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ving Boundary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3초

부분 외곽선 정보를 이용한 이동물체의 추척 알고리즘 (A Study on Tracking Algorithm for Moving Object Using Partial Boundary Line Information)

  • 조영석;이주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5호
    • /
    • pp.539-54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배경과 구분되는 이동물체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분 외곽선 정보를 이용한 이동물체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동물체의 추적은 이동물체의 외곽선을 검출한 다음 외곽선 정보를 이동물체의 특징으로 정하여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먼저 이동물체 외곽선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한 동영상 입력에 대하여 속 BMA(Block Match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고 움직임 벡테를 기초로 이동물체를 추출한다. 다음은 이동물체 초기 특징 벡테 생성단계로서 이동물체에 대한 외곽선을 추출한다. 이동물체의 외곽선 영역 중 상하좌우의 외곽선 일부분을 특징벡터로 정한다. 다음은 추적단계로 이전 프레임에서 얻은 특징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이동물체의 추적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 대하여 실제영상을 가지고 이동물체추적 모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존 능동 윤곽선 추적알고리즘은 물체 외곽선 전체를 추적하기 때문에 물체의 외곽선 길이에 따라 처리시간이 변화하지만 제안된 알고리즘은 이동물체의 외곽선 영역을 특징정보로 하여 추적하기 때문에 추적연산이 간단하였다. 제안된 이동물체 추적알고리즘 중 이동벡터를 추출하는 BMA 연산은 기존 알고리즘 보다 연산량이 약 39%감소였으며, 상하 좌우 외곽선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물체를 추적한 결과 추적오차는 특징벡터의 크기가 [$10{\times}5$]일 때 검색오차가 2화소 이하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기본 능동 윤ㅅ곽선 축적알고리즘은 물체 외곽선 크기에 따른 처리시간이 변화하지만 제안된 알고리즘은 특징벡터의 크기가 일정하기 때문에 동일한 처리시간이 필요하였다.

  • PDF

이동 경계를 갖는 얕은 아치의 동적 모델과 지배방정식 (Dynamic Model and Governing Equations of a Shallow Arches with Moving Boundary)

  • 손수덕;하준홍;이승재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57-64
    • /
    • 2022
  • In this paper, the physical model and governing equations of a shallow arch with a moving boundary were studied. A model with a moving boundary can be easily found in a long span retractable roof, and it corresponds to a problem of a non-cylindrical domain in which the boundary moves with time. In particular, a motion equation of a shallow arch having a moving boundary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n integral-differential equation. This is expressed by the time-varying integration interval of the integral coefficient term in the arch equation with an un-movable boundary. Also, the change in internal force due to the moving boundary is also consider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governing equation was derived by transforming the equation of the non-cylindrical domain into the cylindrical domain to solve this problem. A governing equation for vertical vibration was derived from the transformed equation, where a sinusoidal function was used as the orthonormal basis. Terms that consider the effect of the moving boundary over time in the original equation were added in the equation of the transformed cylindrical problem. In addition, a solution was obtained using a numerical analysis technique in a symmetric mode arch system, and the result effectively reflected the effect of the moving boundary.

AN APPROACH FOR SOLVING OF A MOVING BOUNDARY PROBLEM

  • Basirzadeh, H.;Kamyad, A.V.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4권1_2호
    • /
    • pp.97-113
    • /
    • 2004
  • In this paper we shall study moving boundary problems, and we introduce an approach for solving a wide range of them by using calculus of variations and optimization. First, we transform the problem equivalently into an optimal control problem by defining an objective function and artificial control functions. By using measure theory, the new problem is modified into one consisting of the minimization of a linear functional over a set of Radon measures; then we obtain an optimal measure which is then approximated by a finite combination of atomic measures and the problem converted to an infinite-dimensional linear programming. We approximate the infinite linear programming to a finite-dimensional linear programming. Then by using the solution of the latter problem we obtain an approximate solution for moving boundary function on specific time. Furthermore, we show the path of moving boundary from initial state to final state.

