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ication Function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7초

Fourier-Galerkin Moment Method를 이용한 접지된 2개 유전체층 위의 완전도체띠 격자구조에 의한 TE 산란의 해 (Solution of TE Scattering by a Perfectly Conducting Strip Grating Over the Grounded Two Dielectric Layers Applying Fourier-Galerkin Moment Method)

  • 윤의중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35-64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접지된 2개의 유전체층 위의 도체띠 격자구조에 의한 TE (Transverse Electric) 산란문제를 도체경계조건과 수치해석 방법인 FGMM (Fourier-Galerkin Moment Method)를 적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 때 유도되는 표면전류밀도는 미지의 계수와 단순한 함수인 지수함수의 곱의 급수로 전개하였다. 전반적으로, 제안된 구조에서 영역-2의 유전체층의 비유전율 ${\epsilon}_{r2}$과 유전체 층의 두께 $t_2$가 증가함에 따라 반사전력이 증가하였다. 반사전력의 급변점들은 공진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과거에 wood's anomaly라고 불리워졌으며, 수치계산 결과들은 기존 논문의 결과들과 일치하였다.

괄호 생략 관점에서 식의 표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athematical notation of expression in terms of skipping the parenthesis)

  • 김창수;강정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19
    • /
    • 2016
  • 본 연구는 오늘날 사용되는 식의 표기를 괄호 생략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연산 기호 생략 규칙과 관련한 초 중등 교과 내용을 검토해본 결과, '$48{\div}2(9+3)$의 계산 결과는 얼마인가?'라는 물음에 답할 명시적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다음 표기에 관한 근본적인 탐구를 위해 전위 표기법, 중위 표기법, 후위 표기법의 특징을 살펴보고, 중위 표기법이 갖는 장 단점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표기법의 발전을 괄호 생략의 관점에서 조명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로부터 연산 생략은 곧 함수의 이미지라는 관점이 괄호 생략을 원활하게 해석할 수 있는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역사 발생적 원리에 따른 수학적 표기 지도, 중위 표기법의 선택 맥락 이해와 난점 극복을 위한 노력의 재현, 연산자를 포함한 생략된 괄호를 찾아 근본 식을 파악하는 활동, 곱셈이 생략된 경우를 함수의 이미지로서 간주하는 관점의 명시 등을 포함한 몇 가지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일정 적응이득과 이진 강화함수를 가진 경쟁학습 신경회로망의 디지탈 칩 개발과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rdware Implementation of Competitive Learning Neural Network with Constant Adaptaion Gain and Binary Reinforcement Function)

  • 조성원;석진욱;홍성룡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4-45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경쟁학습 신경회로망의 디지탈 칩 구현에서 뉴런의 집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한 새로운 신경회로망 모델로서 일정 적응이득과 이진 강화함수를 가진 여러 가지 경쟁학습 신경회로망 모델들을 제안하고, 그 중 안정성과 분류성능이 가장 우수한 일정 적응이득과 이진 강화함수를 지닌 자기조직화 형상지도(Self-Organizing Feature Map)신경회로망의 FPGA위에서의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서 논한다. 원래의 SOFM 알고리즘에서 적응이득이 시간 종속형인데 반하여, 본 논문에서 하드웨어로 구현한 알고리즘에서는 적응이득이 일정인 값으로 고정되며 이로 인한 성능저하를 보상하기 위하여 이진 강화함수를 부가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복잡한 곱셈 연산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하다는 특징이있다. 1개의 덧셈/뺄셈기와 2개의 덧셈기로 구성된 단위 뉴런은 형태가 단순하면서 반복적이므로 하나의 FPGA 위에서도 다수의 뉴런을 구현 할수 있으며 비교적 소수의 제어신호로서 이들을 모두 제어 가능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실험 결과 각 구서부분은 모두 이상 없이 올바로동작하였으며 각 부분이 모두 종합된 전체 시스템도 이상 없이 동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임팩트 팩터를 이용한 신경 회로망의 연결 소거 알고리즘 (A Pruning Algorithm of Neural Networks Using Impact Factors)

  • 이하준;정승범;박철훈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1권2호
    • /
    • pp.77-86
    • /
    • 2004
  • 일반적으로 작은 구조의 신경 회로망은 좋은 일반화 성능을 나타내지만 원하는 학습 목표까지 학습하기가 어려운 경향이 있다. 반면에 큰 구조의 신경 회로망은 학습 데이터는 쉽게 배우지만 일반화 성능이 좋지 않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좋은 일반화 성능을 얻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학습이 되는 한도 내에서 최소 구조의 신경 회로망 즉 최적 구조 신경 회로망을 찾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중치의 제곱과 뉴런 출력의 분산의 곱으로 정의되는 임팩트 팩터(ImF: Impact Factor)를 이용한 새로운 연결 소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함수 근사화 문제에 적용하여 제안된 방법이 효율적임을 보인다.

등색프린지 데이터를 이용한 인장하중 판재 중앙 균열선단 주위의 하이브리드 광탄성 응력장 해석 (Hybrid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Around a Central Crack Tip in a Tensile Loaded Plate Using Isochromatic Data)

  • 백태현;첸레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1권12호
    • /
    • pp.1200-1207
    • /
    • 2007
  • An experimental test is presented for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around a crack tip in tensile loaded plate. The hybrid method coupling photoelastsic fringe inputs calculated by finite element method and complex variable formulations involving conformal mappings and analytical continuity is used to calculate full-field stress around the crack tip in uniaxially loaded, finite width tensile plate. In order to accurately compare calculated fringes with experimental ones, both actual and regenerated photoelastic fringe patterns are two times multiplied and sharpened by digital image processing. Regenerated fringes by hybrid method are quite comparable to actual fringe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Mode I stress intensity factor analyzed by the hybrid method are accurate within three percent compared with ones obtained by empirical equation and finite element analysis.

