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se skin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3초

창이자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 유발 생쥐의 비장 세포 Th17의 세포분화 억제에 따른 아토피 피부 상태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Xanthium strumarium Extract Suppressing Th17-cell Differentiation and Anti-dermatitic Effect in BMAC-induced Atopy Dermatitis of NC/Nga Mice)

  • 김금란;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383-392
    • /
    • 2009
  • 아토피피부염 (AD)은 천식, 음식 알레르기, 비염 같은 전신아토피질환을 동반하는 만성재발성 피부염증질환이다. 아토피피부염과 관련된 IL-17의 임상적 역할은 다양한 조건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건선 피부 상태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 IL-17은 각질세포 (keratinocytes)에서 과잉으로 생산되며, 아토피피부염의 말초임파구에서도 다량 생성됨을 세포내염색을 통하여 확인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이자 추출물 (XS-E와 XS-FL)이 NC/Nga 생쥐의 $CD4^+$ T 세포에서 유도된 Th17 세포의 분화억제 및 IL-17의 생산량 감소 효과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XS-E와 XS-FL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4일간 XS-E와 XS-FL에 동시배양 한 $CD4^+$ T 세포의 IL-17 생산량을 FACS로 분석한 결과 $100\;{\mu}g$/mL XS-E 처리군의 IL-17 생산량은 32.3%로 대조군에 비하여 2배 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20\;{\mu}g$/mL XS-30% AFL (acetone XS-FL) 처리군의 Th17 세포는 19.6%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3.5배 억제되었다. 또한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IL-17A와 IL-22 mRNA의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IL-17A와 IL-22 mRNA의 유전자발현의 RQ값은 XS-E와 XS-30% AFL를 처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p < 0.01, p < 0.001). ELISA로 측정한 IL-17A 생산량은 XS-E와 XS-30% AFL를 처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 (p < 0.05, p < 0.001)하였다. Th17 세포의 증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rIL-6와 TGF-$\beta$로 분화시킨 Th17 세포를 CFSE로 표지한 후 rIL-23 처리를 하여 4일간 배양하여 증식을 유도시켰다. 대조군의 Th17 세포 분열은4일 동안 4번에 걸쳐 비슷한 세포수의 증식이 일어나는 것을 CFSE를 통하여 확인하였고, XS-30% AFL 처리군은 CFSE의 형광 분포가 점점 감소하여 Th17 세포의 증식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표적세포의 Nitric oxide 합성이 LAK 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 예민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rget cell nitric oxide synthesis on the sensitivity to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 cytotoxicity)

  • 박성일;박주형;이치국;김신재;최보금;곽재용;임창열
    • IMMUNE NETWORK
    • /
    • 제1권2호
    • /
    • pp.162-169
    • /
    • 2001
  • Background: Nitric oxide (NO), a cytotoxic molecule is produced in various tissues including tumor cells during interleukin-2 (IL-2) therapy . Lymphokine-activated killer (LAK) cells are induced during IL-2 therapy, and have cytotoxic activity against tumor cell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O synthesized in target cells or exposure of target cells to NO on the sensitivity of target cells to LAK cell cytotoxicity. Methods: Cytotoxicity was measured using 4 h chromium release assays. LAK cells which were induced by a 4 day incubation of BALB/c mouse splenocytes with IL-2 (6,000 IU/mL) were employed as effector cells. RD-995 skin tumor cells originated from a C3H/HeN mouse were employed as target cells. NO synthesis in target cells was induced by a 24 h incubation of RD-995 cells with $IFN{\gamma}$ (25 U/mL), TNF (50 U/mL) and IL-1 (20 U/mL). S-nitrosyl acetylpenicillamine (SNAP), an NO donor, was used to expose target cells to NO. $N^G$-monomethyl-L-arginine (MLA) and carboxy-PTIO were added during cytotoxicity assays to inhibit NO synthesis, and to scavenge NO produced by target cells, respectively. Results: Sensitivity of NO-producing RD-995 cells to LAK cell cytotoxicity was decreased by addition of MLA and carboxy-PTIO during cytotoxicity assays. However, the two reagents had no effect on the sensitivity of non-NO-producing RD-995 cells. Pretreatment of RD-995 target cells with SNAP increased the sensitivity in comparison with untreated cells. Conclusions: Sensitivity of target cells to LAK cell cytotoxicity is increased by target cell NO synthesis or exposure to NO.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whether these in vitro results have relevance to in vivo phenomena.

