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1

검색결과 9,409건 처리시간 0.043초

광도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뉴기니아 봉선화 생육 특성 및 화색 변화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Characteristic and Flower Color Change of New Guinea Impatiens 'Fishlimp 149')

  • 이호선;김수정;신우근;유병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6-411
    • /
    • 2006
  • 뉴기니아 봉선화(Impatiens hawkeri)는 광조건에 따라 생리적 반응이 매우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신품종 보호 재배심사(DUS test)시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이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 것인지 혹은 생리적 증상인지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뉴기니아 봉선화 'Fishlimp 149'를 비가림 하우스에 정식하고 광도조건에 따른 생육 및 화색발현을 구명하기 위하여 몇 가지 광도조건의 처리를 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구 ($1,010{\mu}mol{\cdot}m^{-2}{\cdot}s^{-1}$)에 비해 차광 1($599{\mu}mol{\cdot}m^{-2}{\cdot}s^{-1}$) 및 차광 2($88{\mu}mol{\cdot}m^{-2}{\cdot}s^{-1}$) 처리구에서 초장, 초폭, 잎 크기 및 소화경 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가장 광도가 낮은 차광 3($30{\mu}mol{\cdot}m^{-2}{\cdot}s^{-1}$)에서는 오히려 이들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되었다. 개화특성 조사에서는 차광 1처리가 화경, 상부 꽃잎폭, 측면 꽃잎폭, 하부 꽃잎길이 등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의 경우 줄기, 잎 및 소화경에서는 차광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소화경의 경우 차광 1처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차광 1처리가 뉴기니아 봉선화의 생장특성을 조사하는데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생육과정 중 나타나는 안토시아닌 축적은 유전적인 요인이 아닌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생리적인 현상인 것으로 생각된다.

0.1${\mu}{\textrm}{m}$ MOSFET를 위한 스케일링 방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caling Methodology for 0.1${\mu}{\textrm}{m}$ MOSFET′s)

  • 신희갑;류찬형;김환준;이철인;최현식;김태형;서용진;김창일;장의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13
    • /
    • 1996
  • In this work, a scaling methodology to scale down to or below 0.1$\mu\textrm{m}$ is presented, considering a current process technology. 0.12$\mu\textrm{m}$ nMOSFET's with both good performance and reliability is designed by this methodology

  • PDF

Computer-Assisted Sperm Analysis(CASA)를 이용한 제주마 정액의 운동성 평가 (Assessment of Jeju Horse Semen using Computer-Assisted Sperm Analysis (CASA))

  • 강태영;강민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5
    • /
    • 2006
  • 본 연구는 제주도 축산진흥원과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사육되고 있는 제주마 5두를 사용하여 인공질을 이용, 정액을 채취하여 정액의 일반성상 및 CASA를 이용하여 정자의 운동성과 생사 염색으로 기형률을 조사하였다. 제주마 정액의 일반 특성으로 총 정액량은 평균 42.5ml이었으며 평균 pH는 7.3, 평균 정자농도는 평균 $198.5X10^6/m1$ 이었다. 정자의 운동성은 $64.3{\pm}23.2%$이며, motility parameters 별로 VAP $70.4{\pm}28.7{\mu}m/s,\;VSL\;69.6{\pm}28.9{\mu}m/s,\;VCL\;94.1{\pm}30.0{\mu}m/s,\;ALH\;2.3{\pm}0.7{\mu}m/s,\;BCF\;7.6{\pm}1.1Hz,\;STR\;99.1{\pm}1.2%,\;LIN\;77.1{\pm}12.7%$로 나타났다. 정자 부위별 기형률은 두부가 평균 4 %, 경부가 평균 20 %, 미부가 평균 4 %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제주마의 유전자원 보존과 증식을 위한 인공수정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PLT(10) 박막의 Switching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witching Characteristcs of PLT(10) Thin Films)

