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unting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선박용 디젤엔진의 탄성지지계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Resilient Mounting Systems for Marine Diesel Engines)

  • 김성춘;이돈출;김의간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56-67
    • /
    • 1994
  • The installation methods of diesel engines in ships w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 one is the direct mounting system fixing engine directly into double bottom of the hull, and the other is the resilient mounting system having vibration absorbers between engine and ship body such as rubber plate to prevent shocks or vibration transmission. The direct mounting system is generally used for large-sized low speed diesel engines, because the resilient mounting system has difficulties in reducing the natural frequency of engine itself under normal speed. On the contrary, the resilient mounting system is often used for medium or high speed engines for marine propulsion and generator that have light weight and high revolution speed. Recently, it is even applied to engines having relatively low speed(300-400rpm) for fishing boats. Although many researches for the resilient mounting system have been carried out, many problems in applying these results directly to marine vessels because most of these have been used for automobiles. Up to now we have had to depend on the professional foreign company in design and the supply of parts for the resilient mounting system of marinediesel engines utterly. In preseut study, the exciting forces of engines effecting to resilient mounting were examined, and patterns of vibration and evaluation procedure for force transmission from resilient mounting to the body of hull were established. Also, these results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of free and forced vibration for the rubber-type resilient mounting systems of marine diesel engines. Besides, after changing the various design parameters, such as locations, angles, dynamic characteristics and the number of resilient mountings, the influences on resilient mounting system were also examined.

  • PDF

A Study about weight grant of Authentication level in USN environment

  • Choi, Bae-Young;Ahn, Byung-Ryul;Chung, Tai-Myoung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5년도 6th 200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Communications and System
    • /
    • pp.165-168
    • /
    • 2005
  • The objects, which can b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electronic rings, doors or even clothes, offer embedded chips with computation facilities and are generally called artifacts. I later realized that this was not so the real problem is actually authentication. Recent results indicate scalability problems for flat ad hoc networks. Sensor network achieves function that handle surrounding information perception through sensor and sensed information to network that is consisted of sensor nodes of large number. Research about new access control techniques and height administration techniques ne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persons' certification assurance level classification in sensor network environment which become necessary different view base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at node for application of AAA technology in USN environment that must do authentication process using information that is collected from various sensor mountings. So, get bas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sensor type and present weight grant model by security strength abo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information who draw. In this paper collected information of sensor nodes model who give weight drawing security reinforcement as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purpose present be going to. and Must be able to can grasp special quality of each sensor appliances in various side and use this and decide authentication assurance level for value estimation as authentication information elements. Therefore, do to define item that can evaluat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lements thus and give simple authentication assurance level value accordingly because applying weight. Present model who give authentication assurance level value and weight for quotation according to security strength.

  • PD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Bos indicus Cattle after a Superovulatory Treatment Compared to Cows Synchronized for Estrus

  • Jimenez, A.;Bautista, F.;Galina, C.S.;Romero, J.J.;Rubio, 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0호
    • /
    • pp.1365-1371
    • /
    • 2011
  •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sexual behavior in Bos indicus was assessed through the continuous observation of sexual receptivity. Two groups of cows were formed: only synchronized (n = 50) and other group further superovulated (n = 20). An intravaginal implant that released progesterone over 9 d was used. After removing the implant, 25 mg of $PGF_{2{\alpha}}$ was administered. In the superovulated group, the administration of 280 mg (Follicle stimulant hormone) FSH-P1 per cow with a decreasing dosage over 4 d was utilized. In both groups, behavioral observations began at the moment of implant removal. Sexual behavior was analyzed using a Kruskal-Wallis test to compare the mean of hours in estrus, effective mountings and number of mounts/hour during estrus. A nonparametric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time in two ways: i) when an event happened it was placed in a 24 h timeframe and, ii) the time of observation in continuous form (96 h) assessing the difference between curves by the log rank test Chi-square.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the number of mounts/h during receptivity (p<0.05). In the superovulated group three periods of sexual activity during the day were identified, with these events being of greater frequency and duration than the synchronized group (p = 0.02); besides, the superovulated group began estrus before the synchronized group (p = 0.0035) when using the total period. In a simulation study, when the number of observations went from two (06:00-18:00) to three periods (06:00, 12:00 and 18:00) cows detected accurately (<6 h after the onset) increased more than 20%. The results show that superovulated cows presented greater intensity and duration of sexual activity in contrast with only synchronized animals.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의 보존과 채색 분석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Pigments and Techniques for Crown Prince Munhyo Boyangcheong Folding Screen Painting)

