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ulberry leaves and branche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Pheophytin Content and Fibrinolytic Activity of Silkworm Feces in the Different Larval Stages of Silkworms

  • Ahn, Mi-Young;Ryu, Kang-Sun;Kim, Iksoo;Kim, Jin-Won;Lee, Heui-Sam;Lee, Yong-Ki;Kim, Eun-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5권2호
    • /
    • pp.195-199
    • /
    • 2002
  • In order to find potential anticancer agents, we extracted pheophytin in the silkworm feces from various larval stages by water, chloroform and methanol extraction. The cytotoxicity of the pheophytin extracts of various silkworm feces was measured in the CT-26 cells originated from murine metastatic colon cancer, by dye uptake assay. The cytotoxicity of those pheophytins in 2nd, 3rd and 4th instars was better than remaining larval stages. The in vitro anticoagulant and fibyinolyt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varietal mulberry leaves, mulberry branches and silkworm feces and pheophytin extracts from silkworm feces obtained at various larval stages were evaluated in order to find effective therapeutic drugs for the treatment of myocardial and cerebral thrombosis. The fibrinolytic activity was tested using th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thrombin time (TT) was measured for blood clotting activity. With regards to the fibrinolytic system, ethanol extracts of silkworm feces were better than varietal mulberry leaves and mulberry branches. The pheophytin extracts from 7th days of 5th instar contained the highest percentage of pheophytin and good fibrinolytic activity.

순상전 춘기말벌채고조의 발아상태와 충해 발생 관계 (Study of germination for none seasonal pruning mulberry farm and their insective diseases)

  • 도경화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13-21
    • /
    • 1963
  • (1) 춘추겸용 순상전에 있어서는 74.3%의 발아율이었고 미개엽의 발아율은 25.7%이었다. (2) 춘잠사육후 하기에 벌채를 하지 않고 고조로 잔치한 것이 있어서 발아하는 상태는 액아에서 발아성장한 것이 74.88%이고 춘기미개엽중에서 발아성장한 것이 25.12%의 비율이었다. (3) 신아가 착생하는 방위는 남북애에 있어서 정북향이 가장 적고 서남, 서북면에 착생이 가장 많았다. (4) 순상전에 있어서 하벌을 하지 않고 고조를 잔치하였을 때에는 해충의 서식처로 된다. (5) 저지대에 재배된 노상 순상전에 있어서는 다습하고 일조시간이 짧으면 상충의 발생이 심하다. (6) 추잠기 수엽기수엽량에 있어서는 지조를 벌채하지 않는 고조에서는 발아성장하는 기간이 길어서 하벌한 후 성장한 것에 비하여 수엽량이 많았다. (7) 근예정지 순상전으로서 하기에 채벌하지 않으면 비배관리나 기 익년에 지장을 가져오기 때문에 식재거리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8) 노상과 같은 품종은 교목식으로 재배는 부적당하며 또 적당한 재배거리를 밀식정도로 하는 것은 양책이라 할 수 없다. (9) 재배상 품종계통별에 있어서는 엽수형인 백상계가 일정한 지조에 대한 착생아수도 많았고 그 발아비율도 많았다.

  • PDF

추잠기의 중간벌채정도와 수량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Yield and the Cutting Length of Mulberry Branch in Autumn)

  • 김문협;임수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
    • /
    • 1977
  • 추잠기에 있어서의 중간베기 정도와 수량과의 관계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한 뽕나무의 발육상태는 거의 같은 정도이었으며 그 평균조장은 171cm~177cm의 범위안에 있었다. (2) 추잠기의 수량은 각구간에 거의 차가 없다. 다만 잔조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잔조에서의 재발아비율이 커진다. (3) 춘잠기의 수량은 100cm 또는 120cm 잔조구는 대조구와 큰 차가 없지만 80cm 이하의 잔조구는 상당히 떨어진다. 100cm 이상 잔조구의 수량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중간베기를 하면 잔조에서 불발아비율이 줄어들고 신아의 발육이 촉진되어 단위조장당 신초엽량이 증가하기 대문이다. 다만 중간베기를 하면 신초엽량중의 정엽량비율이 적어진다. (4) 춘추합계 수량에 있어서도 100cm 또는 120cm잔조구는 대조구와 같은 정도이지만 100cm 잔조구가 추잠기에 있어서 잔조에서의 적엽노력이 약간 적게 들어 유리하다. 따라서 추잠기에 있어서의 중간베기의 정도는 종래의 기준인 조장의 l/3 또는 1/2 중간베기의 중간에 위치하는 100cm 잔조를 기준으로 하는것이 타당할 것 같다.

