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mycelia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3초

Pathological Properties of Cryptococcus pseudolongus on the Mycelia and Fruit Body of Lentinula edodes

  • Kwon, Hyuk Woo;Kim, Seong Hwan
    • Mycobiology
    • /
    • 제49권2호
    • /
    • pp.173-182
    • /
    • 2021
  • Recently, Cryptococcus pseudolongus has been reported as a new pathogen of shiitake (Lentinula edodes). However, its pathological properties are not much known. To further understand its impact on the mushroom, we investigated the pathogen's interactions with the mycelium of shiitake, histopathological properties, host range, and sensitivity to diverse antifungal agents. The strain C. pseudolongus DUCC 4014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L. edodes strain (cultivar Sanjo 701ho) and caused browning in the mycelia confronted with the yeast on PDA. Spray inoculation of the yeast caused an abnormal browning symptom on the cap and/or gills of three shiitake cultivars grown on sawdust media in vinyl bag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images of the abnormally browned parts of shiitake fruit body illustrated that mushroom tissues were loosed and dispersed in the middle and edge of the cap and the arrangement of basidiospores borne on basidia in the gills was disturbed compared to those of normal shiitake fruit body. Spray inoculation also led to developing abnormal browning on the harvested fruit body, indicating C. pseudolongus could be a problem during mushroom storage. But the yeast was not able to induce abnormal browning on mushrooms of Pleurotus ferulae, Pleurotus fostreatus, and Agaricus bisporus. But it induced browning only on button mushroom (A. bisporus) when they were inoculated after wounding. Tests with 16 kinds of fungicides revealed that the cell growth of C. pseudolongus could be inhibited by benzalkonium chloride at MIC 7 ㎍/ml and benomyl at MIC 3 ㎍/ml.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ink oyster mushrooms (Pleurotus djamor var. roseus) grown on a paddy straw substrate

  • Raman, Jegadeesh;Lakshmanan, Hariprasath;Jang, Kab-Yeul;Oh, Minji;Oh, Youn-Lee;Im, Ji-Hoo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9-200
    • /
    • 2020
  • Pleurotus djamor var. roseus is an edible mushroom isolated from the wild and cultivated on paddy straw substrat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 djamor var. roseus at different growth stages (primordia, basidiomata, and mycelia). The protein content was is in the range of 31.48 to 35.50 g/100g dw. The crude fiber content ranged from 8.0 to 14.60 g, and that of total carbohydrates ranged from 44.75 to 48.90 g. Sodium, magnesium, and calcium reached the maximum levels in basidiomata, and selenium was detected in basidiomata and mycelia (0.47 - 0.22 mg/Kg). The amino acid profile showed that all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and glycine showed maximum levels in basidiomata and 15.98 ± 0.01 g/100g. The fatty acid profile showed the presence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maximum in all of the samples, ranging from 76 - 40.41%.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the scavenging (DPPH), ferric thiocyanate (FTC), and thiobarbituric acid (TBA)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m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primordia, basidiomata, and mycelium were determined. Among them, basidiomata and mycelial methanol extracts exhibited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Overall, these findings show that P. djamor var. roseus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for daily consumption.

원형질체 재생을 통한 느티만가닥버섯 단핵균주 선발 (Selection of parental monokaryons from Korean Hypsizigus marmoreus by protoplast regeneration)

  • 오연이;공원식;장갑열;신평균;김은선;오민지;최인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0-273
    • /
    • 2015
  • 만가닥버섯은 일본에서 가장 중요한 식용버섯이다. 그러나 배양기간이 약 85~120일로 길어서 국내에서 다른 버섯에 비해 배양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만가닥버섯 표준유전체 염기서열분석을 위하여 '해미'품종으로부터 원형질체를 분리하고 재생하여 모균주의 단핵균주를 얻었다. MCM배지 및 MYG배지에서 배양되고, 균질화된 균사체는 원형질체를 얻기 위하여 Novozyme효소를 처리하였다. 원형질체 분리의 가장 높은 효율은 MCM 배지에서 이차배양이 3일된 균사체에 2.5시간 효소처리 조건이었다. 분리된 원형질체는 재생배지에서 2주 동안 배양되어 재생되었다. 재생체는 클램프로 단핵균주를 확인하고 '해미'의 모균주의 단핵균주와 클램프 유무로 친화성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모균주의 단핵균주는 짧은 배양기간을 가진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유전적 기초자료를 완성하는 표준유전체 염기분석 재료로서 사용될 예정이다.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 식초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reparation of fermented vinegars using mushroom mycelial cultures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김정한;백일선;신복음;이용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0-234
    • /
    • 2019
  • 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이용한 식초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결과 현미에서는 29.2 mg/g이었으나 버섯 균사체 배양물에서 함량이 증가하여 상황 78.7 mg/g, 동충하초 46.6 mg/g, 노랑느타리 19.9 mg/g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충하초 배양물은 조지방과 베타글루칸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코디세핀도 0.34 mg/g 함유되어 있었다. 버섯 균사체 배양물 첨가에 따른 알코올 발효특성은 건조시료 중에서는 현미, 동충하초가 생시료 중에서는 노랑느타리의 알코올 생성능이 높았으며, 초산발효 시 산도는 건조시료에서는 노랑느타리가, 생시료에서는 현미의 산도가 높았다. 버섯 균사체 배양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결과 건조시료 중 노랑느타리와 동충하초 식초가 산도가 높고 환원당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도 평가 결과 노랑느타리와 동충하초 균사체 식초가 현미식초에 비해 기호도가 높았고 이취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 균사체 식초의 기능성분 분석결과 동충하초 식초는 폴리페놀이 우수하였고 또한, 코디세핀이 786 mg/L 함유되어 있으며, 노랑느타리 식초는 베타글루칸 함량이 20.9 mg/g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버섯 균사체를 활용한 발효식초 제조에 적합한 균으로는 동충하초와 노랑느타리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적정 초산 발효기간, 보존 방법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고균사 갈변과 관련된 BCR (Brown Color Repressor) 유전자 분리 (BCR (Brown Color Repressor) gene isolation related to mycelial browning of Lentinus edodes)