  • 안지윤;천주현;김효지;지주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9-159
    • /
    • 2013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은 정조의 첫 번째 아들 문효세자(1782-1786)가 1784년 1월, 보양청에서 주관하여 첫 스승으로 모시게 될 보양관과 처음으로 만나 인사를 나누는 의식을 기록한 조선시대 궁중행사도이다. 전체 8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에 수리된 적 없이 18세기 조선 궁중행사도병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원본 장황의 조사를 통해 조선시대 병풍의 형태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보존처리를 하였다. 안료분석 결과 채색 안료로 연백, 연단, 진사, 석청, 석록, 황단, 먹 등을 사용하였고, 현미경 확대 관찰한 결과 거의 대부분이 화면의 뒷면에서 배채법으로 채색한 후, 앞면에서 세부묘사 및 부분적으로 엷은 안료를 이용하여 채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인삼이 흰쥐의 성 행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nax Ginseng upon mating Behavior of Male Rats)

  • 김철;최현;김정진;김종규;김명석;안병태;박형진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8권1호
    • /
    • pp.15-22
    • /
    • 1974
  • The influence, upon male rat's mating behavior, of Korean Panax Ginseng administered for 3 and 5 days was investigated by direct behavioral observation and also by counting the number of copulation plugs the animals deposited. Four쇼-four male albino rats were used. Part of the animals received ginseng for 3 days (ginseng-3 day group, N= 12) or for 5 days(ginseng-5 day group, H=10), while the remaining animals received saline for 3 days (saline-3 day group, N=12) or for 5 days (saline-S day group, N=10). Each animal belonging to the 2 ginseng groups received subcutaneously 0.5 ml/100 g body weight of ginseng alcohol extract solution (4 mg of the ethyl alcohol extract in 1 ml of physiological saline), and each rat belonging to the 2 saline groups received the same amount of saline per day. During the dark period of the light-dark cycle on the next day following the last drug administration, a female rat in the artificial estrus was introduced to each male and the mating behavior was observed for 45 minutes. The observation session was divided into two parts and, in the early part which terminated with the first ejaculation and succeeding intromission, following behavioral measures were taken: mounting latency, intromission latency, inter-intromission period, ejaculatory latency(time from the first intromission until the first ejaculation), occurrence of mounting with intromission, occurrence of mounting without intromission, and postejaculatory interval. Behavioral measures taken in the later part of the session after the first ejaculation were: occurrence of mounting with intromission, occurrence of mounting without intromission, and occurrence of ejaculation. Immediately after the behavioral observation session the experiment turned to measure, for 10 days, the number of copulation plug which each pair of rats deposite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fter several mountings mounting with intromission, males of the 2 ginseng groups finished the first ejaculation significantly earlier than the corresponding 2 saline groups did. 2. The postejaculatory latenc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ginseng-5 day group compare with the value of the saline-5 day group and also compared with the value of the ginseng-3 day group. 3. The 2 ginseng groups ejaculated significantly more often in 45 minutes' observation session than the corresponding 2 saline groups did. 4. The number of copulation plug deposited in 10 days by the animals of the 2 ginseng groups. significantly exceeded the number deposited by the corresponding 2 saline group animals. The animals of the ginseng-5 day group deposited copulation plug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animals of the ginseng-3 day group did. It is inferr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ginseng facilitates mating behavior of male rats, and that the degree of facilitation may be influenced by the duration of drug administration.