  • PDF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Makino) 껍질에서 분리한 신규화합물 (Jeju-Erythrane)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New Compound (Jeju-Erythrane) Isolated from Bark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 강민철;고려경;김수경;최호민;진영준;한종헌;김봉석;이남호;김기옥
    • KSBB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30-336
    • /
    • 2010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껍질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화합물 (Jeju-Erythrane)의 항산화 활성 및 B16F10 mouse melanoma 세포에서의 tyrosinase와 멜라닌 생합성의 억제효과를 확인하여, 유용자원으로서 미백 및 기능성 화장료로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신규화합물인 Jeju-Erythrane의 항산화 활성은 확인되지 않았고, B16F10 세포에서 tyrosinase와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tyrosinase와 TRP-1 유전자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양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하지만, TRP-2 단백질과 mRNA는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껍질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화합물 (Jeju-Erythrane)이 미백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Oral Administration of β-Glucan and Lactobacillus plantarum Alleviates Atopic Dermatitis-Like Symptoms

  • Kim, In Sung;Lee, Seung Ho;Kwon, Young Min;Adhikari, Bishnu;Kim, Jeong A;Yu, Da Yoon;Kim, Gwang Il;Lim, Jong Min;Kim, Sung Hak;Lee, Sang Suk;Moon, Yang Soo;Choi, In Soon;Cho, Kwang 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1호
    • /
    • pp.1693-1706
    • /
    • 2019
  • Atopic dermatitis (AD)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of mainly infants and children. Currently, the development of safe and effective treatments for AD is urgently require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yeast-extracted β-1,3/1,6-glucan and/or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LM1004 against AD-like symptoms. To purpose, β-1,3/1,6-glucan and/or L. plantarum LM1004 were orally administered to AD-induced animal models of rat (histamine-induced vasodilation) and mouse (pruritus and contact dermatitis) exhibiting different symptoms of AD. We then investigated the treatment effects on AD-like symptoms, gene expression of immune-related factors, and gut microbiomes. Oral administration of β-1,3/1,6-glucan (0.01 g/kg initial body weight) and/or 2 × 1012 cells/g L. plantarum LM1004 (0.01 g/kg initial body weight) to AD-induced animal model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vasodilation in the rat model, and pruritus, edema, and serum histamine in the mouse models (p < 0.05). Interestingly, β-1,3/1,6-glucan and/or L. plantarum LM1004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RNA levels of Th2 and Th17 cell transcription factors, while the transcription factors of Th1 and Treg cells, galactin-9, filaggrin increased, which are indicative of enhanced immunomodulation (p < 0.05). Moreover, in rats with no AD induction, the same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lative abundance of phylum Bacteroidetes and the genus Bacteroides. Furthermore, bacterial taxa associated with butyrate production such as, Lachnospiraceae and Ruminococcaceae at family, and Roseburia at genus level were increased in the treated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β-1,3/1,6-glucan and/or L. plantarum LM1004 has a great potential for treatment of AD as well as obesity in humans through mechanisms that might involve modulation of host immune systems and gut microbiota.

양식산 황복에서 tetrodotoxin 유사 독소의 미량 존재 가능성 제시 (Possible existence of tetrodotoxin-like toxins in cultured river puffer fish, Takifugu obscurus)