  • PDF

뽕品種 '全原一號'의 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berry Variety, Jeonweon No. 1.)

  • 박광준;남학우;이종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26
    • /
    • 1983
  • 全原一號 品種은 1920年代 後半에 全北 原蠶種製造所에서 選拔하였으며, 1970年代 中盤까지 湖南一部 地方에 栽培되였었다. 本 品種의 正確한 特性 究明을 위하여 1977年에 水原과 全州에 改良뽕을 對照品種으로 全原一號 品種을 植栽供試하고 1979年부터 1982年가지 4個年間 栽培試驗을 實施하여 究明된 特性은 다음과 같다. 1) 全原 1號는 白桑系에 屬하는 中生種이다. 2) 枝條는 展開性, 條數型으로 伸張力이 弱하다. 3) 枝條의 枯損長比率은 改良뽕보다 약간 높으나 큰차 없었으며, 뽕나무 오갈병저항성과 耐倒伏性은 改良뽕보다 弱하다. 4) 年間改量은 正葉量으로 10a當 1,474kg으로서 改良보다 14% 적었다.

  • PDF

지배실생(용천뽕/개량뽕)의 생장점에 Colchicine 처리로 창성한 내동성계 4배체뽕 (Cold-hardiness Tetraploid Induced by Colchicine Treatment in Mulberry Seedings(Morus alba L. Yongchonppong/Kaeryanppong))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
    • /
    • 1994
  • 용천뽕에 개량뽕을 교배하여 채종한 종자가 발아하는 생장점에 0.2% colchicine용액을 적하처리하여 4배성인 4원뽕 11호, 12호, 13호 및 14호를 창성하였으며 그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이른봄의 발아개엽기는 개량뽕과 비슷한 중뽕이다. 2. 잎은 대형 또는 중형의 심장형이며 표면은 강강감이 있으며, 잎두께, 잎면적중, 수분율이 2배체에 비하여 증가 되었다. 3. 2배체인 교배모품종에 비하여 평균가지길이는 짧고 마디사이길이와 측지수는 두 모품종의 중간정도이었다. 4. 가지끝마름율은 1.6~2.5%로서 강한 내동성(cold hardiness)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내동성이 강한 3배체 육성소재로 유망하다.

  • PDF

뽕나무 내한성에 관한 연구 -특히 지조함유물질과 내한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Studies on Freezing Tolerance of Mulberry, Morus species -Relation between Freezing Tolerance and Some Substances in Mulberry Branches-)

  • 김호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25
    • /
    • 1980
  • 본 연구는 뽕나무 품종별 그리고 추기수확시기 및 방법에 따르는 내한성의 정도와 내한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조의 함유성분량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뽕나무 품종별 내한성은 용천추우, 자천 강원 3호 및 시평이 가장 강하였고, 노상, 개양서반, 유전 및 구상28호가 중간정도이었으며, 일지뢰, 모상, 구상21호 및 수원상3호가 가장 약한 품종에 속하였다. 2. 추기수확시기 및 방법과 잔엽부위에 따른 동아 50% 치사온도에 의한 내한성 검정결과는 포장에서의 선고장비율과 부의 상관관계(r=-0.5*)를 나타내었다. 뽕나무의 내한성 증대작용은 9월초부터 9월말까지 계속되며, 9월 중순에 그 정도가 가장 커서 이때의 적엽은 내한성을 약화시켰으며, 특히 전적엽 및 수확 후 기부잔엽을 내한성을 크게 약화시키었다. 그러나 적심 처리를 하면 내한성을 약화를 줄일 수 있었다. 3. 품종별 지조의 성분함량과 내한성과의 관계를 보면 조단백질 및 수용성 단백질함량은 부의 상관관계(r=-0.70*)이었으나, 이들에 대한 전탄수화물의 함량비에서는 정의 상관관계(각각 r=0.31 및 r=0.71*)이었으며, 당 및 RNA 함량과도 높은 정의 상관관계(각각 r=0.67* 및 r=0.99**)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건물률, 지방. 전탄수화물함량 및 DNA함량과는 무관하였다. 4. 뽕나무 지조에는 동기에 raffinose, lactose, sucrose, glucose, fructose. arabinose, xylose, ribose (추정) rhamnose등 9종의 당류가 동정되었다. 이들 당류는 내한성과 깊을 관련을 갖는데, 특히 당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sucrose, glucose 및 fructose의 함량차가 크게 영향 하였다. 5. 추기수확시기에 따라서는 9월 12일 전적엽구의 지조내 RNA함량의 심한 감소를 제외하고는 고 시기가 늦어지는데 따라서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수확방법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수확을 하게 되면 RNA함량이 감소되었으나 적심잔엽을 하면 그 감소를 줄일 수 있었다. 수확 후 잔엽부위별로 보면 중상부의 잔엽은 지조내 RNA함량을 증가시켰고, 상부의 말숙엽과 하부의 노령 옆을 잔엽하면 그 함량이 감소되었다. 수확방법에 따른 RNA함량과 내한성과는 꼭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r=0.51*).

