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berry fruits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2초

오디 생산용 뽕 품종 육성을 위한 교배모본 '팔청'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ltivar 'palchung' (Morus Lhou(Ser.) Koidz.) for mulberry breeding as pollen parent)

  • 성규병;김용순;김기영;김현복;지상덕;강필돈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47-154
    • /
    • 2014
  • 주로 누에사육을 위한 사료 생산용으로 이용되던 뽕나무의 용도가 다양화 되면서, 부산물로 이용되어 온 오디가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오디 생산에 적합한 뽕 품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새로운 오디용 뽕나무 품종의 육성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오디의 특성이 우수하고, 수량성도 비교적 높아 품종육성을 위한 교배용 화분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팔청'을 선발 육성하였으며 이 품종의 육성 경위와 특성은 아래와 같다. 1. '07 ~ '13년까지 수원, 공주, 완주 및 진주 4개 지역에서 '청일'을 대조품종으로 하여 지역적응시험을 거쳤으며, 직무 육성신품종 심의회에서 화분친 교배용 및 오디 생산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품종으로 인정되었다. 2. '팔청'은 국립농업과학원 잠사양봉소재과 뽕나무 유전자원 포장(수원소재)에 보존되어 있는 계통 중 오디의 특성이 우수한 팔청시평을 선발 육성한 품종이다. 3. '팔청'은 노상형(Morus Loou(Ser.) Koidz.)에 속하는 자웅동주이며, 탈포기는 대조품종 '청일' 보다 빠르지만, 발아개엽기는 '청일'과 비슷한 중생종이다. 4. '팔청'의 잎의 크기는 크고, 잎모양은 잎끝이 뾰족한 피침형으로 짙은 녹색이며, 잎자루의 길이가 길다. 5. 오디는 식재후 3년차부터 결실하기 시작하였으며, 시험기간 결실 5년간의 평균수량은 '청일' 보다 16% 낮은 품종이다. 6. 오디 한 개의 무게인 단과중은 2.2 g으로 '청일' 품종 2.1g과 비슷한 소과형이며, 완숙된 오디의 색상은 검은색으로, 오디의 당도는 $15.4^{\circ}Brix$로 '청일' 오디 $14.6^{\circ}Brix$ 보다 높다.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wo Fungal Species Causing Sclerotial Disease on Mulberry Fruits in Korea

  • Hong, Sung-Kee;Kim, Wan-Gyu;Sung, Gyoo-Byung;Nam, Sung-Hee
    • Mycobiology
    • /
    • 제35권2호
    • /
    • pp.87-90
    • /
    • 2007
  • A total of 520 overwintered sclerotia were collected from surface of soil under mulberry trees in six locations in Korea during February in 2006 and 2007. The collected sclerotia were tested for their germination in vitro and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ut of all sclerotia tested, 52.3% of the sclerotia germinated and produced two types of apothecia. The two types of fungi occurred from the sclerotia at the ratio of 49.8 vs. 50.2. The fungal type with cup-shaped apothecia was identified as Ciboria shiraiana and another type of fungus with club-shaped apothecia as Scleromitrula shiraiana. Taxonomy and distribution of the two sclerotial fungi were described and discussed.

난소를 절제한 흰쥐에서 오디가 혈 중 지질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fruits Extracts on Serum Lipid Level in Ovariectomized Rats)