DOES THE JET PRODUCTION EFFICIENCY OF RADIO GALAXIES CONTROL THEIR OPTICAL AGN TYPES?

  • Trippe, Sascha
    • 천문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59-161
    • /
    • 2014
  • The jet production efficiency of radio galaxies can be quantified by comparison of their kinetic jet powers $P_{jet}$ and Bondi accretion powers $P_B$. These two parameters are known to be related linearly, with the jet power resulting from the Bondi power by multiplication with an efficiency factor of order 1%. Using a recently published (Nemmen & Tchekhovskoy 2014) high-quality sample of 27 radio galaxies, I construct a $P_B$ - $P_{jet}$ diagram that includes information on optical AGN types as far as available. This diagram indicates that the jet production efficiency is a function of AGN type: Seyfert 2 galaxies seem to be systematically (with a false alarm probability of $4.3{\times}10^{-4}$) less efficient, by about one order of magnitude, in powering jets than Seyfert 1 galaxies, LINERs, or the remaining radio galaxies. This suggests an evolutionary sequence from Sy 2s to Sy 1s and LINERs, controlled by an interplay of jets on the one hand and dust and gas in galactic nuclei on the other hand. When taking this effect into account, the $P_B$ - $P_{jet}$ relation is probably much tighter intrinsically than currently assumed.

WLAN용 저면적 심볼 타이밍 옵셋 동기화기 구조 (Low-Area Symbol Timing Offset Synchronization Structure for WLAN Modem)

  • 하준형;장영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387-1394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OFDM Modem의 심볼 타이밍 옵셋 동기화 블록에 대한 저면적 구조를 제안한다. 심볼 타이밍 동기화 블록에서의 곱셈연산을 디지털 필터 구조의 개념을 도입하여 저면적 구조를 유도하였다. 즉 곱셈연산을 CSD(Canonic Signed Digit) 방식과 CSS(Common Sub-expression Sharing) 방식의 덧셈기를 사용한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 구조에 대한 Verilog-HDL 코딩과 합성을 통하여 $0.264mm^2$로 구현하였으며, 이는 기존 구조의 $0.723mm^2$와 비교하여 63.54%의 구현 면적 감소를 달성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구조는 OFDM 시스템의 심볼 타이밍 동기화기에 효율적으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렌즈에서 투과된 광의 시감도 추정 방법 (Luminous efficiency's estimation method of transmitted light in lenses)

  • 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3-168
    • /
    • 2003
  • 광의 세기에 따라 눈의 시감효율은 추상체와 간상체에 의해 파장에 따라 2개의 함수로 이루어진다. 광자에 대한 추상체-간상체의 반응확률을 이용하여 $P{\lambda}=A{\cdot}e^{-({\lambda}-{\lambda}_u)^2/2W^2}$의 분포함수 수식을 유도하였다. 이 식은 파장에 따른 CIE의 눈의 시감효율 곡선에 잘 적용되었다. 눈앞에 렌즈가 있는 경우 시감도는 보정 되어야 한다. 렌즈를 투과할 광은 흡수 파장에 의존하고, 최종 시감도는 추정방법은 시감도와 렌즈의 투과율 세기의 곱으로 표현된다. $$Pf({\lambda})=T({\lambda}){\cdot}P({\lambda})$$. 브라운 칼라 렌즈에 대해 시감도인 photopic과 scotopic 적용하였다.

  • PDF

Existence theorems of an operator-valued feynman integral as an $L(L_1,C_0)$ theory

  • Ahn, Jae-Moon;Chang, Kun-Soo;Kim, Jeong-Gyoo;Ko, Jung-Won;Ryu, Kun-Sik
    • 대한수학회보
    • /
    • 제34권2호
    • /
    • pp.317-334
    • /
    • 1997
  • The existence of an operator-valued function space integral as an operator on $L_p(R) (1 \leq p \leq 2)$ was established for certain functionals which involved the Labesgue measure [1,2,6,7]. Johnson and Lapidus showed the existence of the integral as an operator on $L_2(R)$ for certain functionals which involved any Borel measures [5]. J. S. Chang and Johnson proved the existence of the integral as an operator from L_1(R)$ to $C_0(R)$ for certain functionals involving some Borel measures [3]. K. S. Chang and K. S. Ryu showed the existence of the integral as an operator from $L_p(R) to L_p'(R)$ for certain functionals involving some Borel measures [4].

  • PDF

적외선을 이용한 정맥인식 (Vein Recognition Using Infra-red Imaging)

  • 정연성;남부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61-263
    • /
    • 2005
  • In this paper, we implement an identification system using the vein image of the hand. The vein pattern is obtained in the grey-scale 2D image through the infrared-red imaging from back of the hand. Since the frame has lack of clearance, we use some enhancing methods such as the complement, addition, and multiplication to the image to increase the contrast. After Wiener filtering for smoothness of the vein pattern, we transform the image into the binary image with mean function. The binarized image is session thinned and the cross-points in the vein tree ar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pixels connected because the image is shaped as a tree. We choose the point and find the nearest to the center if it has majority, where we find the two end points of the selected line. We can get the angle between the two lines joined at the cross-point and store its coordinates, angle, and label the values. The values are used as the feature vector of the vein pattern. This procedure is similar to the human cognition sequence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imple for the vein recogn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