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Child Care Practicum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Exploring Challenges and Benefits

외국인 유학생의 보육실습 경험 분석: 어려움과 가치를 중심으로

  • 강정원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
  • 국소영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
  • 박명금 (한양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3.04.28
  • Accepted : 2023.06.12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with a specific focus o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nd the values they derived from their practicum experiences. The aim was to gain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racticum support for thes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6 foreign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using snowball sampl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spanned from May 2021 to March 2023, during whi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Foreign students faced challenges in securing practicum placements prior to the start of their program. Communication difficulties necessitated the use of interpreters to interact with children. Additionally, documenting information in a language other than their mother tongue posed a challenge. Consequently, there was a need for tailored training support to address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students reported rewarding and valuable experiences during their practicum. These experiences included discovering the teaching identity in Korea, learning about desirable practices in the field, recognizing and addressing personal shortcomings, and developing a sense of voc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fant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Conclusion/Implications: If we actively listen to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their childcare practicum,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excellent childcare teachers who can foster a harmonious and inclusive environment within our multicultural society.

Keywords

References

  1. 견주연 (2017). 지역대학 유아교육과 중국인 유학생들의 삶의 경험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 103-130.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14.103
  2. 계승현 (2022. 5. 25). [2022 청소년] 다문화 학생 1년새 8.6% 증가...10명 중 7명 초등생.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20524134600530?input=kkt에서 2023년 2월 15일 인출
  3. 고민경 (2022). 외국인 유학생 연구 동향에 대한 비판적 탐색: 유학생의 다층적 경험과 정체성 이해를 위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8(4), 474-488. https://doi.org/10.26863/JKARG.2022.11.28.4.474
  4. 교육부 (2022. 2).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2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16&boardSeq=90662&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02&opType=N에서 2023년 1월 20일 인출
  5. 교육부 (2023. 4. 14). 유학생 유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학-지차체 목소리 듣는다.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94715&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에서 2023년 5월 23일 인출
  6. 교육통계서비스 (2022). 대학교육통계. https://kess.kedi.re.kr/index에서 2023년 1월 20일 인출
  7.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3). 2023학년도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가이드라인(유치원). 교육부, 17개 시도교육청,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중앙다문화교육센터.
  8. 김성원 (2019). 다문화 배경을 가진 영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교직 경험과 지원에 대한 요구: 결혼이민자, 북한 이탈 주민, 고려인 여성의 교직준비 및 담임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송이 (2020). 예비보육교사의 실습갈등에 영향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267-285.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24.267
  10. 김양은, 하지영 (2016).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593-619. https://doi.org/10.22251/jlcci.2016.16.10.593
  11.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1: Bicoleur (제2판). 아카데미프레스.
  12. 박성원, 신동일 (2014).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공동체 참여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17(1), 103-158. https://doi.org/10.17318/jae.2014.17.1.003
  13. 박수경, 윤미숙 (2019). 커뮤니티 기반 딜레마 컨설팅(Dilemma Consulting)에 참여한 보육실습교사와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경험 탐색. 교육문화연구, 25(1), 471-489. https://doi.org/10.24159/joec.2019.25.1.471
  14. 배진형, 안정선 (2016). 사회복지학전공 유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H 대학교 중국인 유학생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3(1), 39-72.