  • PDF

Development of HPLC method for differentiation of three parts of mulberry tree

  • Eom, Ji Hyun;Vu, Thi Phuong Duyen;Cai, Linxi;Zhao, Yan;Li, Hong Xu;Yang, Seo Young;Kim, Young Ho;Kim, Seok Jin;Cho, Hyun So;Bao, Haiying;Chem, Jianbo;Kim, Kyung Tae;Kang, Jong Seong
    • 분석과학
    • /
    • 제30권3호
    • /
    • pp.130-137
    • /
    • 2017
  • The leaves (Mori Folium; MF), branches (Mori Ramulus; MR), and root bark (Mori Cortex Radicis; MCR) of the mulberry tree have been used as therapeutic herbs for centuries. Existing analytical methods were developed specifically for different parts of the tree and cannot be applied to samples containing a mixture of tree parts. Such method specialization is time-consuming and requires separate identification and quality control of each tree part. This report describes an HPL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quality control and discrimination of MF, MR, and MCR using four marker compounds: rutin, kuwanon G, oxyresveratrol, and morusin. An Optimapak $C_{18}$ column ($4.6{\times}250mm$, $5{\mu}m$) was used with a gradient elution of 0.1 % formic acid in water and acetonitrile. The flow rate was 1.0 mL/min and the detection wavelength was 270 nm. In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three parts, rutin (0.11 % w/w) was detected only in MF. The oxyresveratrol content (0.12 % w/w) was highest in MR. Kuwanon G (0.33 % w/w) and morusin (0.18 % w/w) were higher in MCR than in other parts. The HPLC method given herein can be used to simultaneously classify and quantify three herbal medicines from the mulberry tree.

잠업단지의 기술적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Survey on the Technical Status of Major Sericultural Farming Areas in Korea)

  • 김문협;김윤식;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5-154
    • /
    • 1972
  • 농어민 소득증대 사업으로 조성된 잠업단지에 대하여 그 기술적인 각종 조건을 조사분석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명확히 하여 잠업 증산에 기여코자 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표본조사된 농가 1호당의 뽕밭면적은 3.0∼370a의 범위안에 있고 그 평균은 45.1a이며 개간단지의 평균은 56.3a로 일반단지의 33.8a 보다 크다. 가장 면적이 큰 단지는 호남야산지구의 101.1a이고 가장 작은 것은 무진장지구의 20.8a이다. 규모별 분포를 보면 전농가의 66.5%가 11∼50a의 계층에 속하고 있다. (2) 뽕나무의 발육에 적당하지 못한 식토와 양토가 28.3%나 되고 특히 개간단지에서는 그 비율이 더 커서 36.2%를 차지하여 그 심토도 중점한 점토가 전체의 45%를 차지하고 이것도 개간단지에서는 54.2%나 된다. 또 유기질의 함량이 적은 것이 48.2%로 거의 반수에 가깝고 유기질이 많다고 생각되는 뽕밭은 7.2%에 불과하다. (3) 뽕나무의 품종은 일지뢰가 33.3%, 개량서반 25.7%, 수원상 4호 18.0%, 노상이 16.5%이며 이4품종으로 전체의 93.5%를 차지하고 있다. (4) 뽕밭은 92.3%가 순뽕밭이고 10a당의 식재주수는 480∼1,390주의 범위내에 있으며 그 평균 식재주수는 846주로 701∼1,000주의 계층이 91.3%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5) 뽕의 첫수확시기는 식재후 2년째 가을이 73.0%로 가장 많았지만 식재당년 가을과 식재 2년째 봄도 각각 12.7%, 8.7%로 적지 않았으며 첫수확방법으로서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한 것이 88.8%이다. 수확방법은 춘잠치잠기는 잎따기가 97.7%이고 장잠기는 순따기 또는 가지뽕으로 거두어 들인 다음, 순을 따는 방법을 합하여 80.0%이며, 추잠 치잠기는 잎따기가 97.7%, 장잠기는 잎따기가 91.7%이고 완전 적엽을 한 것도 7.1%(춘원지구는 47%)있었다. 그리고 춘기발아전벌채를 하는 농가는 17.8%에 불과하였다.