  • 김영호;박수철;전창성;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20-128
    • /
    • 2012
  • 표고균사에서 갈변시기를 조절하고 확인할 수 있는 유전공학적 시스템을 개발하여 톱밥재배용 표고균주를 조기에 선별할 수 있도록 표고균사가 갈변되는 동안 균사상태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갈변되지 않은 균사와 갈변이 완전히 이루어진 균사에서 differential displ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들 균사로부터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두 개의 1.6kb와 1.2kb의 cDNA clone을 선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 중 1.6kb의 cDNA단편은 Dugenia polichroa로부터 분리된 microsatellites 유전자와 100%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1.2kb의 cDNA 단편은 3'부위에 poly A tail과 5 부위에 partial open reading frame를 가지고 있어 이를 primer로 제작한 후 갈변되지 않은 균사와 갈변이 이루어진 균사에서 RT-PCR을 실시하여 본 결과 갈변이 되지 않은 백색의 균사에서 발현이 확인되었다. 1.2kb의 cDNA 단편의 5' 부위의 염기서열 분석은 1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partial open reading frame으로 나타났다. 이 유전자를 DNASIS database에서 상동성을 비교해 본 결과 Arabidopsis thaliata에서 분리된 dTDP-glucose 4,6-dehydratases 유전자와 DNA 수준에서는 66.7%, 아미노산 수준에서는 69.2%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갈변에 관련된 특이 유전자(BCR gene)를 확인하였다. 이 유전자는 산화 stress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어 표고 균사가 갈변될 때 repressor로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유전자를 BCR (Brown Color Repressor) 유전자라고 명명하였다.

농산부산물과 버섯 수확 후 배지가 구름버섯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ricultural and spent mushroom substrate on the mycelial growth of Trametes versicolor)

  • 장현유;문부경;서금희;이용국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24
    • /
    • 2017
  • 표고, 느타리, 큰느타리, 팽이, 노루궁뎅이 수확 후 배지에 균사 생장과 밀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서 균사 생장이 72 mm/20일이나 처리구에서 느타리 수확 후 배지 고춧대에서 73 mm/20일로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균사 밀도도 대조구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농산부산물 배지이용 버섯 균사생장과 밀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 균사 생장이 74 mm/20일, 고춧대에서 101 mm/20일로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Breeding of New Strains of Mushroom by Basidiospore Chemical Mutagenesis

  • Lee, Ji-A;Kang, Hyeon-Woo;Kim, Sang-Woo;Lee, Chang-Yun;Ro, Hyeon-Su
    • Mycobiology
    • /
    • 제39권4호
    • /
    • pp.272-277
    • /
    • 2011
  • Chemical mutagenesis of basidiospores of Hypsizygus marmoreus generated new mushroom strains. The basidospores were treated with methanesulfonate methylester, an alkylating agent, to yield 400 mutant monokaryotic mycelia. Twenty fast-growing mycelia were selected and mated each other by hyphal fusion. Fifty out of the 190 matings were successful (mating rate of 26.3%), judged by the formation of clamp connections. The mutant dikaryons were cultivated to investigate their morphological and cultivation characteristics. Mutant strains No. 3 and No. 5 showed 10% and 6% increase in fruiting body production, respectively. Eight mutant strains showed delayed and reduced primordia formation, resulting in the reduced production yield with prolonged cultivation period. The number of the fruiting bodies of mutant No. 31, which displayed reduced primordial formation, was only 15, compared to the parental number of 65. Another interesting phenotype was a fruiting body with a flattened stipe and pileus. Dikaryons generated by mating with the mutant spore No. 14 produced flat fruiting bodies. Further molecular biological studies will provide details of the mechanism. This work shows that the chemical mutagenesis approach is highly utilizable in the development of mushroom strains as well as in the generation of resources for molecular genetic studies.