  • PDF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위한 개별유지형 어태치먼트의 유지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tentive Force of Stud Attachments for Implant Overdenture)

  • 송은주;배은빈;최재원;배지현;김지영;이소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3-100
    • /
    • 2016
  • 이번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어태치먼트 시스템인 Kerator와 O-ring의 다양한 유지력을 가지는 matrix를 사용한 반복적인 착탈 후 평가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기 유지력은 KP군($62.09{\pm}6.00N$)에서 높았으며, 이어서 KR군($32.83{\pm}4.40N$), KB군($12.69{\pm}3.32N$), OO군($9.55{\pm}1.33N$), 그리고 OR군($9.35{\pm}0.71N$) 순으로 나타났다. 유지력 소실량은 KP군($22.26{\pm}8.02N$)에서 가장 높았으며, KR군($6.23{\pm}3.04N$), OO군($6.03{\pm}1.24N$), OR군($5.81{\pm}0.73N$), 그리고 KB군($0.87{\pm}1.46N$) 순으로 나타났다. 각 군 내의 초기 유지력과 2,500회의 착탈 후의 최종 유지력을 비교하였을 때, KB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어태치먼트 표면 마모양상은 Kerator와 O-ring의 matrix에서 눈에 띄는 변형과 손상이 관찰되었다. 각 patrix에서는 유지력 소실에 기여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어태치먼트의 종류, 재료 그리고 초기 유지력 차이에 따라 마모양상이나 유지력 소실에 차이가 있음을 확 인하였고, 유지력이 보존되는 것처럼 보여도 SEM으로 관찰하였을 때 어태치먼트의 내부가 상당히 변형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적절한 유지력을 가진 어태치먼트를 선택하고 각 어태치먼트 시스템 별 적절한 교체시기를 숙지하여 그에따른 사용기간의 준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시대 다회장과 매듭장의 역할 규명 (A Study on the Roles of Daheojang and Maedeupjang in the Joseon Dynasty)

  • 설지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52-67
    • /
    • 2021
  • 본 논문은 조선시대 다회장과 매듭장의 협업 관계 규명을 시도하였다. 근대 변혁기를 거치며 다회장은 해체되었으며 매듭장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는 과거를 매듭장 중심으로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 다회장의 인식과 연구는 매듭장의 일부 공정 정도로만 소략하게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다회장과 매듭장의 역할을 규명해보았다. 다회장은 여러 올의 명주실을 엮거나 꼬아 띠와 끈을 만든 장인이었다. 제작한 끈으로 매듭을 맺거나 망수·술을 만들어 장엄용 공예품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다회는 품목과 기법이 다양한 공예 기술이었다. 예복, 예악, 장황 등 장엄물과 관끈, 조대, 주머니끈, 노리개 등 일상품으로 폭넓게 제작되었다. 대형유소부터 방석끝까지 크고 작은 쓰임새가 많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의궤에 다회장이 소속되었다. 현대사회에는 매듭장이 정련, 염색, 합사, 다회, 매듭, 술 등 전 과정을 담당하지만 조선시대에는 다회장이 과정의 주축을 담당하였다. 도감 설치 시 다회장과 매듭장이 모두 귀속된 방은 연여를 제작하는 방이었다. 다회장과 매듭장의 협업 관계는 연여에 수식되는 대형유소에서 발생하였다. 대형유소는 2m 넘는 길이의 굵은 원다회로 매듭을 맺은 장엄용 공예품이다. 다회장이 원다회를 짜면 매듭장이 섬세하고 균형 있는 매듭을 맺었다. 또 굵은 원다회에 망수와 술을 달아 인장을 꾸미는 인수도 분담하여 제작하였다. 기술은 인간의 생애 속에서 시대의 필요에 따라 발전과 쇠퇴를 반복한다. 전통 기술을 직시하기 위해서는 시대적 제도와 사회상의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 때 보편적인 장색이었으나 오늘날 낯선 존재가 된 다회장을 입체적으로 조명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유두체가 손상된 흰쥐 수컷의 성 행동 (Sexual Behavior of Male Rats Following Damage to the Mammillary Bodies)