  • PDF

개간지 상전에 발생하는 발아불량 현상의 원인 및 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ause and Control for Non-sprouting Bud in the Utility Reclaimed Hill Side Mulberry Field.)

  • 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0
    • /
    • 1974
  • 본 연구는 산지개간상전에 발생하는 발아불량현상의 원인을 구명하고 방제법을 대립코자 1971∼1974년까지 4개년간에 걸처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피해증상은 춘기에는 지조의 선단부가 발아를 하지 않거나 발아도중 즉 탈포∼연구기까지 진행되다가 갑자기 말라 죽는다. 발아불량지조의 피층 및 인피부에는 Necrosis 현상이 일어나고 갈색으로 변한다. 추기에는 엽의 노화, 선단엽의 이상, 엽맥, 엽병이 양변한다. 2. 발아불량상전토양은 화강암모재에 점질의 비율이 매우 낮은 사양토로 되어 있으며 하층토가 치밀 견고하고 공극률이 너무 적어서 근군발달에 매우 불량한 토양구조로 되어 있었다. 특히 발아불량극심지의 심토는 건전지에 비하여 고상이 과대하여 한발시에는 수분부족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3. 발아불량극심상전은 건전상전에 비하여 토양수분함량이 유의하게 적었으며 특히 심토의 수분함량은 건전지가 적당한 수분함량을 유지하고 있었는데 반하여 발아불량극심지는 거의 위조점에 가까운 수분함량이었다. 4. 유방토심은 발아불량상전이 건전상전에 비하여 얕았고, 발아불량정도가 기한곳일수록 유방토심은 얕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5. 토양수분함량의 경시적변화는 토양내 유방붕소함량에 영향을 미쳤으며 발아불량상전의 수분함량은 건전상전에 비하여 6월 5일부터 9월 5일까지 계속 적은 함량을 유지하고 있었고, 유방붕소함량도 수분함량의 증감과 같은 경향으로 변화되였다. 6. 토양의 pH(4.7-5.6)와 유방붕소함량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유기물함량과 유방붕소함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7. 토양중 유방붕소함량은 발아불량상전이 0.19∼0.28ppm, 건전상전이 0.34∼0.43ppm으로서 발아불량상전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8. 엽 및 피층내의 붕소함량은 발아불량수가 건전수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9. 사경시험의 붕소결제구에서는 발아불량현상이 유발되었으며 그 피해증상은 포장에서 발생되는 증상과 동일하였다. 10. 석회의 시용은 시용량이 증가할 수록 발아불량현상을 다소 높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뽕나무의 발아불량현상은 붕소의 결핍에 기인되나 붕소의 결핍피해정도는 토양모재, 토양내 유기물함량 및 수분함량 그리고 석회시용등에 의해서도 좌우되는 것으로 인정된다. 11. 발아불량현상은 붕사를 10a 당 6∼9kg을 춘, 하2회분시하면 방제할 수 있으며, 10a당2,000kg의 퇴비를 수년간 계속시용하는 방법도 상당한 방제방과를 얻을 수 있다고 믿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