축방향으로 주행하는 현의 횡진동 제어 (Transverse Vibration Control of an Axially Moving String)

  • 류두현;박영필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579-584
    • /
    • 2000
  • In this study. the time varying boundary control using the right boundary transverse motion on the basis of the energy flux between the moving string and the boundaries is suggested to stabilize the transverse vibration of an axially moving st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ve boundary control is showed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Sliding mode control is adopted in order to achieve velocity tracking control of the time varying right boundary to dissipate vibration energy of the string effectively. For the unmoving and moving string at various velocity under various tension the performance of the transverse vibration control using the time varying right boundary control with the suggested control scheme is experimentally demonstrated.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COASTAL INUNDATION OVER DISCONTINUOUS TOPOGRAPHY

  • Yoon, Sung-Bum;Cho, Ji-Hoon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75-87
    • /
    • 2001
  • A new moving boundary technique for leap-frog finite difference numerical mode is proposed for the resonable simulation of coastal inundation over discontinuous topography. The new scheme improves the moving boundary technique developed by Imamura(1996). The present scheme is tested using the analytical solution of Thacker(1981) for the case of free oscillation with moving boundary in a parabolic bowl. Finally, a numerical simulation is conducted for the flooding over a tidal barrier constructed on a simple concave geometry. A general feature of inundation over a discontinuous topography is well described by the numerical model.

  • PDF

새로운 객체 외곽선 연결 방법을 사용한 비디오 객체 분할 (Video object segmentation using a novel object boundary linking)

  • 이호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3호
    • /
    • pp.255-274
    • /
    • 2006
  • 비디오에서 움직이는 객체의 외곽선은 객체를 정확하게 분할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움직이는 객체의 외곽선에는 단락된 외곽선들이 존재하게 된다. 우리는 단락된 외곽선을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외곽선 연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외곽선 연결 알고리즘은 단락된 외곽선의 말단 픽셀에 사분면을 형성하고 동심원을 구성하면서 반지름 내에서 다른 말단 픽셀을 찾는 탐색을 전진하면서 수행한다. 외곽선 연결 알고리즘은 객체의 외곽선에서 가장 짧게 외곽선을 연결한다. 그리고 시스템은 비디오로부터 배경을 구하여 저장한다. 시스템은 외곽선 연결로부터 객체 마스크를 생성하고, 배경된 저장으로부터 또 하나의 객체 마스크를 생성하여 이 두 개의 객체 마스크를 보완적으로 사용하여 움직이는 객체를 분할한다. 논문의 주요 장점은 정확한 객체 분할을 위한 새로운 객체 외곽선 연결 알고리즘의 개발이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개발된 새로운 객체 외곽선 연결 알고리즘과 배경 저장을 이용하여 정확한 객체 분할, 다중 객체 분할, 내부에 구멍이 존재하는 객체의 분할, 가느다란 객체의 분할, 그리고 복잡한 배경을 가진 객체를 자동으로 분할하여 보여주었다. 우리는 알고리즘들을 표준 MPEG-4 실험 영상과 카메라로 입력된 실제 영상을 가지고 실험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들은 매우 효율이 좋으며 펜티엄-IV 3.4GHz CPU에서 평균적으로 QCIF 영상을 1초당 70.20 프레임 그리고 CIF 영상을 1초당 19.7 프레임을 실시간 객체 응용을 위하여 처리할 수 있다.

효율적인 이동물체 분할과 고속 추적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Moving Object Segmentation and Fast Tracking Algorithm)

  • 조영석;이주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3호
    • /
    • pp.359-36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매칭 에러 영상과 이동벡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이동물체 외곽선 검출 알고리즘과 부분외곽선 정보를 이용한 이동물체 고속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동물체의 외곽선 검출은 watershed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확률분포함수를 적용하여 seed 영역을 생성하고 seed 영역을 확장하여 이동물체의 윤곽선을 검출한 다음 이동벡터를 이용하여 최종 외곽선을 추출한다. 외곽선 중 일부를 특징으로 하여 이동물체를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동물체 초기 특징 벡터는 이동물체의 외곽선 영역 중 상하좌우의 외곽선 일부분을 특징벡터로 정한다. 다음은 추적단계로 이전 프레임에서 얻은 특징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이동물체의 추적을 수행하였다. 실제영상에 대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이동물체추적 모의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존 능동 윤곽선 추적알고리즘은 물체 외곽선 전체를 추적하기 때문에 물체의 외곽선 길이에 따라 처리시간이 변화하지만 제안된 알고리즘은 이동물체의 외곽선 영역을 특징정보로 하여 추적하기 때문에 추적 연산이 간단하였다. 고속이동벡터를 추출 BMA 연산은 기존 알고리즘 보다 연산량이 약 39% 감소였고, 이동 물체 외곽선 검출 알고리즘은 과분할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상하 좌우 외곽선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물체를 추적한 결과 추적오차는 특징벡터의 크기가 $(15\times{5)}$일 때 검색오차가 4 화소 이하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공간기반 객체 외곽선 연결과 배경 저장을 사용한 움직이는 객체 분할 (Moving Object Segmentation using Space-oriented Object Boundary Linking and Background Registration)

