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ical Image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2초

사물인터넷(IoT)기반한 원격 악보 넘기기 시스템 연구 (A Study on Remote Automatic Flipped System for Music Score Based on IoT)

  • 강기호;이영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59-267
    • /
    • 2018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원격으로 악보를 넘기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연구이다. 음악인들이 음악을 연주할때 악기를 연주하면서 동시에 악보를 넘겨야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음악에 대한 몰입도가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IoT)기반으로 악보 자동 페이지 넘기기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시스템의 특징은 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정가능하다. 본 시스템은 블루투스(Bluetooth)를 탑재한 무선 스마트 버튼(Wireless Smart Button)과 이를 조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으로 구성된다. 스마트 버튼의 설계는 아두이노(Arduino)기반의 오픈소스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App)을 설계하여 직관적인 UI를 제안하였다.

컴퓨터 음악프로그램을 통한 창의적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A Study on the Musical Instruction-Learning Method Focusing on Creative Activities using Computer-Based Music Programmes)

  • 조정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10
    • /
    • 2011
  • 21세기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은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기본방향이다. 중등음악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시각과 청각을 함께 자극하고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음악프로그램이 교수 학습에 효과적인 매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음악프로그램의 기능을 살펴보고, 그것을 음악수업에서 창의적인 학습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음악활동 영역별로 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보프로그램인 Finale 2010과 이미지 및 동영상 편집도구로 Window MovieMaker, 그리고 소리편집의 Goldwave를 사용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창의적인 학습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 창작뮤지컬 관람동기의 중요도 연구 (A Study on IPA of Spectator Motivation in the Korean Creative Musical)

  • 구은자;이광호;김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595-1603
    • /
    • 2013
  • 본 논문은 한국창작 뮤지컬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 창작 뮤지컬의 관람동기에 관한 중요도 연구이다. 중요도 분석(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는 다 속성 모델의 각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성취도를 동시에 비교 분석하는 평가기법이다. 이 분석은 고객들이 중시하는 요소와 이들 요소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를 매트릭스 상의 좌표로 표시하여 식별하는 방법으로 고객만족은 특성 속성에 대한 고객의 기대수준과 그러한 속성에 대한 실행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 분석법을 통해 본 연구는 한국 창작뮤지컬 관람동기 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음악활동시간의 교사질문특성 탐색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 Teacher's Questions in Music Activity)

  • 임은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347-36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 teacher's questions in each context of musical activity by analyzing those questions in kindergarten music activity qualitatively. The participant in research was a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of children aged 7.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data collected for 3 months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nce note, recording material, interview material and weekly plan. As a result, the teacher's questions were leaned upon the convergent questions to confirm the reflection of inform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function in singing and performing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questions were leaned upon the diffusive questions for the thought of integration of information in composition activity and upon the diffusive questions for representing feeling or image with no relation to musical meaning in appreciation activity. However, the teacher's questions for control were conducted together with one of the questions, the question mentioned ahead. The tacit control question in singing and performing activity and the explicit control question in composition activity were conducted together, and in appreciation activity, the simple questions to lead the class, though not with the purpose to control attention, was conducted together.

그림의 색채 감정 효과를 기반으로 한 음악 생성 알고리즘 (Music Generation Algorithm based on the Color-Emotional Effect of a Painting)

  • 최희주;황정훈;류신혜;김상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765-771
    • /
    • 2020
  • To enable AI(artificial intelligence) to realize visual emotions, it attempts to create music centered on color, an element that causes emotions in paintings. Traditional image-based music production studies have a limitation in playing notes that are unrelated to the picture because of the absence of musical ele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lgorithm to set the group of music through the average color of the picture, and to produce music after adding diatonic code progression and deleting sound using median value. An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proposed algorithm were analyzed.

Comparison of Active Contour and Active Shape Approaches for Corpus Callosum Segmentation

  • Adiya, Enkhbolor;Izmantoko, Yonny S.;Choi, Heung-Kook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018-1030
    • /
    • 2013
  • The corpus callosum is the largest connective structure in the brain, and its shape and size are correlated to sex, age, brain growth and degeneration, handedness, musical ability, and neurological diseases. Manually segmenting the corpus callosum from brain magnetic resonance (MR) image is time consuming, error prone, and operator dependent. In this paper, two semi-automatic segmentation methods are present: the active contour model-based approach and the active shape model-based approach. We tested these methods on an MR image of the human brain and found that the active contour approach had better segmentation accuracy but was slower than the active shape approach.

Development of Infants Music Education Appli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 Yeon, Seunguk;Seo, Sukyo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9-76
    • /
    • 2018
  •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has rapidly been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 areas including e-learning and e-education. Focusing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ndroid tablet application, this study targeted to develop infant music education using AR technology. We used a tablet instead of personal computer because it is more easily accessible and more convenient. Our system allows infant users to play with teaching aids like blocks or puzzles to mimic musical play like game. The user sets the puzzle piece on the playground in front of the tablet and presses the play button. Then, the system extracts a region of interest among the images acquired by internal camera and separates the foreground image from the background image. The block recognition software analyzes, recognizes and shows the result using AR technology. In order to have reasonably working recognition ratio, we did experiments with more than 5,000 frames of actual playing scenarios. We found that the recognition rate can be secured up to 95%, when the threshold values are selected well using various condition parameters.