  • 김도영;김주완;박기석;강희웅;전중균;정준기;최상훈;최민순;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73
    • /
    • 2009
  • 양식산 복어에서는 tetrodotoxin(TTX)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양식산 황복(Takifugu obscurus)에는 TTX가 존재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 생쥐를 이용한 bioassay로 여러 장기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자연산에서는 동물이 치사하는 수준의 독력을 함유한 시료가 있었으며 정소>간장>장>근육>피부의 순으로 독력이 확인되었다.양식산 시료에서는 TTX의 미량존재로 추정되는 졸림, 행동둔화, 후지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났지만 치사동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양식 산 황복에서 TTX가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할가능성을 제시하지만 기기분석법을 이용한 정확한 정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Cordycepin-고함유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발효 추출물의 미백효과 (Anti-melanogenesis in B16F0 Melanoma Cells by Extract of Fermented Cordyceps militaris Containing High Cordycepin)

  • 차재영;김성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16-1524
    • /
    • 2013
  • 본 연구는 Monascus purpureus (Mp), Aspergillus oryzae (Ao), Aspergillus kawachii (Ak) 및 Rhizopus oryzae (Ro) 균주로 Cordycepin-고함유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CM${\alpha}$)를 발효시켜 수용성 추출물을 얻어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농도와 항산화 및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Ak로 발효시킨 CM${\alpha}$ (AkF-CM${\alpha}$)에서 각각 46 mg/g 및 093 mg/g과 6274% 및 7997%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kF-CM${\alpha}$를 선택하여 멜라닌 세포(B16F0 mouse melanoma cell)에서 미백효과를 검토하였다. 양성 대조구 arbutin 처리 B16F10 melanoma 세포는 92% 이상의 세포 생육과 43%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고, AkF-CM${\alpha}$ 1, 3 및 5 mg/ml 처리 시 멜라닌 생성은 각각 35, 45 및 53% 억제되었다. 또한 AkF-CM${\alpha}$은 멜라닌 세포 내 tyrosinase 활성과 mushroom tyrosinase 활성 모두를 저해시켰고, 멜라닌 생성 관련 tyrosinase 단백질 발현량도 무첨가군에 비해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Aspergillus kawachii 균주로 발효시킨 Cordycepin-고함유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수용성 추출물은 미백 화장품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접촉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단핵구의 유출 및 염증 반응에 대한 CD99-유래 펩타이드 CD99CRIII3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D99-derived Peptide CD99CRIII3 on the Extravasation of Monocytes and Inflammatory Reactions in Contact Dermatitis Mouse Model)

  • 주현미;박경한
    • 해부∙생물인류학
    • /
    • 제31권4호
    • /
    • pp.143-149
    • /
    • 2018
  • 접촉피부염은 피부가 이물질과 접촉함으로써 일어나는 염증반응으로 백혈구 혈관외유출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선행연구 결과 CD99가 ${\beta}1$ 인테그린 의존적 메커니즘을 통하여 단핵구의 혈관외유출을 조절하며, 따라서 염증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의 신규 표적 분자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D99 유래 펩타이드인 CD99CRIII3가 단핵구의 혈관외유출과 접촉피부염 생쥐 모델에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인간 단핵구 세포주인 U937를 CD99CRIII로 처리할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beta}1$ integrin의 활성도가 감소되었으며, 이 세포주의 사람제대정맥내피세포에의 부착과 혈관외유출도 억제되었다. 나아가 CD99CRIII3는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처리에 의해 유발된 생쥐 접촉피부염 모델에서 Evans Blue의 혈관투과와 귀조직 무게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CD99CRIII3가 단핵구의 혈관외유출과 접촉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CD99 유래 펩타이드가 피부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Anti-atopic dermatitis effects of Parasenecio auriculatus via simultaneous inhibition of multiple inflammatory pathways