곰보버섯 (Morchella spp.) 수집균주의 배양적특성 및 유전적 유연관계 (Culture characteristics and genetic relationship of morel mushroom (Morchella spp.) isolates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 민경진;박혜성;이은지;이찬중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0-10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외 수집 균주를 대상으로 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유전적 유연관계 및 균주별 함유된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곰보버섯은 생장온도 25℃, pH 7.0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균사는 초기에 백색에서 생장이 진행될수록 진한 노란색을 띠다 진한 갈색으로 변화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곰보버섯만의 고유한 배양적 특징으로 균사가 종에 따라 주기별로 경화되는 특징과 특유 강한 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균사 형태는 관찰을 통하여 총 5종류로 분류되었고 이들 균주의 ITS 분석 결과 Morchella conica, M.sextelata, M. importuna, M. esculenta, M. carssipes 등 5종으로 동정되었다. UFPF primer를 이용하여 PCR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ITS 분석 결과와는 다르게 M. conica로 동정된 KMCC04971 균주와 M. sextelata로 동정된 KMCC04407 균주는 동일한 패턴을 보였으며 그 결과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균주별 균사체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 결과 M. importuna인 KMCC04973 균주가 100 g당 알파글루칸 16.4 g을 포함하는 베타글루칸 함량 33.1 g으로 가장 높았다.

가시오가피 첨가가 영지버섯의 라카아제 및 셀룰라아제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supplementation on laccase and cellulase activity of Ganoderma lucidum)

  • 김홍일;정용운;이창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7-351
    • /
    • 2018
  • 가시오가피의 첨가는 영지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분비 단백질 라카아제 및 셀룰라아제의 생산량을 효율적으로 증가시켰다. 영지버섯 균사체의 생장률 측정에서 가시오가피의 첨가는 영지버섯 균사의 생장률이 톱밥에 비해 절반 수준에 밖에 못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영지버섯 균사의 분비 단백질인 라카아제와 셀룰라아제의 양을 증가시키는데 톱밥에 비해 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시오가피가 첨가된 배양액에서의 라카아제 활성은 톱밥이 첨가된 배양액에서보다 영지 1호, 영지 2호 및 녹각 영지에서 0.61~2.37배 증가하였고, 이 중에서도 영지 2호는 0.947 U/min으로 라카아제 활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셀룰라아제 활성 평가에서는 가시오가피가 첨가된 배양액에서의 셀룰라아제 활성은 톱밥이 첨가된 배양액에서보다 영지 1호, 영지 2호 및 녹각 영지에서 1.77~2.81배 증가하였고, 이 중에서도 영지 1호 및 영지 2호에 비해 녹각 영지에서 0.172 U/min으로 셀룰라아제 활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가시오가피의 첨가가 영지버섯 균사의 분비 단백질 생산을 증가시키는데 유용한 소재로 사료된다.

국내 송이 자생지에서 분리된 Terrabacteria에 의한 송이균사체 생장촉진 효과 (Growth-promoting effect on Tricholoma matsutake mycelium by Terrabacteria isolated from pine mushroom habitats in Korea)

  • 최두호;한재구;이강효;안기홍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0-193
    • /
    • 2023
  • 송이버섯을 인공재배하기 위하여 송이 근권토양의 미생물을 활용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송이의 자실체가 나오기 전인 7월의 토양으로부터 세균을 확보하여 진행되었으며 총 4점의 세균에 대해 송이 균사체 생장촉진을 확인하였다. 확보된 세균들, Y22_B06, Y22_B11, Y22_B18, Y22_B22는 각각 송이 균사의 면적을 각각 154.67%, 125.91%, 134.06%, 158.28%로 생장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해당 균들에 대한 동정도 이뤄졌으며 각각 Mic. paraoxydans, Pae. castaneae, Per. frigoritolerans, Per. butanolivorans 로 확인되었으며, 이중 Paenibacillus 속을 제외하고는 송이 균사체 생장촉진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동일한 실험조건인 기존 사례(Oh et al., 2018a)와 비교하였으며, Pae. latus에 의한 230%의 송이 균사 생장촉진의 사례 등과 비교하면 그 생장촉진능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세균 자체에 의한 항진균성이 낮아 송이 근권토양에서 진균과의 경쟁에서 우위에 있다고 보기 힘들다. 그러나 송이 균사체에 대해 유의미한 생장촉진을 이끌어냈기에 본 실험의 세균 4점은 송이 생장 촉진에 대한 유효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해당 세균을 이용한 배양액을 직접적으로 송이 균사체 혹은 송이 자실체에 적용하였을 경우 송이 생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이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