  • 강성준;장동훈;윤영섭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11호
    • /
    • pp.63-70
    • /
    • 1999
  • PLT(10) 박막을 $Pt/TiO_2/SiO_2/Si$ 기판 위에 sol-gel법으로 제작하여, 상부전극의 면적과 외부인가 펄스전압 및 부하저항을 변화시켜 가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응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switching 특성을 조사하였다. 외부인가 펄스전압이 2V에서 5V 까지 증가함에 따라, switching time은 $0.49{\mu}s$에서 $0.12{\mu}s$로 감소하였으며, 인가된 펄스전압에 대한 switching time의 관계로부터 구한 활성화 에너지 ($E_a$)는 209 kV/cm이었다. 상부전극 면적이 $3.14{\times}10^{-4}cm^2$인 박막에서 이력곡선과 polarization switching 실험으로부터 구한 switched charge density는 5V에서 각각 $11.69{\mu}C/cm^2$$13.02{\mu}C/cm^2$으로 양쪽 값 사이의 오차는 약 10%로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부전극의 면적이 $3.14{\times}10^{-4}cm^2$에서 $5.03{\times}10^{-3}cm^2$으로 증가함에 따라, switching time이 $0.12{\mu}s$에서 $1.88{\mu}s$로 증가하였으며, 부하저항을 50${\Omega}$에서 3.3$k{\Omega}$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switching time은 $0.12{\mu}s$에서 $9.7{\mu}s$로 증가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switching 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PLT(10) 박막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응용될 수 있는 매우 유망한 재료임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의 인체기대 이형흡충류 및 간흡충 충란의 비교형태학적 검토 (Comparative Morphology of Eggs of Heterophyids and Clonorchis sinensis Causing Human Infections in Korea)

  • 이순형;황순욱채종일서병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171-180
    • /
    • 1984
  • 우리 나라의 인체기생 이형흡충류(요꼬가와흡충, Heterophyes heterophyes nocens, Stellantchasmus falcatus, Heterophyopsis continua, Pygidiopsis summa) 및 간흡충 충란의.비교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함으로써 대편검사에 의한 이들의 진단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충란은 감염자를 치료하여 얻은 각 충체의 자궁말단으로부터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고 전체적인 외형 및 형태는 물론 길이, 폭 및 길이1폭의 비를 구하여 종별로 비교검토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흡충 충란은 전단부가 오목한 약간 긴 난원형이며, 길이 $25.3-33.2{\mu}m$(평균 $28.3{\mu}m$), 폭 14.2-17.4 (15.9)${\mu}m$, 길이1폭의 비가 1.60~2.00(1.78)이었다. 이들은 난각에 주름(wrinkling)이 뚜렷한 점에서 관찰한 모든 이형흡충류 충란과 구별되었다. 2. P. summa의 충란은 난원형 또는 서양배 모양이며 관찰한 충란중 가장 작은 점이 특징이었고, 길이 $19.8~22.9(21.6){\;}{\mu}m$, 폭 $11.1~13.4(12.1){\mu}m$, 3 비는 1.63~1.99(1.78)이었다. 3. S. falcatus의 충란은 장란소형이며 가장 길쭉한 형태인 것이 특징이었고, 길이 $25.3~29.2(27,2){\;}{\mu}m$, 폭 $11.1~13.4(12.5){\mu}m$, 비는 2.00~2.57(2.17)이었다. 요꼬가와흡충 충란은 유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양단이 둥근 편이었고, 길이 $26.9~31.6(28.5){\mu}m$, 폭 $14.2~18.2(16.8){\mu}m$, 비는 1.48~2.11 (1.70)이 었다. 5. H. continua 충란은 난형이었고 요꼬가와흡충란이나 H. h. nocens 충란과 비슷한 경우도 많으나 충란의 길이에 비해서 폭이 가장 크고 최대폭이 충란 후반부에 있는 점이 특징적이었으며, 길이 $23.7~27.7(25.0){\mu}m$, 폭 $15.8~15.9(16.4){\mu}m$, 비는 1.33~1.75(1.53)이었다. 6. H. h. nocens의 충란은 유타도형 또는 난원형이나 요꼬가와흡충보다는 다소 덜 팽대되어 있고 양단이 다소 뾰족한 감을 주는 것이 특징이며, 길이 $23.7~29.2(25.7){\mu}m$, 폭 $14.2~15.8(15.4)){\mu}m$, 비는 1.50~2.06(1.67)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5종 이형흡충류 및 간흡충 충란은 형태학적으로 서로 감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많은 수의 충란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계측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LED 광원과 광도에 따른 참외의 묘소질 및 정식 후 생육 변화 (Effect of Seedling Quality and Growth after Transplanting of Korean Melon Nursed under LED light Sources and Intensity)

