최근에 크게 성장하고 있는 뮤지컬 산업을 대상으로 뮤지컬의 주요 관객층인 대학생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시장별 특성을 파악하며, 각 세분시장별 마케팅전략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뮤지컬 기업의 마케터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ixture Model을 사용하여 시장을 세분화하였으며, 뮤지컬 세분시장 간 많은 유의한 세분화 변수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학생 뮤지컬 관객은 크게 4 개의 세분시장(뮤지컬 선호형, 뮤지컬 매니아형, 뮤지컬 중간형, 뮤지컬 무관심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뮤지컬을 관람하는 대학생 관객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방법에 의해 시장을 세분화한 연구로서, 뮤지컬 관객에 대한 연구자들의 객관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는 학문적 의의와 함께 실무적으로는 뮤지컬 마케터들에게 시장세분화 등 소비자지향적인 마케팅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뮤지컬 대학생 시장에 대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통찰력과 기초적인 마케팅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실무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PDF

문화콘텐츠로서 뮤지컬의 선택 및 만족요인 (Choice & Satisfaction Factors of Musical as Culture Contents)

  • 최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5-214
    • /
    • 2011
  • 본 연구는 뮤지컬의 선택요인 및 만족요인을 규명하고, 이 두 요인 간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뮤지컬 <김종욱 찾기>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선택요인과 만족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선택요인이 만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뮤지컬 선택 요인으로는 가격 및 시설, 제작연출, 마케팅, 작품성, OSMU 등 다섯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뮤지컬 만족 요인으로는 제작사 및 광고신뢰, 예술적 표현, 출연진의 조화, 주연배우의 수준 등 네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뮤지컬 선택요인이 만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관람객은 공연 가격 및 시설수준이 적합하다고 생각할수록 해당 공연에 대한 높은 만족을 기대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리고 제작연출 및 작품성을 기준으로 공연을 선택한 관객일수록 예술적 표현을 중요한 만족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연의 품질에 비해 과장된 마케팅은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뮤지컬 공연의 기획 및 제작, 마케팅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시사한다고 하겠다.

만화 소재 뮤지컬에 있어서 만화특성의 지속성과 변형에 대한 시론적 연구 (Continuity and Transformation of the Cartoon Strip for the Musical Performance)

  • 임학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2호
    • /
    • pp.27-43
    • /
    • 2007
  • 이 연구는 만화 원작을 소재로 한 뮤지컬의 기획과 스토리텔링 및 마케팅체계를 분석하여 만화의 뮤지컬화 과정에서 만화의 특성이 어떻게 고려되고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만화 '위대한 캣츠비'가 '뮤지컬 '위대한 캣츠비'로 재구성된 사례를 미디어믹스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은 만화를 활용한 뮤지컬의 기획 체계, 스토리텔링구조, 캐릭터설정, 마케팅 체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만화의 세계관과 스토리텔링 체계는 뮤지컬의 기획 및 마케팅 과정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지만, 작가주의 관점보다는 관객의 수요와 몰입을 유도하기 위한 관점에서 강조와 생략 및 변형을 통해 재구조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뮤지컬의 비주얼스토리텔링 구조는 디지털영상과 무대관리, 그리고 음악을 활용하여 서사적 스토리텔링과 연결되는 종합적인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만화뮤지컬은 스토리텔링과 캐릭터 설정과정에서 명확하고 대립적인 부분을 부각시키고, 갈등과 해소, 극적 반전, 코믹요소 활동 등을 통해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만화의 시각적 이미지와 상징기호들은 뮤지컬의 디지털영상과 무대장치 및 소품 등 무대연출을 통해 뮤지컬특성에 맞게 재구성되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만화의 뮤지컬화 작업은 기획, 제작, 마케팅 과정 전반에 걸쳐서 만화의 특성을 중심축으로 뮤지컬의 특성과 산업구조를 고려하여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 PDF

서비스경영의 융복합 산업에서 온라인 가격할인과 뮤지컬 명성이 관람객의 만족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atisfaction and Re-watch Intention of Visitor in On-line Price Discounts and Musical Fame in the Convergence Industry of Service Management)

  • 임기흥;전지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157-163
    • /
    • 2015
  • 본 연구는 서비스경영의 융복합 산업에서 뮤지컬의 명성과 온라인 가격할인이 만족과 재관람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온라인 가격할인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뮤지컬의 명성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은 재관람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속적인 고객관리와 밀착 마케팅을 통하여 관객들이 재관람을 할 수 있게 끊임없이 온라인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받는 관객은 만족도가 높아지고 결국은 재관람으로 이어질 것이다.

