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Acceptability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7초

A Longitudinal Study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Kim, Hyun-Joo;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153-160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Research problems fo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stable over time? Second, what is the longitudinal impact of school adjustmen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ver time? Third, what is the longitudinal impa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school adjustment over tim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earch problems by apply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regressive model of school adjus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ture time point and is stable over time. Second, the autoregressive mod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ture time point and is stable over time. Third, cross-lagged effect from school adjustment to multicultural acceptabilit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t a later time, and is stable over time. Fourth, cross-lagged effect from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o school adjust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tim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re was no change with tim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three - year term data over time.

군 간부의 다문화교육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litary Officers)

  • 김정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2호
    • /
    • pp.49-68
    • /
    • 2020
  •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and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litary officers. The sample included 552 Republic of Korea Army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NCOs) who were located in Gangwon-Do and Gyeonggi-Do.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18.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ifferential verif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military officers and NCOs, including sub-factors, was above the mean level; in terms of the ranking per sub-factor, the scores were in the order of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The experience frequency of the targets and the evaluation was lowest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within the military, and the evaluations were in the order of public media, school, and military. Second, The differential verific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logy of the population and the existen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showed that the duration of education(personal factor), marital status(family factor), existence of a foreign relative(family factor), and existence of experience of managing multicultural personnel as soldiers under command(military-related fact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dditionally, the exist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schools and public media lea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ut the existence of education within the military did not lea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eval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military, school, and public media,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s multicultural educational plans that may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ilitary officers and NCOs as a way to establish a multicultural composition in the army.

다문화 교과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및 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Multicultural Course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채명정;김진일;이진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3-381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ulticultural course on nursing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ompetency. Method: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re-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n=28) took 13 weeks of the multicultural course, while the control group (n=28) received only regular classes over the same period. Pre- and post-tests were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Results: All indic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ompetency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except for two: universality (a measur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 measure of multicultural competenc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ulticultural course was effective in elevating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초등학생의 다문화인식의 차이와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 (Differences in the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 이수재;채진영
    • 아동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23-3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multicultural perceptio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judging multicultural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comprised 1,252 students (583 third graders and 669 sixth graders), promoted from 20 elementary school in J provi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t-test showed that the lower graders had higher scores in cultural openness and national identity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well as the cognitive elemen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than upper graders. In addition, the upper graders had higher scores in unilateral expectations for assimila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well as the cognitive element of judging multicultural children. Second, all subscales were found to be interrelated, except for unilateral expectations for assimilation and two subscales (cognitive and righteous) in judging multicultural children. These results imply that in order to help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ivers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take into consideration their grade levels.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dolescents Using Multilevel Analysis)

  • 최연희;구민정;최문지;김영미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7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dolescents at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levels. Methods : Participants were 2,032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4th-year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2013.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level analysis. Results : Individual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dolescents were health status, ego-resilience, and experience of visiting foreign countries. Learning activity, school regulation,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community spirit were significant factors at environmental level. Conclusions :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ealth status, improve positive resilience, activate a multicultural experience program, establish friendly relations with teachers, adhere to social norms, and strengthen community spirit fo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간호대학생의 사회적거리감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다문화접촉경험의 영향 (Influence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tanc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Nursing Students.)

  • 노윤구;이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187-19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거리감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다문화접촉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4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174명이었다.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피어슨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a) 다문화수용성은 사회적거리감과 부적 상관관계(r=-.61, p<.001)를, 다문화접촉경험과 양적 상관관계(r=.24, p=.002)가 있었다. (b) 다문화접촉경험과 사회적거리감의 상호작용효과는 다문화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beta}=-.18$, p=.003). (c) 다문화접촉경험은 사회적거리감과 다문화수용성 관계를 조절하였다(${\Delta}R^2=0.30$, p=.003). 본 연구를 통하여 다문화접촉경험이 커질수록 사회적거리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음의 영향력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하여 사회적거리감을 줄이고 긍정적인 다문화접촉경험의 접근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orkers on Multicultural Attitude)

  • 김영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17-124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의 수용성의 인식수준에 대한 분석과 다문화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사회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 태도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한 결과 변수들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 수용성의 다문화관계 형성능력,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공감의 요인들이 다문화 태도의 개방성과 수용성, 그리고 융통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수들 간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 태도의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Openness, Preoccupati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김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11-219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B, Y시의 간호대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26일까지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다문화 효능감은 평균 $3.92{\pm}0.54$점 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은 연령(F=4.516, p=.012), 다문화 학생과의 수업경험(t=2.131, p=.034), 외국어 수강경험(t=2.133, p=.034), 외국인 친구(t=2.759, p=.006)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문화 개방성, 고정관념,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 효능감은 다문화 개방성(r=.396, p<.001), 다문화 수용성(r=.471,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고정관념(r=-.464, p<.001)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국인 친구(t=2.021, p=.048), 고정관념(t=-6.363, p<.001), 다문화 수용성(t=6.122, p<.001)으로 나타났고, 다문화 효능감을 35.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세계 여러나라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World Cultures' Projec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aring Thinking)

  • 김수영;김성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50
    • /
    • 2017
  •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유아들에게 필요한 타인종과 타문화에 대한 바른 이해와 수용에 기초한 배려적 사고 형성의 중요성을 근거로, 세계여러나라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A어린이집의 만5세 유아 35명이며, 세계여러나라 프로젝트 활동을 경험하는 실험집단과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로 운영하는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계여러나라 프로젝트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생활주제로 수업한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다문화 수용성의 하위영역 중 다문화 개방성과 다문화 관계형성 능력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배려적 사고에 있어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세계여러나라 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배려적 사고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Compared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은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685-695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여 차이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실천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5차 한국아동 청소년 패녈 데이터를 통해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 4,092명의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수용성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이 중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과 중학생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은 어머니의 학력, 삶의 만족도, 또래관계, 교사관계, 공동체 의식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관적 학업성적, 지역사회인식, 문화적 활동경험, 해외방문경험이 발견되었으나, 중학생의 경우에는 가족 및 단체여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동과 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따른 적절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중학생들에게는 공동체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또래관계 증진 등의 그룹프로그램에 다문화이해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에게는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공동체 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중심의 비교과 프로그램, 다문화 강사 등을 통한 다문화이해교육 및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을 교과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