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Efficacy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1초

독서가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 (The Impact of Reading on Self-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 박성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93-31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가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한국교육고용패널 II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관심변인인 독서와 자기효능감, 다문화수용성의 성장궤적을 분석하고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세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독서량과 자기효능감, 다문화수용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독서량의 초기값은 자기효능감과 다문화수용성 초기값과 정(+)적 영향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독서량 초기값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존감과 자녀진로지원행동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between the Self-esteem and Child Career Support Behavior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임은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13-323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존감, 부모효능감이 자녀진로지원행동(지지, 간섭, 관여부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존감과 자녀진로지원행동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7차년도 다문화청소년-학부모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1,188명의 결혼이주여성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진로지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존감(β=.277), 부모효능감(β=.134)이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자존감과 자녀진로지원행동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자녀진로지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대전지역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Life Cultur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 이명희;김정현;송진숙;문희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다문화효능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전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다문화가정생활문화 인식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가정의 월수입에 따라 다문화적 태도의 다문화적 태도의 하위변인인 관계존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학년이 높을수록 다문화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다문화인과의 관계를 존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적 태도가 긍정적이고 다문화에 대한 열린자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다문화가정생활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전시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청소년기에 있는 중학생들의 다문화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생활문화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n Multicultural Experiences Influence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서현아;천희영;위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9-94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유아교사 5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다문화 관련 경험, 다문화 이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이 한국의 예비유아교사들보다 다문화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 다문화 가정 유아 경험, 해외 문화 경험, 다문화 가정학생 동분 수업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미국 양국 모두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예비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교육 관련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미국 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국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가정 학생과 동반 수업의 경험이 있을수록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 효능감에 있어서는 미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 효능감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며 한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예비 교사일수록 다문화교육에 대한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Efficacy towards North Korean Refugees)

  • 박진경;최순옥;김희숙;서임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32-6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 주민 문화간호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으로, 2017년 7월부터 12월까지 간호대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문화간호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는 학년(p=.033), 형식적 다문화 교육 중 대학 전공과목(p=.035), 대학 교양과목(p=.009), 국민정체성의 하위영역 중 멤버십(p=.001), 북한이탈주민 문화인식의 하위영역인 인지적 요소(p=.049), 의식적 요소(p=.008), 행동적 요소(p=.001)이었다. 연구결과는 간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과과정에 북한이탈주민과 관련된 다문화 교육과 교육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을 제시하며 간호 대학생이 졸업 후 사회에서 유능한 문화간호 수행자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문화가정 모친의 자녀 구강건강관리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management for child in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김미;조영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07-819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behavior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oral health management of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were 303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ing children in childhoo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outcome, a factori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outcom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one-way ANOVA was used,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severity, self-efficacy,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disability that show attitudes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mother's oral health behavior. Moreove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sensitivity, and the mother's oral health behavior that show attitudes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children's oral health manage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interest in mother-and-child oral health, developing a mother-and-chil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argeted toward the oral health of the mothers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oreover, it is essential to educate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their children's oral health management, aiming to promote knowledge and to change attitudes and behavior.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양상에 따른 진로관련 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 차이 (Career-related Behaviors, Psychological and Academic Outcomes according to Parenting Efficacy Trajectorie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 윤홍주;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34-24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자녀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성장하는 과정(초4-중3)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는지 확인하고,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진로관련 행동,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 7개년도 자료(초4-고1, 2011년-2017년)를 활용하였으며, 잠재계층성장분석, BCH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성장하는 과정(초4-중3)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양상은 4개 잠재계층(상수준 증가-감소형, 중상수준 증가-감소형, 중수준 무변화, 중하수준 무변화)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잠재계층의 특징은 양육효능감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자녀가 초등학교 시기에는 양육효능감이 증가하지만, 중학교 시기에는 감소하는 반면, 양육효능감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자녀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양육효능감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양상에 따라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관련 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체로 상수준 증가-감소형 집단의 자녀가 지각한 진로관련 행동 수준이 높으며, 심리사회적(자아존중감, 우울, 진로장벽인식), 학업적(성취동기, 학업성취) 특성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가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성장하는 과정(초4-중3)에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이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관련 양육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Child Care Teacher Aptitude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Efficacy of Child Care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배문조;박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85-494
    • /
    • 2013
  •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적성을 파악하고 보육교사적성이 교사전문성인식과 보육효능감 및 다문화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적성 중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에서 남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다른 영역에서 차이가 없음을 보여 보육교사의 성보다는 보육교사직에 대한 소망과 자질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보육교사적성 중 업무에 대한 소명감이 보육교사전문성 인식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고, 창의성과 자기계발, 영유아에 대한 친화력, 수용성과 민감성, 안전관리능력이 보육효능감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자기계발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으로 밝혀져 예비보육교사가 창의성을 가지고 자신을 계발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다문화교수역량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Program to Promot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fficacy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for Nursing Students)

  • 박진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8-68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here were 36 nursi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I-city, Korea. A Chi-square, t-test, and ANOVA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score for multicultural awarenes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over the control group (t=0.85, p=.026). Scores for cognitive area (t=0.89; p=.037), ritual area (t=-0.10, p=.915), and action area (t=1.18, p=.031) increased, but the conscious area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score for multi-cultural efficacy for North Korean refugees (t=0.36, p=.030). Scores for cognitive area (t=0.63; p=.029), working area (t=0.05, p=.955), and emotional area (t=0.79 and p=030) increased, but the working area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to promote multicultural efficacy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ppli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enhancing multicultural awareness and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보육교사의 다문화 가정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ycare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 임미선;박정윤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7호
    • /
    • pp.25-3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aycar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and multicultural variables upon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Daycare teachers' multicultural variables consist of their multicultural family-related education, their perception of single-races and multi-races persons, their acceptance of familial diversity, their cultural capability and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ing. In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multicultural variables seem to have an influence upon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Since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is important for the shaping of 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between teachers and females of transnational marriage, the importance of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related variables must be recognized.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help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e their adaptability to daycare facilities and for females of transnational marriage to form mutual, cooperative relations with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