  15. 법무부 (2023). 법무부 출입국 통계자료. https://www.moj.go.kr/moj/2412/subview.do에서 2023년 4월 27일 인출
  16. 보건복지부 (2016. 1).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https://law.go.kr/LSW/lsInfoP.do?lsiSeq=179458#0000에서 2023년 2월 3일 인출
  17. 보건복지부 (2020). 2020 개정 보육교사 2급 자격취득 교과목 표준 교과 개요. 보건복지부.한국보육진흥원.
  18. 서울시교육청 (2015. 7). 공존과 상생의 '세계시민, 다문화교육 정책' 추진. https://enews.sen.go.kr/news/view.do?bbsSn=120031&step1=3&step2=1에서 2023년 2월 17일 인출
  19. 안지령 (2014). 예비유아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 이야기: 반성적 내러티브를 통하여. 유아교육연구, 34(2), 165-184.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2.008
  20. 안지혜 (2019). 예비보육교사의 관점에서 본 놀이의 의미. 영유아교육과정연구, 9(1), 36-64.
  21. 안지혜 (2021).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3(1), 33-54. https://doi.org/10.36431/JPE.13.1.3
  22. 오혜영, 이윤희 (2018). 국내 대학 담당자들이 인식한 외국인 유학생의 어려움과 심리지원 방안. 한국웰니스학회지, 13(4), 101-121. https://doi.org/10.21097/ksw.2018.11.13.4.101
  23. 유병예, 양성은 (2013).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경험에 관한 과정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95-119.
  24. 이상미 (2014). 영아반 보육실습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지원요구. 유아교육학논집, 18(6), 479-501.
  25. 이유미 (2011). e-멘토링에 의한 보육실습지도의 가능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이지혜 (2022).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보육실습경험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7(4), 27-58. https://doi.org/10.20437/KOAECE27-4-02
  27. 임은정, 김성천 (2010). 교육 실습의 난점과 의미.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1), 259-287.
  28. 정혜영, 김미진 (2015).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실습 전 예비유아교사의 실습 전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25-44.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25
  29. 좌승화, 오정희 (2016). 예비유아교사들의 보육실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대집단활동 관찰과 실행을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15(1), 87-108.
  30. 천혜정, 서영숙 (2010). 영아반 보육실습 체험에 대한 의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177-199.
  31. 추수진 (2019). 보육실습 현장에서 실습생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보람. 교육발전, 39(2), 337-353. https://doi.org/10.34245/jed.39.2.337
  32. 통계청 (2022. 4). 2021년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전망: 2020~2040년.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20600&bid=207&act=view&list_no=417775에서 2023년 2월 17일 인출
  33. 통계청 (2023. 2). 2022년 12월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20100&bid=204&act=view&list_no=423832&tag=&nPage=1&ref_bid=203,204,205,206,207&keyField=T&keyWord=에서 2023년 4월 20일 인출
  34. 한형주, 서은숙 (2020). 국내 외국인 유학생 지원 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응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5), 570-584. https://doi.org/10.5392/JKCA.2020.20.05.570
  35. 행정안전부 (2020. 10).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수 222만 명, 총인구 대비 4.3%. https://www.mois.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8&nttId=80756에서 2023년 2월 17일 인출
  36. Allon, F., Anderson, K., & Bushell, B. (2008). Mutant mobilities: Backpacker tourism in 'Global' Sydney. Mobilities, 3(1), 73-94. https://doi.org/10.1080/17450100701797323
  37. Bogdan, R. C., & Biklen, S. K.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5th ed.). Allyn & Bacon, Inc.
  38. Felton, K., & Harrison, G. (2017). Supporting inclusive practicum experien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cross the social sciences: Building industry capacity.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36(1), 88-101. https://doi.org/10.1080/07294360.2016.1170766
  39. Harrison, G., & Ip, R. (2013). Extending the terrain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classroom to the field: International students on placement. Social Work Education, 32(2), 230-243. https://doi.org/10.1080/02615479.2012.734804
  40. Nuttall, J., & Ortlipp, M. (2012). Practicum assessment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0(1), 47-60. https://doi.org/10.1080/1350293X.2012.650011
  41. Qi, Y., & Campbell, M. (2022). Encouraging diversity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workforce. Australa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47(3), 233-240. https://doi.org/10.1177/18369391221104353
  42. UNESCO (2018). 세계 교육 현황 보고서 요약본 2017/8: 교육의 책무성, 우리의 공약을 어떻게 이행할 것인가?(이지향 옮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원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