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모바일 기기 사용의 생활화로 인해 최근 많은 소비자들이 멀티채널 쇼핑(multi-channel shopping)이라는 새로운 쇼핑 행태를 보이고 있다. 온라인 쇼핑이 등장한 이후, 온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하기 전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먼저 확인하는 쇼루밍(showrooming) 형태의 멀티채널 쇼핑이 한 때 대세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워치 등 스마트 기기 사용의 폭발적 증가와 옴니채널(omni-channel) 전략으로 대표되는 오프라인 채널의 대대적 반격으로 인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하기 전 온라인(혹은 모바일)으로 정보를 먼저 확인하는 웹루밍(webrooming) 현상이 도드라지게 나타나 온라인 소매업자를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에서 웹루밍으로의 쇼핑전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싱글채널(single-channel) 혹은 멀티채널 쇼핑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밀고-당기기-이주이론(push-pull-mooring theory)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온라인 채널 쇼핑이 웹루밍 형태의 쇼핑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상품정보 탐색과 구매행위로 각각 구분하여 그 영향을 실증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웹루밍 경험이 있는 수도권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280개의 설문 표본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업 마케팅 종사자에게 멀티채널 소비자들을 관리하는 데 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향후 다양한 형태의 멀티채널 쇼핑전환 연구로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examined the main effect of the reward channel and reward time of customer loyalty programs for on-offline shopping channels;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reward channels and merchandise as well a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reward time and merchandise. An online apparel shopping web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2 (reward channel: online channel reward vs. offline channel reward) ${\times}2$ (reward time: immediate vs. delayed) ${\times}2$ (merchandise: online channel product vs. offline channel products)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An online shopping channel was considered the core-shopping channel and a department store was considered the cross-shopping channel. Loyalty program value, core-channel loyalty and cross-channel loyalty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A total of 845 shoppers (who had experiences in shopping in both channel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1) the main effect of the reward channel on loyalty program value, core-channel loyalty and cross-channel loyalty [online>offline channel rewards], (2) the main effect of reward time on loyalty program value, core-channel loyalty and cross-channel loyalty [immediate>delayed reward], and (3)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reward channel and merchandise on loyalty program value, core-channel loyalty, and cross-channel loyalty. (4) Finally the study found that loyalty program value affected cross-channel loyalty indirectly through core-channel loyalty. This study suggested divers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ulti-channel retailers.
본 연구에서는 다채널 전략의 의의를 고객관계관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다채널의 도입으로 기존 고객의 구매빈도와 구매금액, 그리고 구매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를 실증 분석한 결과 구매빈도와 구매금액, 구매수량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채널 전략이 고객의 생애가치 (customer lifetime value)를 높이는데 기여했음 것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다채널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단일채널을 고집하는 고객이 여전히 많은 상황에서 이들이 다채널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 주요 과제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가정 내 유통업체(In-home shopping channel)의 다채널 고객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정 내 쇼핑채널로서 TV, 카탈로그 및 인터넷 쇼핑채널 간 소비자의 정보탐색과 구매행동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가정 내 쇼핑채널들의 정보탐색과 구매행동과의 관련성을 채널 내 고객 고정(channel lock-in)과 채널 간 시너지(cross-channel synergy)로 구분하여 영향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1개월 동안의 가정 내 쇼핑채널 이용에 대한 자료를 345명의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채널 이용행동을 선택, 빈도 및 지출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만 결과 가정 내 쇼핑채널 간 정보탐색과 구매행동 간에는 높은 채널 내 고객 고정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낮은 채널 간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TV 채널의 경우 카탈로그와 인터넷 채널 간 대체성이 나타나는 반면에 카탈로그와 인터넷 채널은 보완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만 결과는 가정내 다채널 유통기업에게 채널 간 조정과 통합 및 고객관리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전제품 소매채널에 관한 소비자의 선호 및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가전제품 구매 채널 현황과 소비자들의 점포선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소비자가 특정 채널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소위 channel equity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접근 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가전제품 멀티채널 쇼핑환경은 소비자로 하여금 채널별로 차별화된 구매 패턴과 쇼핑동기를 만들어 주고 있었다. 백화점이나 대리점은 품질의 우수성과 A/S 측면에서 우세하며 대형할인점, 양판점, TV홈쇼핑, 인터넷쇼핑몰, 전자제품 판매 상가는 가격적인 측면이 경쟁 우위로 조사되었다. 채널별 소비자 만족도에 있어서는 애프터서비스가 잘되고 있는 백화점이나 대리점 등이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소매 채널임을 알 수 있다. 채널 에퀴티의 구성요인은 가격 경쟁력과 비교구매, 이용편리성, A/S, 판매원의 전문성, 배송의 신속성, 제품 검색용이, 판매원의 친절성, 매장의 쾌적성, 교통 편리성 등을 들 수 있다. 백화점의 경우 거의 모든 요소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어 채널 에퀴티가 높게 평가되었다. 인터넷 쇼핑몰은 제품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위에 있으며 TV홈쇼핑의 경우는 비교구매와 가격경쟁력에서 우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채널별로 채널 에퀴티를 구성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비중은 매우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채널 만족도를 평가한 후 에퀴티 포트폴리오와 채널별 에퀴티 구성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향후 채널 에퀴티의 개념과 관리 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본 연구는 멀티채널 환경 내에서 소비자의 쇼루밍에서 웹루밍으로의 쇼핑 행동 전환에 대한 연구로 밀고 당기기 이주 (Push-pull-mooring: PPM) 이론을 적용하였다. 