  • Kwon, Yujin;Cho, Su-Yeon;Kwon, Jaeyoung;Hwang, Min;Hwang, Hoseong;Kang, Yoon Jin;Lee, Hyeon-Seong;Kim, Jiyoon;Kim, Won Kyu
    • BMB Reports
    • /
    • 제55권6호
    • /
    • pp.275-280
    • /
    • 2022
  •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AD) is challenging due to its complex etiology. From epidermal disruption to chronic inflammation, various cells and inflammatory pathways contribute to the progression of AD. As with immunosuppressants, general inhibition of inflammatory pathways can be effective, but this approach is not suitable for long-term treatment due to its side effect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 plant extract (PE) with anti-inflammatory effects on multiple cell types involved in AD development and provide relevant mechanistic evidence. Degranulation was measured in RBL-2H3 cells to screen 30 PEs native to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arasenecio auriculatus var. matsumurana Nakai extract (PAE) in AD, production of cytokines and nitric oxide, activation status of FcεRI and TLR4 signaling, cell-cell junction, and cell viability were evaluated using qRT-PCR, western blotting, confocal microscopy, Griess system, and an MTT assay in RBL-2H3, HEK293, RAW264.7, and HaCaT cells. For in vivo experiments, a DNCBinduced AD mouse model was constructed, and hematoxylin and eosin, periodic acid-Schiff, toluidine blue, and F4/80-staining were performed.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PAE were analyzed by HPLC-MS. By measuring the anti-degranulation effects of 30 PEs in RBL-2H3 cells, we found that Paeonia lactiflora Pall., PA, and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show an inhibitory activity of more than 50%. Of these, PAE most dramatically and consistently suppressed cytokine expression, including IL-4, IL-9, IL-13, and TNF-α. PAE potently inhibited FcεRI signaling, which mechanistically supports its basophil-stabilizing effects, and PAE downregulated cytokines and NO production in macrophages via perturbation of toll-like receptor signaling. Moreover, PAE suppressed cytokine production in keratinocytes and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tight junction molecules ZO-1 and occludin. In a DNCB-induced AD mouse model, the topical application of PAE significantly improved atopic index scores, immune cell infiltration, cytokine expression, abnormal activation of signaling molecules in FcεRI and TLR signaling, and damaged skin structure compared with dexamethaso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AE was mainly due to integerrimine. Our findings suggest that PAE could potently inhibit multi-inflammatory cells involved in AD development, synergistically block the propag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and thus alleviate AD symptoms.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액의 생리적 기능 (Physiological Fun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Broth Containing Fagopyrum esculentum and Saccharina japonica)

  • 전숭종;김애령;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10-11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각종 곡물(메밀, 귀리, 검은깨, 검은콩, 율피, 현미, 보리, 들깨, 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actobacillus brevis AR1의 발효물 중에서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화장품 소재를 조사하였다. 그결과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b. brevis AR1의 발효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효과적으로 콜라겐 합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다시마 함유 Lb. brevis AR1의 발효물은 양성 대조구인 β-glucan 보다 높은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내었다. Lb. brevis AR1은 메밀 또는 다시마와 함께 4% MSG를 첨가한 배지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180 mM의 GABA를 생산하여 84.5%의 GABA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b. brevis AR1의 발효물은 생쥐 피부의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졌고 섬유아세포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메밀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Lb. brevis AR1의 발효물이 피부 주름 개선과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판되고 있는 까칠복(Fugu stictonotus)의 독성 (Toxicity of the Pufferfish Fugu stictonotus ('Ggachilbog') Collected at a Fish Market of Pusan)

  • 김경찬;박진우;이명자;김상록;김동수;김현대;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1-34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까칠복을 시료로 하여 개체별 부위별에 따른 독성을 조사하고, 북구주산 및 삼릉산 까칠복과의 지역차 및 개체차를 비교 검토하였다. 간장의 경우에 있어서는 수컷은 전 개체가 무독하였으나, 암컷은 유독 개체 출현율이 $40\%$ (2/5), 최고 독성치는 107MU/g이었다. 난소의 경우는 유독 개체 출현율이 $60\%$ (3/5), 최고독성치는 109MU/g이었다. 근육과 정소의 경우는 전 개체가 무독하였다. 껍질의 경우는 수컷의 전 개체가 무독하였으나, 암컷의 경우는 유독 개체 출현율이 $40\%$ (2/5), 최고독성치가 29MU/g이었다. 담즙의 경우는 수컷은 무독하였으나, 암컷의 경우는 유독 개체 출현율이 $60\%$ (3/5), 최고 독성치는 93MU/g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북구주산의 까칠복보다는 독성차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삼릉산의 것에 비하여는 독성치가 다소 낮게 검출되어, 동일 종일지라도 지역차, 개체차 및 성별차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