원작 '미녀와 야수'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확장성 연구 (A Study on Expandibility of Contents Using 'Beauty and the Beast')

  • 주은령;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461-468
    • /
    • 2017
  • '미녀와 야수'는 1740년 소설로 탄생해 2017년 뮤지컬 실사 영화로 현재까지 전해 내려왔다. 본 논문은 시대 배경으로 '미녀와 야수'를 분석해 봄으로써 하나의 이야기가 277년 동안 어떤 콘텐츠로 파생되고 확장됐는지를 이야기 변화와 함께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은 민담, 설화를 다 담기에 한계가 있어 '미녀와 야수' 이름으로 알려지고 기록된 유명한 콘텐츠들로 한정한다. '미녀와 야수'는 소설, 동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뮤지컬, 필름 오페라의 7가지 콘텐츠로 확장됐다. 18세기 소설로 탄생해 아동교육을 위해 동화로 만들어지고 장 콕토 감독에 의해 영화로 제작되었다. 산업혁명과 과학의 발달로 애니메이션, 드라마, 뮤지컬 콘텐츠로 파생된 '미녀와 야수'는 음악 산업의 발달과 필립 글래스의 새로운 시도로 필름 오페라로 만들어진다. '미녀와 야수'는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전 세계 리메이크 현상으로 다양한 콘텐츠로 끊임없이 재탄생 되고 있다. 이후로도 더 다양한 '미녀와 야수' 분석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해 보며 본 연구 자료가 다른 연구 자료들에 참고 자료로 기여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시설보호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증진을 위한 치료적 노래만들기 사례 (A Case Study of Therapeutic Song Making to Enhance the Self-identity of Adolescents in Residential Treatment Facility)

  • 황혜진;송인령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1호
    • /
    • pp.43-67
    • /
    • 2022
  •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향상을 목적으로 한 노래만들기 활동의 개별 음악치료 사례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쉼터에 거주하는 만 16~18세 남자 청소년 3명이다. 노래만들기 프로그램은 각 대상자별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낮은 영역을 중심으로 선율과 가사 등의 음악적 요소를 활용하여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주 1회, 각 회기별 60분씩 총 13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대상자들에게 시행되었다. 자료분석은 자아정체감 척도에 따른 하위영역별 사전, 사후 검사 결과와 회기별 언어적, 음악적 반응에 따른 변화, 사후 대상자들의 언어적 반응을 분석하는 평가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 A를 제외한 대상자 B, 대상자 C는 자아정체감 사전 척도 검사 결과에 비해 사후 결과가 향상하였으며 하위영역 별로 대상자 B는 친밀성이, 대상자 C는 주도성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회기별 언어적, 음악적 반응에서 참여 대상자 모두 자아 탐색 과정을 통해 주체성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긍정적 자아상 확립에 기여하였다. 또한 사후 언어적 반응에서 대상자 3명 모두 '나'를 주제로 한 창작곡이 자아를 탐색하고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치료적 노래만들기는 시설보호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확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공연예술축제 프로그램에 대한 소고 -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를 중심으로 - (The Review of Musical Programs in Performing Art Festival - Focus on <2017 Jeonju International Sori Festival> -)

  • 노복순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95-125
    • /
    • 2018
  • 2000년을 전후하여 지자제가 정착되면서 지역에서 크고 작은 수많은 축제들이 우후죽순으로 개최되고 있는데 해당 축제의 정체성과 목적성을 프로그램에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고는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를 지역의 공연예술축제에서 성공한 사례로 보고 그 특성과 지향을 살펴 향후 공연예술축제의 발전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집필하였다. 특히 음악프로그램에 집중하여 축제의 정체성과 기획 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구성과 내용, 의미와 지향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무엇보다도 <2017전주세계소리축제>의 가장 큰 성과는 지역의 문화자원인 판소리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여 축제의 정체성을 실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마니아와 대중들의 눈높이를 만족시켰다는 점이다. <2017전주세계소리축제>가 공연예술프로그램을 통해 구현해낸 특성은 다섯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통음악의 새로운 이미지 만들기, 둘째, 문화적 소통을 위한 탈경계화의 욕구, 셋째, 신진예술가와 지역예술가들을 위한 무대 제공, 넷째, 대중 소환의 매개체, 다섯째, 미래 잠재 관객의 스펙트럼 확장에 기여한 것으로 본다. 본고는 <2017전주세계소리축제>라는 단일 행사만을 제한적으로 분석하여 공연예술축제의 표본 모델화로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다. 추후 다양한 공연예술축제를 연구하여 <전주세계소리축제>와 비교 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