웹루밍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푸쉬 효과 (Push effect), 풀 효과 (Pull effect), 그리고 계류 효과 (Mooring effect)로 설정하고, 쇼루밍의 실용적 쇼핑가치의 결핍을 푸쉬 효과로, 웹루밍의 경험적 쇼핑가치를 풀 효과로, 그리고 쇼루밍 락인을 계류 효과로 개념화하였으며,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들을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하고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276부의 설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 쇼루밍의 실용적 쇼핑가치 결핍과 웹루밍의 경험적 쇼핑가치는 웹루밍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쇼루밍 계류는 웹루밍 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multi-channel behavior for fashion product purchases and compared perceived risks by channel type. A survey involvi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in the Daegu and Gyungbuk area in December 2013. A total of 40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 t-test,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 internet shopping mall was the most frequently chosen retailer type for fashion product purchases and information searches. In addition, respondents also preferred independent branded stores, department stores, and non-branded stores. The number of retailer types for clothing item purchases ranged from 1 to 6 and the average was 3.06. The number of retailer typ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groups according to gender variables. Perceived risk had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for internet shopping malls. Department stores were recognized as a reliable retailer type. The construct of perceived risk was shown as similar in off-line stores such as department stores, independent branded stores, and non-branded stores. Instead, the construct was differentiated from the case of internet shopping malls. Some insightful suggestions wer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and industrial marketing plans based on th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onsume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shopping behaviors by the multi-selection of internet and offline stor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1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three as internet-store users, multi-store users, and offline-store us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ANOVA, post-hoc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as par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Regarding the offline shopping orientation, the groups showed difference in the impulsive orientation, and regarding the online shopping orientation, the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the goal oriented and enjoying orientation. In all the three cases, the internet users showed strongest orientation, and the next were multi-store users and offline-store users. The cause of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as the familiarity and experience with the channel. Second, the clothing shopping behaviors were also par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groups showed no differences in the preferred store type and benefits sought,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the internet shopping. The internet-store users showed most positive attitude, and the next were multi-store users and offline-store users.
This research evaluates the availability of consumers moving to integrated multi channels by a target analysis on the integrated online channel and verifies the possibility of a synergy effect created by the expansion of an integrated online channel. The objectives are to define the scope of benefits desired in fast fashion and online shopping, compare the desired benefits of fast fashion consumers, online shopping consumers and fast fashion, and online shopping consumers, investigate the acceptance intention of the integrated online channel of consumers, and verity its relationship with the desired benefits. As a result, all consumers indicate the desire to pursue social recognition, pleasure, individuality, economic and convenience orientation, and fashion-innovativeness through shopping activitie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an of social recognition benefit individuality benefit, economical and convenience orientation benefit, and fashion-innovativeness benefit. Lastly, the acceptance intention of the integrated online channel was significant in all groups and the desired benefits that affect the acceptance intention of the integrated online channel were social recognition for fast fashion consumers along with pleasure and individuality for fast fashion and online shopping consumers.
Purpose: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key reasons why One-brand Shop has been shrinking and Multi-brand shop is ris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end changes of customer behavior and distribution channel in the Korean cosmetic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ractiveness of cosmetics distribution channels from a store perspective and a consumer perspective.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def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ttractiveness of cosmetics distribution channels. A total of 300 sample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stor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ttractiveness of the cosmetics distribution channel were product quality, shopping convenience, and store accessibility in the group of single-brand store preferences, and product diversity and store experience in the group of multi-brand store preferences. Conclusions: Core competing factors of One-brand shop include product value, shopping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In contrast, Multi-Brand shops offer core competing factors of diversified product portfolio and shop function experience. A new trend has been found that the customer segments of the price-oriented group and the pleasure-oriented group have become the mainstream segments in the Korean cosmetic market. In conclusion, Multi-brand Shops are suggesting better overall customer experiences in terms of distribution channel attractiveness and customer value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