  • 최경하;박미화;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34-839
    • /
    • 2005
  • 여성은 폐경 시 음식물 섭취가 증가하여 체중이 증가되고, 정상 여성보다 혈류관련질환 발병이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갱년기 장애시 유발되는 체내 지질 함량 증가에 있어 오디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인위적 폐경을 유발시킨 난소절제 횐쥐에 오디추출물을 투여하여 그에 따른 혈 중 효소 활성 및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난소 절제 후 오디추출물 투여는 난소절제로 인해 야기되는 혈 중 total- cholesterol 함량 및 혈청 지질농도의 증가를 감소하였다. 하지만 HDL-cholesterol은 난소절제 군에 비해 난소절제 후 오디추출물을 투여할 경우 그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LDL-cholesterol은 반대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어 오디추출물이 갱년기 장애 시 발생할 수 있는 혈 중 지질함량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혈류관련질환에 대한 개선 식품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뽕나무 품종별 오디추출물의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 김현복;김선여;류강선;이완주;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4-108
    • /
    • 2001
  • 뽕나무 품종별(대륙뽕, 국상20호, 수봉뽕, 야상오디, 카타네오)오디 메탄을 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콜레스테롤을 투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 뽕나무 품종별 오디의 메탄을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혈청 중의 콜레스테롤, 중성지질함량과 더불어 GOT, GPT, L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냉동건조시킨 오디의 메탄을 추출물 수율은, 대륙뽕 50.9%, 국상20호 62.0%, 수봉뽕 64.6%, 카타네오 49.8% 및 야생오디 43.5%로 수봉뽕 품종이 가장 높았고, 품종간 차이가 비교적 컸다. 2. 야상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은 중성지질함량을 감소시켜 정상의 85% 수준까지 회복되었고, 혈청 중 총 콜레스테를 함량은 국상20호 >카타네오 > 야삼오디 >수봉뽕 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 순으로 감소되었으나, 그 효과가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3.간장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청 중의 GOT, GPT및 LDH활성을 측정한 결과, 야상오디 메탄을 추출물 처리군은 GOT치를 감소시켜 정상의 86% 수준으로 회복시켰고, 국상20호는 68%, 수봉뽕은 66%, 카타네오는 50% 수준으로 GOT치를 감소시켰다.

  • PDF

진공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반건조 오디를 제조하는 방법 (A making the method of semi-dried mulberry fruit by vacuum freezing dryer)

  • 김현복;김성국;석영식;서상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0-54
    • /
    • 2015
  • 가공 중 파괴되기 쉬운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과 오디 고유의 맛, 향 및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말랑말랑한 반건조 오디를 제조함으로써 오디 자체를 식용 또는 식품(빵, 떡, 한과 등) 재료로서의 이용성, 실온 보관 및 유통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영하 $40^{\circ}C$ 이하에서 보관한 오디를 내부 온도를 $30{\sim}35^{\circ}C$ 사이로 맞춰 놓은 동결건조기에 넣고 23 ~ 24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오디는 열매끼리 뭉치지 않고 한 알씩 분리되며, 만졌을 때 손에 검은 색이 묻어나지 않는다. 특히 안토시아닌 색소인 C3G을 비롯해 루틴(rutin), 가바(GABA),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등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과 오디 고유의 맛, 향,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반건조 오디의 경우 수확 후 냉동보관에 필요한 시설유지비(전기료 등)가 들지 않으며, 건조 후 1년 정도 실온 보관이 가능하므로 수송유통이 편리함은 물론 연중 상시 구매가 가능하다. 또한 반건조 오디 생산에 걸리는 시간은 약 23 ~ 24시간으로 완전 건조 오디 생산 시 걸리는 시간(48시간)보다 절반가량 짧아 농가의 가공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단순 가공제품과 더불어 반건조 오디를 직접 식용 또는 다양한 식재료에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오디의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의 섭취를 통해 국민건강증진은 물론 소비확산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Quali-Quantitative Analysis of Flavonoids for Mulberry Leaf and Fruit of 'Suhyang'

  • Ju, Wan-Taek;Kwon, O-Chul;Lee, Min-Ki;Kim, Hyun-Bok;Sung, Gyoo-Byung;Kim, Yong-So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49-255
    • /
    • 2017
  • BACKGROUND: Globally, mulberry (Morus sp.) is exploited for feeding leaf to silkworms in order to obtain silk fiber or for animal feedstock production. Also, mulberry fruit is known to a by-product that was produced from mulberry tree after harvesting leaves for silkworm rearing, as a yield and consumption of mulberry fruit was increased, it has been fixing to a newincome crop. Mulberry leaves and fruits are used for the health benefits of human beings. Mulberry contains various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alkaloids and flavonoids. Mulberry flavonoid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diet because of their effects on human nutrition. The flavonoids in mulberry leaf and fruit of 'Suhyang'(Morus alba L.) were determined. METHODS AND RESULTS: Flavonoids for mulberry leaf and fruit of 'Suhyang' were analys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DAD-QTOF/MS)technique. An UPLC-DAD-QTOF/MS system was used, and identification of mulberry leaves constituent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complementary information obtained from LC spectra, MS ions, and MS/MS fragments. The mulberry leaf (16 flavonoids) and fruit (9 flavonoids) were isolated and analyzed from Suhyang using UPLC-DAD-QTOF/MS chromatogram.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Quercetin 3-O-(6"-O-malonyl) glucoside and quercetin 3-O-rutinoside (rutin) was detected on the highest content in leaf and fruit, respectively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devoted to evaluate their biological activity. CONCLUSION: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in mulberry leave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processed, functional products and offer possible industrial use of 'Suhyang', holding promises to enhance the overall profitability of sericulture.