SNS 활용여부에 따라 창작뮤지컬에 대한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w the choice attributes of creative musical has the different impact on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use of SNS)

  • 구은자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3-43
    • /
    • 2015
  •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하여 창작뮤지컬 공연을 관람하는 고객들의 창작뮤지컬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공연기획 및 홍보마케팅 시 관람객들의 창작 뮤지컬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창작뮤지컬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SNS를 활용하여 창작뮤지컬 공연을 선택하는 고객들의 경우에는 뮤지컬의 내용구성(1순위), 주연급 배우(2순위), 뮤지컬에 대한 평가(3순위), 뮤지컬의 연출(4순위)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대구성, 직원들의 서비스, 공연장에 대한 만족도, 뮤지컬 관람비용의 경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SNS를 활용하지 않고 창작 뮤지컬 공연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뮤지컬의 내용구성(1순위), 뮤지컬에 대한 평가(2순위), 뮤지컬의 연출(3순위), 주연급 배우(4순위) 순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원들의 서비스, 무대구성, 뮤지컬 관람비용, 공연장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뮤지컬에 나타난 소리(창(唱))의 수용 및 변화양상 연구 - "'국악뮤지컬집단 타루'를 중심으로" - (Studies about Acceptance of Songs or Sounds 'Sori(唱)' appeared in Musical Comedy perform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Changeable Aspects Thereof - Centering around Korean Musical Group, Taroo -)

  • 정혜원
    • 한국연극학
    • /
    • 제49호
    • /
    • pp.5-47
    • /
    • 2013
  • Among the styles of performing arts, perhaps the genre that has attracted the largest audience would be musical. Popularity of musical has brought diverse changes in our performing arts market, and, upon emerging another musical genre, called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t has been well-received by the audienc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s a word that are formed by merging two other terms such as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usical (Comedy).' In the meantime, however, it has yet some problems in order to be defined as the genre that has concrete concepts. It is because the term such as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was created being closely associated with a marketing purpose rather than a term that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a genre of performing arts. Although this new musical genre has drawn attentions of many audiences by adding 'Musical Comedy' to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was not quite popular to the public, it still does not have any established forms so that there is a fine line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and another genre like traditional style folk opera ("Changgeuk").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work called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n general, first of all, it is a performance where music and drama are played. Her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is musical is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sung. And the kin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s being sung are mainly Pansori (dramatic story-singing) and folk-songs, and, in most cas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re being used as accompanying music.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aspects of experiment centering around Korean Musical Group, Taroo. These days, various experiments has been repeated not only for the works of Taroo but other musical work presently called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also. Having encompassed overall performance factors including use of musical instruments, dance, acting, materials for drama as well as music in drama, the researcher has gone through experiments repeatedly. Meanwhile, however, the subject matters that make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mostly attractive to the audiences are music and songs or sounds. ["Sori" also called "Chang" (唱)] Particularly,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our musicals, the role of "Sori" is extremely important. The factor that plays absolutely most important role in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Sori" is the created Pansori. Since the created Pansori is composed with new rhythmic patterns and new narrative poems, it tells the present story. Also it draws good responses from the audiences owing to easy conveyance of dialogues. And, its new style brings diversification to organization of musical instruments, so then this leads to the arrangements of music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s well as instrumental music ensemble, orchestra, and jazz band, etc. Likewise, upon appearing creative musics in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professional music and vocal compositions have begun to emerge naturally. And, the song specialist and writer, of course, staffs including direction, lighting, and sounds, etc are required. That is, professional composition method are forced to be introduced to all areas. Other than this, there are many music pieces which are based on our unique songs and sounds ("Sori") and such traditional factors as use of lead singer for ceremony or chorus, and the method that puts weight on Pansori. Accordingly many things accomplished. However, it is required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go through numerous discussions and more experiment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the role of actor and actress, and their changes, and training of actor and actress further. Good news is there are good audience respons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s an open genre. As musicals are divided into several domai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ere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will be able to show its distinctive features in various styles according to embodiment.