  • 김종규;김철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6권1호
    • /
    • pp.33-37
    • /
    • 1972
  • 유두체가 성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 위하여 흰쥐 수컷 20마리를 두 무리로 나누어 한 무리에서는 유두체에 둔 전극을 거쳐 직류전류를 흘림으로써 유두체를 파괴하여 유두체군으로 하였으며, 다른 한 무리에서는 전류를 흘리기 전까지의 모든 조작을 유두체군에서와 마찬가지로하여 수술대조군으로 삼았다. 수술이 끝난 3주후 두 무리의 성 행동을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부 압박을 하고 음경(陰莖)을 질내에 삽입하지 않은 오르기(mount)의 회수는 유두체군의 값이 수술대조군의 값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2) 질내 음경 삽입(intromission)을 동반한 오르기의 수효에 관해서는 두 무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두체군의 값이 수술대조군의 값에 비하여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3) 질내 음경 삽입 유무를 가리지 않은 모든 오르기의 회수는 수술대조군에 비하여 유두체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4) 첫 번째 질내 삽입에서부터 첫번째 사정시 까지의 시간 간격인 사정 지체시간(ejaculatory latency) 및 사정이 있은 때로부터 다음번 질내 음경 삽입 까지의 시간 간격인 사정-질내 삽입 시간 간격(postejaculatory interval)에 관하여는 두 무리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유두체군의 값이 수술대조군의 값에 비하여 다소 단축되는 경향이 있었다. 5) 그 밖에 관찰상자에 흰쥐 암컷을 넣은 다음 처음으로 질내 음경 삽입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오르기를 하기 까지의 시간인 오르기 지체시간(mounting latency)과 관찰상자에 흰쥐 암컷을 넣은 후 처음으로 질내 음경 삽입을 하기까지의 시간인 질내 삽입 지체시간(intromission latency) 및 한 질내 삽입과 다음번 질내 삽입사이의 평균 시간인 질내 삽입 간 시간간격(interintromission period)에 관하여는 두 무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유두체는 정상 동물에서 성 행동에 현저한 영향은 끼치지 않았으나 이 행동을 다소 억제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이들 문제를 결정 짓기에 앞서 더 많은 연구가 요망된다.

  • PDF

영희전 감실 및 이안소의 공간 구성과 오봉산병풍의 특징 (Interior Settings of a Chamber and a Temporary Place of Enshrinement at Yeonghuijeon and Features of the Five Peak Screens for the Hall)

  • 손명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100-121
    • /
    • 2023
  •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설립된 영희전 감실 및 이안소의 공간 구성과 이곳에 사용된 오봉산병풍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18세기 중엽 태조진전이 영희전의 예를 따라 오봉산병풍을 배설한 내용과 18세기 이전 태조진전의 감실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영희전 감실 구성의 연원도 살펴보았다. 영희전 감실은 태조진전 및 선원전과 달리, 당가 없이 온돌바닥 위로 난간이 달린 평상 형태를 한 대형의 용상을 놓았다. 이 용상 위로 4첩 오봉산병풍을 가운데 2첩은 뒤로 펴고 좌우 각 1첩은 나누어 펴 '⊓' 형태로 배설하였다. 난간을 단 평상 위로 첩병풍을 펼치는 배설 방식은 영희전 감실 조성 당시 태조진전이 아닌, 빈전 영침의 구성을 참조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어진의 이안 시에는 용상보다 규모와 장식을 간략하게 한 난간평상을 사용했다. 이안소에는 감실과 같이 4첩 오봉산병풍을 '⊓' 형태로 설치했으나 평상 위에 올리지 않고 뒤편에서 난간평상을 감싼 형태로 펼친 후 어진을 봉안한 흑장궤를 그 위에 올렸다. 이 같은 배설 방식이 반영된 감실과 이안 소용 오봉산병풍은 모두 대형의 4첩 왜장 병풍으로 가운데 두 폭이 넓고 좌우로 접어 펴는 1·4폭이 좁은 형태였다. 장황은 별도의 하회장 없이 병풍 가장자리를 따라 회장을 둘렀다. 감실과 이안 소용 오봉산병풍은 장황과 배접 등의 재료에 일부 차이를 두어 배설 장소의 위상을 반영하였다. 문헌 기록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근현대기를 거치며 본래의 이력과 기능을 잃은 채 전하는 병풍 중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일월오봉도>와 <인정전오봉산병풍>이 영희전 병풍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두 병풍은 배설 방식을 고려해 세 개의 봉우리와 해·달 등을 가운데 2·3폭에 대칭으로 배치하고 나머지 두 봉우리와 적송을 1·4폭에 그렸다. 한편, <인정전 오봉산병풍>은 병풍틀의 배접지로 1840년 답안 일부를 포함한 감시낙폭지를 사용해, 1858년 영희전 증건 시 향후 순조어진의 이안을 대비해 만든 이안청 병풍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