  • 이호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2호
    • /
    • pp.128-139
    • /
    • 2005
  • 동영상에서 움직이는 객체의 외곽선은 객체의 분할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객체의 외곽선에는 끊어진 외곽선(broken boundary)들이 많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새로운 공간 기반 외곽선 연결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끊어진 객체의 외곽선을 연결하였다. 객체 외곽선 연결 알고리즘은 끊어진 외곽선의 말단 픽셀(terminating pixel) 주변에 4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반지름 범위 내에서 전 방향으로 탐색을 수행하여 가장 가까운 다른 말단 픽셀을 찾아 끊어진 객체의 외곽선을 연결한다. 시스템은 또한 입력된 동영상들로부터 배경을 저장한다. 시스템은 객체의 외곽선 연결 수행 결과로부터 하나의 객체 마스크를 생성하고 저장된 배경으로부터 또 하나의 객체 마스크를 생성하여 이 두 개의 객체 마스크를 함께 사용하여 동영상으로부터 움직이는 객체를 분할한다. 또한 시스템은 Roberts 기울기 연산자를 사용하여 추출된 움직이는 객체로부터 그림자도 제거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가장 큰 특징은 더욱 정확한 움직이는 객체의 분할과 내부에 구멍이 존재하는 움직이는 객체의 분할이다. 우리는 개발된 알고리즘을 표준 MPEG-4 테스트 영상과 카메라로 입력된 동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매우 좋은 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알고리즘은 2.0GHz Pentium-IV CPU에서 QCIF 영상은 최소한 초당 49 프레임이상 처리할 수 있으며 CIF 영상은 최소한 초당 19 프레임 이상 처리할 수 있다.

속도경계제어를 이용한 축방향 주행 현의 횡진동 제어 (Transverse Vibration Control of an Axially Moving String by Velocity Boundary Control)

  • 류두현;박영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1호
    • /
    • pp.135-144
    • /
    • 2001
  • In this study, the time varying boundary control using the right boundary transverse motion is suggested to stabilize the transverse vibration of an axially moving string on the basis of the energy flux between the moving string and the boundaries.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ve velocity boundary control is showed through the FDM simulation results. Sliding mode control is adopted in order to achieve velocity tracking control of the time varying right boundary to dissipate vibration energy of the string effectively. Optical sensor system for measuring the transverse vibration of an axially moving string is developed, and the angle of the incident wave to the right boundary, which is the input of the velocity boundary controller, is obtained. Experimental research is carried out to examine the validity and the performance of the transverse vibration control using the suggested velocity right boundary control scheme.

2차원 지면효과에 대한 난류 유동장 해석 Part II. 지면경계 조건의 영향에 대한 연구 (Turbulent Flow Simulations on 2-Dimensional Ground Effect Part II. Study on the Effects of Ground Boundary Conditions)

  • 김윤식;이재은;김유진;권장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670-676
    • /
    • 2007
  • A comparative study on ground boundary conditions for the airfoil in ground effect has been carried out.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larify effects of the ground boundary conditions so that it will be helpful to analyse results of wind tunnel tests using the fixed ground board or the image method. A low Mach number preconditioned Navier-Stokes solver using the overlap grid method has been applied. It has been turned out that results with the symmetric boundary condition are almost the same to those with the moving boundary condition. Results with the fixed ground boundary show discrepancy to those with the moving boundary condition when flow separation on the ground board takes 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