  • 이지은;신용습;도한우;정종도;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4-301
    • /
    • 2016
  • 참외 육묘 시설 내에서 우수한 품질의 모종을 생산하기 위한 LED 광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접목 활착 후 20일 동안 광원과 광도를 달리하여 묘소질과 정식 후 생육을 비교하였다. 광원은 청색광(B), 적청색 혼합광원(RB3, RB7)을 이용하였고, 광도(PPFD)는 50, 100, $200{\mu}mol{\cdot}m^{-2}{\cdot}s^{-1}$로 처리하였다. 조명시간은 일출(7:30) 전 2시간과 일몰(17:30) 후 2시간씩 하루에 총 4시간을 처리하는 일장연장법을 이용하였다. 참외 지상부의 생장지표인 접수 길이와 줄기직경은 청색광의 비율이 높을수록 길어지고 굵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청색혼합광원(RB3)이 다른 광원들에 비해 건물률과 조직의 충실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광합성률은 적색광의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RB7 $200{\mu}mol{\cdot}m^{-2}{\cdot}s^{-1}$ 처리구에서 $5.44{\mu}molCO_2{\cdot}m^{-2}{\cdot}s^{-1}$로 가장 높았다. 정식 후 RB3 $200{\mu}mol{\cdot}m^{-2}{\cdot}s^{-1}$ 처리구의 초장이 132.3cm로 가장 길었고, 마디수가 22.7개로 가장 많았으며 개화율도 75%로 가장높았다. 청색광(B) 단독으로 처리한 것보다는 적청색 혼합광원(RB3)으로 처리한 것이 묘소질을 양호하게 하였고, 광도를 $200{\mu}mol{\cdot}m^{-2}{\cdot}s^{-1}$로 높이는 것이 우량묘 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나무(Pinus densiflora) 줄기의 목부조직호흡 (Woody Tissue Respiration in Stems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Trees)

  • 김명현;;나영은;이정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03-20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동시에 여러 지점을 측정할 수 있는 open flow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나무 줄기에서 발생하는 호흡을 겨울과 여름 두 시기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줄기의 목부조직에서 호흡속도($R_{stem}$)는 겨울에 $0.25-0.55{\mu}mol\;m^{-2}s^{-1}$, 여름에 $1.25-1.63{\mu}mol\;m^{-2}s^{-1}$의 범위를 나타냈다. 시기별 측정된 수목(15개체)간 $R_{stem}$의 변화성은 변동계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결과 여름과 겨울이 모두 23%로 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변동계수 값에 근거하면 $R_{stem}$ 이 95% 신뢰수준에서 실제 값과의 차이가 10%와 20%보다 적기 위해서는 샘플링 수가 각각 최소 24개와 6개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겨울과 여름의 온도와 개체간 평균 $R_{stem}$의 상관관계에서, $Q_{10}$ 값은 겨울이 1.49, 여름이 1.45로 계절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R_{20}$(줄기 온도 $20^{\circ}C$일 때의 $R_{stem}$)은 겨울($0.61{\mu}mol\;m^{-2}s^{-1}$)보다 여름($1.23{\mu}mol\;m^{-2}s^{-1}$)이 두 배 정도 컸다.

도시대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입자중 음이온의 농도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Anion Concentration Distributions in Airbone Fine Particles in Urban Atmosphere)

  • 천만영;조기철;여현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
    • /
    • 1997
  • Anion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s of airborne fine particles less than 2 $\mu$m in urban atmosphere were determined from Feb. 5 to 16, 1996. The sampling was carried out using 8 stages Hering's low pressure impactor (LPI, aerodynamic cutoff diameters are 0.05, 0.075, 0.11, 0.26, 0.50, 1.0, 2.0, and 4.0$\mu$m) on the top of a five-story building located at Kon-Kuk university in Seoul. Average concentrations if C $l^{[-10]}$ , N $O_3$$^{[-10]}$ and S $O_4$$^{2-}$ were 9.4, 8.4, and 14.5 $\mu\textrm{g}$/㎥,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s of these anion concentrations were bimodal types which showed two peaks in the range of 0.075~0.12 ${\mu}{\textrm}{m}$ and 0.5~1 ${\mu}{\textrm}{m}$ in aerodynamic diameter. These results were 2.5~4.7 times higher than anion concentrations collected by Anderson low volume air sampler.

