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Students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8초

다문화가정 초중등학생을 위한 정보격차해소 방안 연구 (A Study on Bridging the Digital Divide of K-12 Student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 이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41-51
    • /
    • 2009
  • 본 연구는 국제결혼 자녀, 외국인노동자 자녀 등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화를 통해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하고 있는 초중등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사회 적응도를 높이고 학업성취도를 향상 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의 실태에 대한 다양한 정책자료 및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심층적인 문헌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당면한 교육적 문제점을 정리한 후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정책 개선 방안으로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해 개인별 정보 인프라 제공 대신 다중 활용 공간에 대한 인프라 지원을 제시하였으며, 정보 활용 방법으로서 교육환경 자체가 정보격차 해소에 도움을 주는 이러닝 서비스의 확대, 정보격차 해소 교육을 위한 교원 및 학부모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적용한 다문화 가정 자녀의 성취동기 변화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학업성취 수준의 차이를 중심으로 (A Longitudinal Analysis of Adolescents' Achievement Motivation Profi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cultural Family)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04-41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6년 동안의 성취동기 변화패턴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찾고, 확인된 잠재집단과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및 잠재집단을 결정하는 예측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2011년)부터 6차년도(2016년)까지 6개 년도의 자녀와 어머니의 1,254쌍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잠재계층성장분석, 일원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성장분석 결과 성취동기의 종단적 변화양상은 '최상수준 변동형 집단', '중수준 변동형 집단', '저수준 무변화형 집단', '최저수준 무변화형 집단'의 네 가지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에 따라 6개 시점 모두에서 모든 잠재집단 간 동일한 패턴의 학업성취 수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취동기 수준이 높은 잠재집단 순으로 학업성취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부모 변인 중 부모효능감, 자녀 변인 중 자아존중감, 교사 변인인 교사지지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성취동기 변화 특성이 학업성취 수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성취동기 향상을 위해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자녀, 교사 변인에 대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정서조절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Emotional Control on Depression/Anxiety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우희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51-563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1)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anxiety and 2)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ontrol and depression/anxiety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earson's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The sample included a total of 199 prim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3 to 6 who lived in the Gwangju or Chonnam regions of Korea.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anxiety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support. Second, social support from both peers and teache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anxiety. Third, social support from peer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ontrol and depression/anxiety, and that from teachers partially mediated these relationships. Th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from peers and teachers may reduce depression/anxiety in multicultural children as a mediating variable.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 교사 교육의 방향: 미국 음악교사 교육과정의 다문화 교과목의 분석을 통하여 (Music Teacher Education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Undergraduate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 USA)

  • 이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73-483
    • /
    • 2013
  • 21세기 세계인들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만나고 소통할 기회가 많아졌다. 최근, 국제결혼의 증가,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으로 우리 사회는 다양한 국가와 인종, 민족들이 섞여 사는 다인종 국가(multi-ethnic society)로 급변하면서 "다문화주의"는 정부의 정책, 대중매체, 교육과정 의 방향설정의 역할을 하는 막강한 단어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등 교사 양성기관의 다문화 교육 현황과 함께, 미국의 4년제 대학 10개를 선정하여 음악교육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과과정과 함께 음악교과교육 영역에서 다문화 교육이 어떠한 콘텐츠를 가지고 실시되고 있는지 개론과정, 연주, 지역, 종족음악학, 지도법의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의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적 원칙에 근거한 음악 수업 방법과 내용을 포함하는 실질적인 교과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의 내용의 다양화를 위한 악곡의 선정이나 지도 방법적 측면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다문화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과 교우관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ody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esion and Friendship)

  • 맹미숙;천미정;정영심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27-134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과 교유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다문화패널(MPAPS) 중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7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조사당시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1,146명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우울감과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감과 교우관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우울감 감소와 원만한 교우 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실천적 함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다문화 청소년의 지각된 차별감이 민족정체성 혼란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역량을 통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Ethnic Identity Conflict: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through Bicultural Competence)

  • 김지원;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151-164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garding feelings of conflict over their ethnic identity by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role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and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mediated by bicultural competence. A total of 234 middle school students (grades 7-8; 139 girls and 95 boy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which the father is Korean and the mother is not,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was analyzed via SPSS 26.0 and Process (Version 4.1) MACRO.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cultural competence mediated th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feelings of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Enhanced bicultural competence resulting from a lower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contributed to a reduction in feelings of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Seco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of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was not. Thus, the mediation relationship (lower perceived discrimination increased bicultural competence and, thus, reduced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grew stronger as the level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increa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uncover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ethnic identity develop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particularly highlighting the important role of Korean fathers within multicultural households.