오디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물질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ry Fruits)

  • 차원섭;신해룡;박준희;오상룡;이원영;천성숙;추재원;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83-387
    • /
    • 2004
  • 뽕나무 열매(오디)를 이용하여 천연항산화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오디로부터 페놀성 물질을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페놀성 물질의 추출은 60$\%$ ethanol을 사용하여추출하는 것이 수율이 가장 좋았으며, rutin과 isoquercetrin의함량이 높았다. 추출된 오디 추출물의 ABTS radical decolorization과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살펴 본 결과 ABTS는 80 추출물이 약 98$\%$의 억제율로 최고의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PF는 60$\%$ 추출물에서 1.25로 가장 높은 protection factor를 나타내었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60$\%$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이나 다른 농도의 ethanol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보다 우수하였다.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각 추출물들의 영향은 60$\%$ 에탄을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오디로부터 추출한 페놀성 물질은 천연 항산화 물질로 활용할 수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Improving productivity of mulberry trees and silkworm, Bombyx mori L., using vermicompost application

  • Ghazy, Usama M.;Fouad, Tahia A.;Ahmed, Ghada 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0권2호
    • /
    • pp.41-50
    • /
    • 2020
  • Vermicompost, manure, compost and organic fertilization are ecofriendly. Nowadays, many products resulted from sericulture consumed by humans such as mulberry leaves, fruits, mulberry tea, silk and natural silk cosmetics. Soil applications of three treatments with vermicompost (0.5, 1 and 2 tons per 0.42 hectare) and recommended rate of mineral fertilizer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were used for investigation. Impact of fertilization on mulberry plant traits of moisture, number of shoots/tree, total shoots length/tree, number of leaves/shoot, number of leaves/ (100g), leaf yield/tree and leaf yield of fadden/season were recorded. In addition the effect of fertilization on larval and cocoon characters of young instar duration, fifth instar duration, total larval duration, larval mortality percentage, weight of third instar larvae, weight of fourth instar larvae, weight of fifth instar larvae, fresh cocoon weight, fresh shell weight, pupae weight, cocoon shell ratio, silk productivity, cocooning percentage, pupation ratio, number of cocoons/ liter, crop cocoons by number, crop cocoons by weight, fecundity and fertility. Using vermicompost treatment was enhancing plant characters. Treatments of V3, V2 and V1 were shortage young, fifth and larvae durations. Mostly feeding silkworm during the whole larval duration on treated mulberry leaves with vermicompost improving the traits average. Using vermicompost for fertilization by rate of V3 and V2 is better than others for cocoon characters for females and males.V3 and V2 of vermicompost per 0.42 hectare is recommended for rearing mulberry silkworm instead of mineral fertilization.

대자뽕과 감백뽕의임성 및 오디의 과실적 특성 (Fertility and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s on Daejappong and Garmbacppong (Morus Spp.))

  • 박광준;성규병;이용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3-98
    • /
    • 2001
  • 오디용 뽕품종으로 국상20호의 동질4배체인 대자뽕(4원뽕 31호)을 육성하였으며, Turkey 재래종 중에서 3배성인 감백뽕을 선발 육성하였는바 그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염색체수는 대자뽕은 2n=56인 4배체이고, 감백뽕은 2n=42인 3배체 이다. 2. 대자뽕의 종자형성률은 48.2% , 침종자율은 32.7%로 낮았으나 발아율은 90%에 달하였다. 감백뽕의 종자형성율은 41.0% , 침종자율은 1.9%, 발아율은 7.0%에 불과하였다. 3. 대자뽕 오디의 단과중은 4.39 g로 대과충만형이고, 오디색은 연자색이며, 감백뽕 오디는 3.269의 중대형이고 유백색 이다. 4.대자뽕 오디의 당도는 14.2 Brix 총산도는 0.45%이며, 감잭뽕 오디의 당도는 19.3%로서 고당성이고 총산도는 0.15%이다. 5.두 품종 모두 오디의 숙기는 만숙성이고, 오디의 착과정도는 대자뽕은 많으며, 감백뽕은 보통수준이다. 춘기 발아개엽기는 공시품종 모두 중생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