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media material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초

목록에서의 자료종별표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erial designation in library cataloging)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377-40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aterial designation in library cataloging and to suggest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GMD) and Specific Material Designation(SMD) in Korean. A summary of the study follows. In library cataloging, methods of indicating the type of material are : (1) color-coding, (2) media code as part of the call number, (3) material designation in physical description area or note area, (4) GMD and SMD. GMD is a term indicating the broad class of material to which a bibliographic item belongs. SMD is a term indicating the special class of material to which a bibliographic item belongs. GMD was listed in parenthesis following the title proper before AACR1975 code, but currently it is listed in square brackets after the AACR1975 code. AACR2 was the standard cataloging rule in GMD and SMD terminology. It is suggested that GMD be used in Korean for graphic material, sound recordings, drawings, microform, multimedia, videorecordings, manuscripts, photographs, slides, printed music, motion pictures, printed texts, objects, braille, cartographic materials, computer files and transparenies.

  • PDF

SF영화 속 가상공간의 특징에 대한 연구 - 앙드레 바쟁의 영화 존재론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in Science Fiction Movies - Based on André Bazin's Film Ontology -)

  • 겅허치;최동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356-1366
    • /
    • 2022
  • In the display of virtual space, the degree of space virtualization cannot be judged only by the degree of material technology. Based on the non-material relationship, the virtual space that this research focuses on is a conceptual and ontolog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e conceptual and ontological viewpoints of non-material relations), including practical technical issues.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ontology not only has an impact on the space design of science fiction movies, but also becomes a powerful medium that brings changes to the world. In the future, there will be a large number of cases where fantasy things in science fiction movies are actualized. From this perspective, based on the study of several science fiction movies using virtual reality scenes, this paper puts forward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ontology. In addition, the study of the virtual reality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virtual reality in the application of deep space technology in the future.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reference value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ffects film field from montage theory-based to Bazin theory-based expression, and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system of film space.

초음파를 이용한 실측 두께 측정과 재질 렌더링 (A Novel Method for Material Rendering and Real Measurement of Thickness Using Ultrasound)

  • 최태영;진성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6호
    • /
    • pp.190-19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재질의 두께를 실측하고 렌더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두께는 광학특성과 함께 반사율과 투과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서 물체를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하는데 영향을 준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두께를 추정하여 렌더링에 사용해왔다. 제안된 방법은 육안으로 두께를 측정할 수 없는 물체의 두께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렌더링하는 처음 시도된 방법이다. 이를 위해 기준시편의 음속을 측정하고, 같은 성질을 갖는 다른 물체들의 두께를 측정한다. 측정된 물체의 특성들은 최종적으로 렌더링되고, 영상 분석 모델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며, 이를 통해 렌더링에서 두께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Comparative Analysis of AI Painting Using [Midjourney] and [Stable Diffusion] - A Case Study on Character Drawing -

  • Pingjian Jie;Xinyi Shan;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403-408
    • /
    • 2023
  • The widespread discussion of AI-generated content, fueled by the emergence of consumer applications like ChatGPT and Midjourney, has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Among various AI applications, AI painting has gained popularity due to its mature technology, user-friendly nature, and excellent output quality, resulting in a rapid growth in user numbers. Midjourney and Stable Diffusion are two of the most widely used AI painting tools by users. In this study, the author adopts a perspective that represents the general public and utilizes case studies and comparative analysis to summarize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Midjourney and Stable Diffusion in the context of AI character illustration. The aim is to provide informative material forthose interested in AI painting and lay a solid foundation for further in-depth research on AI-generated content.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both software can generate excellent character images but with distinct features.

A Study on the Effective Production of Game Weapons Using ZBrush

  • YunChao Yang;Xinyi Shan;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397-402
    • /
    • 2023
  • With the rapid adoption of 5G, the gaming industry has undergone significant innovation, with the quality of game content and player experience becoming the focal point of attention. ZBrush, as a professional digital sculpting software, plays a crucial role in the production of 3D game models.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application methods and techniques of ZBrush in game weapons production through specific case analyses. We provide a detailed analysis of two game weapon models, discussing the design and modeling process, lowto-high poly conversion, UV unwrapping and texture baking, material texture creation and optimization, and final rendering. By compar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ZBrush, we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rther design research and provide reference materials for game industry professionals, aiming to achieve higher quality and efficiency in 3D game model production.

