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Cultural Marketing on Fashion Brand Image Management

문화마케팅을 통한 패션업체의 브랜드 이미지 관리에 관한 연구 -패션브랜드와 문화예술 이미지 부합도를 중심으로-

  • Hwang, Sun-Ji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Yun-Kyung (Cultural Industry Division,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 황선진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상학과) ;
  • 이윤경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정책연구실)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appropriate fields of culture and art supporting activities in fashion business and to propose an effective culture and art strategy on establishment of positive fashion brand attitud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2 young male and female consumers interested in fashion and culture marketing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with Independent-Sample T-Test, ANOVA, Duncan test. Also, we suggested the FBFit(Fashion Brand-Mecenat Fit) model by using Prefmap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culture art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a film, a popular music, a musical of the art and culture fields were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positive fashion brand image. Second, the consumer with recognition of culture and art support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attitude on culture and art marketing of fashion brand. Third, FBFit model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n appropriate culture and art fields for each fashion brand image. Therefore, each fashion brand has to select appropriate fields of culture and art marketing activities by considering their fashion brand image with a long term perspective.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 (1994). 국내 및 외국 상표 청바지의 구매의도에 따 른 평가기준에 대한 신념과 추구 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차이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263−272
  2. 김문진, 임숙자. (1989). 상표 이미지 선호도와 패션광고 전략 에 관한 연구-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3(3), 197−206
  3. 김소영, 곽영식. (2003). 기업 이미지와 문화예술 분야 적합도 모델을 이용한 기업 메세나 전략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6(1), 103−133
  4. 김용만. (2004). 프로 스포츠팀 속성과 팀동일시, 기업동일 시 및 기업 이미지의 관계. 마케팅 연구, 19(2), 91−120
  5. 김용만, 서희정, 정희선. (2003). 기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서의 스포츠스폰서십과 메세나의 인과적 모형 비교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2(4), 461−470
  6. 김정아. (1997). 의복사용과정에서 성과평가와 감정적 경험이 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남미우. (1987). 여대생의 자아 이미지와 선호 상표 이미지 와의 일치도가 의복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문달주, 임언석. (2005). 기업 브랜드의 메세나 활동에 대한 소 비자 태도 연구: 동일시 이론의 적용. 광고학연구, 16(3), 83−117
  9. 문달주, 허웅. (2006). 문화마케팅을 활용한 명품브랜드 이 미지 구축에 관한 연구: 명품브랜드 이미지 유형과 문 화마케팅 역할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7(2), 59−82
  10. 박광배. (2003). 변량분석과 회귀분석. 서울: 학지사
  11. 소병희. (2001). 기업 메세나 활동에 관한 연구 개관. 문화경제연구, 4(2), 21−35
  12. 삼성경제연구소. (2002). 문화마케팅의 부상과 성공 전략.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3. 삼성경제연구소. (2005). 기업 메세나 활동의 현황과 과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4.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2005). 패션마케팅 (전면개정판). 서울: 수학사
  15. 이명호, 이석규, 허훈, 김경식. (2004). 외식산업의 문화스폰 서쉽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연구, 26(1), 121−147
  16. 이종구. (2001). SAS와 통계자료 분석. 서울: 학지사
  17. 이학식, 임지훈. (2004). 기업 및 대회의 개성과 기업의 대회 스폰서쉽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가을호, 19−215
  18. 장은영, 이선재. (1994). 의류상표 이미지에 의한 의복구매 과정 모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5), 749−764
  19. 채원호, 손호중. (2004). 기업 메세나의 동기와 공공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3), 525−549
  20. 태원규. (2000). 자아개념.브랜드 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 태도와의 관련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한국문화콘텐츠 진흥원. (2003). 문화콘텐츠 디자인 정책 연구. 서울: 문화관광부
  22. 한국문화콘텐츠 진흥원. (2004). C. T(Aultural Technology) 비전 및 중장기 전략 수립. 서울: 문화관광부
  23. 한동철, 김정구, 성희승. (1999). 스포츠마케팅이 소비자의 기업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연구, 14(4), 143−157
  24. Aaker, D. (1996). Building strong brand. New York: Free Press
  25. Aaker, J.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August), 347−356 https://doi.org/10.2307/3151897
  26. Bagozzi, R. P. & Burnkrant, R. E. (1979). Attitude organization and the attitude behavior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913−929
  27. Down, D. & Zinkhan, G. M. (1990). In search of brand image: A foundation analysi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 110−119
  28. Erickson, G. M., Johnsson, K., & Chao, P. (1984). Image variables in multi attribute product evaluations: Country of origin effe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 694−699 https://doi.org/10.1086/209005
  29.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tion-Wesley Publishing company
  30. Fournier, S. (1998). Consumer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March), 343−373 https://doi.org/10.1086/209515
  31. Kahn, B. E. & Louie, T. A. (1990). Effects of retraction of price promotions on brand choice behavior for varietyseeking and last-purchase-loyal consumer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3), 279−289 https://doi.org/10.2307/3172586
  32. Kotler, P. (1996). Principle of marketing. Engel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3. Rosenberg, M. J. & Hovland, C. I. (1960). Attitude organization and change. New Heaven, Conn: Yale University Press
  34.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January), 1−22

Cited by

  1. A Descriptive Study on the Purchase Timing Effect in Athletic Shoes -Focused on Day-of-the-week Effect and Intra-month Effect- vol.36, pp.4, 2012, https://doi.org/10.5850/JKSCT.2012.36.4.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