  • PDF

황련(Coptis chinensis Franch) 추출물의 항충치효과 (Anticariogenic effects of Coptis chinensis Franch Extract)

  • 장귀현;안병용;오석흥;최동성;권용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96-1402
    • /
    • 2000
  • 황련 추출물의 충치 예방효과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S. mutans JC-2에 대하여 황련 추출물 및 그의 주요 활성성분의 항균효과, 산생성 억제효과, GTase 활성 억제효과, 균체부착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은 물추물에 비하여 S. mutans에 대해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추출물의 S. mutans에 대한 최소저지농도(MIC)는 각각 $130\;{\mu}g/mL$, $200\;{\mu}g/mL$이었다. 황련의 주요 활성성분인 berberine과 palmatine의 MIC는 각각 $50\;{\mu}g/mL$, $110\;{\mu}g/mL$로 황련 추출물에 비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메탄올 추출물, berberine, palmatine을 $121^{\circ}C$, 15분간 열처리했을 때 항균효과가 전혀 감소하지 않아, 열에 매우 안정함이 확인되었다. S. mutans의 산생성에 대해서도 MIC 농도에서 메탄올 추출물, berberine, palmatine 모두 배양 24시간째에 산생성을 완전하게 억제하였다. GTase 활성 억제효과는 $300\;{\mu}g/mL$ 농도에서 메탄올 추출물, berberine, palmatine이 각각 23.2, 46.1, 17.1%의 억제율을 보였고, 물 추출물은 억제효과가 없었다. 반면에 S. mutans의 부착에 대해서는 생장 부분저해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 beberine, palmatine의 경우 저해율이 각각 59.2%, 13.3%. 4.2%, 41.7%로써 물 추출물과 palmatine이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황련 추출물의 충치억제효과는 주요 활성성분인 berberine과 palmatine의 S. mutans에 대한 항균효과, GTase 활성억제와 균체 부착 억제효과 등에 기인한 것이라 여겨지며, 황련 추출물이 충치예방을 위한 기능성 천연소재로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진해만에서 분리한 중심목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Grev.) Cleve의 성장에 미치는 광학적 특성 (Optical Characteristic on the Growth of Centric Diatom, Skeletonema costatum (Grev.) Cleve Isolated from Jinhae Bay in Korea)

  • 오석진;강인석;윤양호;양한섭
    • 환경생물
    • /
    • 제26권2호
    • /
    • pp.57-65
    • /
    • 2008
  • 진해만에서 분리한 중심목 규조류 S. costatum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과 파장을 알기 위해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온 20$^{\circ}C$와 염분 30 psu의 환경조건에서 광량과 성장의 관계식은 $\mu$=1.17 (I-5.25)/(I+81.8), (r=0.98)로 최대 성장속도는 1.17 day$^{-1}$, 반포화광량(K$_s$)은 92.4 ${\mu$mol photons $m^{-2}s^{-1}$ 그리고 보상광량(I$_0$)은 5.28 $\mu$mol photon $m^{-2}s^{-1}$)로 나타났다. 진해만에서 I$_0$에 해당하는 수심을 계산한 결과, 3월에서 5월은 3$\sim$5m, 6월은 11m, 7월에서 9월은 4m로 진해만에서 S. costatum은 표층에서 잘 성장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광저해현상은 150 $\mu$mol photons $m^{-2}s^{-1}$ 이상의 광량에서 세포밀도의 감소를 보여, S. costatum의 성장을 위한 최적 수심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성장에 미치는 파장의 영향을 알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근자외선 영역부터 근적외선영역을 포함하는 9개 파장 빛을 주사하였다. 25 $\mu$mol photons $m^{-2}s^{-1}$에서 S. costatum은 405, 470, 505, 525, 568, 644 nm에서 성장을 하였지만, 590m와 523nm에서는 성장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100 $\mu$mol photons $m^{-2}s^{-1}$는 모든 파장대에서 잘 성장하였다. 따라서 S. costatum은 황색파장대가 우점하는 폐쇄성 연안역에서 충분히 잘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