리퍼포징과 트랜스코딩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시스템 (Multimedia Contents System based on Repurposing and Transcoding)

  • 이현리;김희숙;김경수;정희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5-152
    • /
    • 2010
  •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활용은 교육과정에 적용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과 과정 중에서 사회과 탐구 과정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지역의 특성상 지역별 교과 내용이 다소 차이가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적용이 일반화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탐구 학습에 그래픽, 애니메이션, 사운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요소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시스템을 제작하여 학습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리퍼포징 구조에 기반한 실시간 이미지 트랜스코딩 기법을 소개한다. 제안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시스템은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등 시각과 청각을 통해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며 학습효과를 증대시키고 컴퓨터와 대화식 학습으로 능력에 맞는 반복학습이 가능하며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교육적 효과에 큰 도움이 되리라 추정된다. 본 연구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시스템은 향후 사회과 탐구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의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임의 멀티미디어 요소에 대한 품질 평가 (Multimedia Elements of the Game for the Quality Assessment)

  • 윤선정;류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2-255
    • /
    • 2012
  • 게임의 멀티미디어 요소인 그래픽과 사운드 등은 '몰입'이라는 게임 플레이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게임의 품질은 멀티미디어 요소의 품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분야의 각종 공모전 심사 기준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게임의 멀티미디어 요소에 대한 품질 평가 영역과 영역별 세부 하위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가 영역과 하위 요소에 대한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해 게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할 것이다. 연구 결과는 향후 게임 제작에 있어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PDF

동요방송을 활용한 창의적 활동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reative activities using multimedia materials of children's songs to personality in elementary school)

  • 허정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55-61
    • /
    • 2019
  • 본 연구는 올바른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동요지도를 멀티미디어 자료로 개발하여 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함양에 적합한 동요를 선별하고, 애니메이션이나 다큐멘터리, 합창이나 무용 공연, 인터뷰 등 다양한 영상 자료를 포함한 멀티미디어를 제작하고, 제작된 자료를 초등학교에서 동요방송으로 운영하였다. 무엇보다,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동요를 쉽게 지도할 수 있도록 교수 학습안과 활동지를 프로그램으로 고안하여 재량활동 시간을 통해 '창의적인 교수 학습 활동안'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고, 학급 홈페이지를 통해 가정에서도 연계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동요방송을 통해 초등학생의 인성변화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초등학교 시기에 가장 강조되어야 할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통합적인 접근방법에서 논의하고자 했다.

멀티미디어 및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전통목조건축물 디지털 복원 (Digital Restor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Buildings Using Multimedia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 이강훈;조세홍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6-212
    • /
    • 2013
  • 멀티미디어, 가상현실 및 네트워크로 대표되는 ICT 기술은 문화콘텐츠의 원형을 보존하고 복원을 위한 좋은 수단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콘텐츠라 할 수 있는 전통목조건축물을 디지털화하기 위한 멀티미디어와 증강현실 기술의 세부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구현하였다. 그래픽 기법을 사용하여 전통목조건축물에 사용되는 건축 부재들을 3D 모델링하였고, 전통목조건축물의 지붕 곡선을 표현하였고, 전통목조건축물의 재질 매핑을 하였다. 또한, 마커 기반 증강현실 기법을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통목조건축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멀티미디어 및 증강현실로 구현된 전통목조건축물 결과물의 활용 방안을 또한 제시하였다.

여성건강 교수-학습과정에서의 원격영상강의 시스템 적용 (Application of Distance Videoconferencing on Women's Health Teaching-Learning Process)

  • 강남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5-176
    • /
    • 1999
  • The goal of women's health education can be defined as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heir life during entire life cycle. In Korean society, women's well-being is very important to themselves as well as their families, communities. and country. Thus it is important to systematize information on women's health education. These systematized information can be used in preparation of coming 21st century called information era. Unfortunatel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n women's health education research in Korea especially distance education for women's health related with korean socio-cultural background, etc. Distance education has been internationally used in a variety of settings as a means of providing health education inform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nd evaluate a multimedia videoconferencing on women's health distanc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this study I'd like to design multimedia digital educational material used in the distanc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women's health, and to practice a multimedia videoconferencing on women's health distance teaching-learning processs.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Analysis of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 contents and for women's health. 2. Design of a multimedia videoconferencing on women's health distance teaching-learning process. 3. Development of women's health distance teaching-1earning process. 4. Evaluation of developed digital multimedia and distance teaching-learning process related with women's health These results will be used in development of the distance-learning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Korean women's health. Findings su99est that the advanced methodologies for designing and evaluating the women's health distance teaching-learning programs be obtained through the collaboration with other field's staff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