뮤지컬 관람객의 사전지식이 관람만족 및 구전의향에 미치는 영향 - 트랜스포테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Musical Prior Knowledge, Audience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A Moderated-Mediation Analysis)

  • 원지영;정창모
    • 예술경영연구
    • /
    • 제54호
    • /
    • pp.59-93
    • /
    • 2020
  •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소비자들은 어느 때보다 상품에 관한 해박한 사전지식을 보유하게 되었다. 뮤지컬과 같은 서비스재는 무형성, 비분리성, 이질성 등으로 인해 사전지식 추구 경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공연예술 분야의 선행연구들은 관람객의 사전지식이 관람만족과 구전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으나 최근에는 사전지식이 많은 경우 오히려 상품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사전지식이 어떤 조건에서 관람만족과 구전의향을 높이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뮤지컬사전지식이 관람만족을 매개로 구전의향을 높이는 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매개경로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트랜스포테이션을 도입하여 트랜스포테이션 수준에 따라 관람만족과 구전의향이 변화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스토리로의 몰입과 동일시를 설명하는 개념인 트랜스포테이션을 도입한 이유는 뮤지컬 구성요소로서 스토리의 중요성이 크다는 선행연구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조절된 매개분석 결과, 뮤지컬사전지식이 관람만족을 통해 구전의향에 영향을 주는 매개경로는 트랜스포테이션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전지식으로 무장한 관람객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질 높은 뮤지컬스토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최초로 실증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y're Worth My Investment": Cultivating Intimacy through Fan-lead Financial and Support Initiatives among BTS Fans

  • Donabedian, Tvine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103-116
    • /
    • 2021
  • This research outlines the motivations behind the fan-lead marketing and promotional endeavours undertaken by musical group BTS's fan community, also known as ARMY. In highlighting the reciprocity in intimacy between the group and their fans, I argue that ARMY's desire to elevate BTS is embedded within structures of affect, despite the financial nature of the benefits the group and their company may reap. These fan-lead initiatives represent efforts towards a common goal, where success, whether it comes in the form of money or not, is a gift of gratitude and a show of mutual understanding from fans to BTS. Based on data from 22 interviews with fans, this research explores the motivations behind fan-lead marketing by looking at the affective properties of music consumption, the parasocial relationship, fan community dynamics, and the purchase of intimacy. Within these contexts, the promotion surrounding BTS's music, as organized by the fans, mimics profit-oriented behaviours but is ultimately a gesture towards the exchange of intimacy between fans and artist.

문화마케팅을 통한 패션업체의 브랜드 이미지 관리에 관한 연구 -패션브랜드와 문화예술 이미지 부합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ultural Marketing on Fashion Brand Image Management)

  • 황선진;이윤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3-234
    • /
    • 2008
  •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appropriate fields of culture and art supporting activities in fashion business and to propose an effective culture and art strategy on establishment of positive fashion brand attitud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2 young male and female consumers interested in fashion and culture marketing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with Independent-Sample T-Test, ANOVA, Duncan test. Also, we suggested the FBFit(Fashion Brand-Mecenat Fit) model by using Prefmap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culture art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a film, a popular music, a musical of the art and culture fields were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positive fashion brand image. Second, the consumer with recognition of culture and art support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attitude on culture and art marketing of fashion brand. Third, FBFit model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 appropriate culture and art fields for each fashion brand image. Therefore, each fashion brand has to select appropriate fields of culture and art marketing activities by considering their fashion brand image with a long term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