텍스트성을 활용한 다문화 멘토링 활동에서의 수업비평 탐색 (Exploring class criticism in multicultural mentoring activities using textuality)

  • 오세경;황해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563-5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인 멘토들의 전문성 신장과 비평적인 성찰을 유도하기 위해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멘토-멘티의 다문화 멘토링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활동 내용 및 현상을 활동 텍스트로 보고, 일곱 가지의 텍스트성을 적용하여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응결성은 멘토와 멘티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한 관계적인 측면을 뜻하고, 응집성은 수업활동 과정에서 파생되는 의미들이 결속되어 멘토와 멘티 모두에게 수업활동에 대한 하나의 주제나 정체성을 이루어 내는 것을 말한다. 의도성은 멘토가 멘토링 수업활동 전에 수업에 대한 의도나 목표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용인성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생산한 텍스트를 멘티에 의해 받아들여질 때 수업활동 텍스트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정보성의 경우 수업활동 과정에서 멘토가 생산한 텍스트를 멘티가 예측가능할 때에는 정보성이 낮으며, 예측가능 정도가 낮을 경우에는 정보적인 가치가 높다는 관점이다. 상황성은 수업활동 과정에서 물리적인 텍스트 상황과 멘티의 상황에 따라 수업활동에 대한 상황성은 달라질 수 있고, 상호텍스트성은 다문화 멘토링 수업활동의 경우 멘토가 수업활동 텍스트를 새롭게 창조하여 생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멘토의 학습경험, 동료 친구의 자문, 교육 등을 통해 수업활동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과 관련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 (The Direction to Assessment of School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2009 Reformed Curriculum)

  • 강명원;김성호;박지훈;이선준;차용우;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301-323
    • /
    • 201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에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세 주제, 창의성, 다문화, 그리고 수학적 성향을 중심으로 미래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창의성을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융통성에 대한 평가문항의 활용뿐만 아니라 유창성, 정교성, 독창성에 관한 문항개발도 이루어져야함을 제기하였다. 다문화영역에서는 단순히 한국어 교과만이 아니라 수학교과에서도 다양한 학습방법과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해서 다문화권 학생이 언어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수학적 능력을 평가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중 언어 프로그램에 따른 평가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 학생의 매우 낮은 수준의 수학적 성향은 고등교육에서 인재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등의 성향을 향상될 수 있게 먼저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하며 다양한 유형의 설문지를 개발하고 면담기법을 이용한 과정평가에 더욱 노력해야한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문화적 역량 및 전문직 자아개념의 경로분석 (The Path Analysis of Multicultural perception, Cultur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 임정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393-402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문화적 역량과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 인관관계와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대상은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245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PASW 18.0,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적합하였다($x^2/df=1.170$, GFI=.992, AGFI=.970, RMSEA=.027, CFI=.995, NFI=.967). 전문직 자아개념에 문화적 역량은 직접효과, 다문화 인식과 전공만족도, 대인관계는 간접효과를 나타내었고, 문화적 역량에 다문화 인식과 전공만족도는 직접효과, 대인관계는 간접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다문화인식에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는 직접효과가 있었다. 즉,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면 다문화인식이 높아지고, 문화적 역량이 높아지며, 전문직 자아개념도 향상되므로,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서는 다문화인식, 문화적 역량을 높이는 교육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보육실습 경험 분석: 어려움과 가치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Child Care Practicum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Exploring Challenges and Benefits)

  • 강정원;국소영;박명금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39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with a specific focus o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nd the values they derived from their practicum experiences. The aim was to gain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racticum support for thes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6 foreign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using snowball sampl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spanned from May 2021 to March 2023, during whi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Foreign students faced challenges in securing practicum placements prior to the start of their program. Communication difficulties necessitated the use of interpreters to interact with children. Additionally, documenting information in a language other than their mother tongue posed a challenge. Consequently, there was a need for tailored training support to address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students reported rewarding and valuable experiences during their practicum. These experiences included discovering the teaching identity in Korea, learning about desirable practices in the field, recognizing and addressing personal shortcomings, and developing a sense of voc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fant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Conclusion/Implications: If we actively listen to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their childcare practicum,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excellent childcare teachers who can foster a harmonious and inclusive environment within our multicultural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