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oles of Daheojang and Maedeupjang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다회장과 매듭장의 역할 규명

  • SEOL, Jihee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설지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과)
  • Received : 2021.04.01
  • Accepted : 2021.08.01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roles of and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Daheojang and Maedeupjang. Daheojang and Maedeupjang share a similar manufacturing process. However, in modern times, Daheojang totally disappeared, and Maedeupjang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present study will investigate the role of Daheojang and Maedeupjang based o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Daheojang were craftsmen who made bands and strings of woven or twisted silk strands. They made mangsu and tassels or made knots to produce magnificent artifacts. Maedeupjang complete all steps of the process, from refining, dyeing, combining threads, daheo, maedeup, to the tassel. Daheojang in the Joseon dynasty was the center of this process. Daheojang belonged to almost all Uigwe because it used items ranging from large uso to cushion straps. Dahoe is a craft with various items and techniques. It has been widely used to produce majestic items like formal dresses, ritual ceremony pieces, and mountings, as well as daily items like jodae, pocket straps, and norigae. Based on the records of Uigw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tudy explored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Daheojang and Maedeupjang. Sambang, the room where both Daheojang and Maedeupjang belong, was the room to produce the royal chair. The royal chair essentially includes large uso. The large uso is an artifact that ties a knot in a thick circle more than two meters long. While Daheojang made rounded daheo, Maedeupjang made delicate and balanced knots. Also, they produced royal inscriptions together with a royal seal with decorative mangsu and a seal of thick rounded daheo. In order to learn about tradition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ystem of the times and social trends. Therefore, the study focused on Daheojang, who were common master craftsmen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now are not familiar to most people.

본 논문은 조선시대 다회장과 매듭장의 협업 관계 규명을 시도하였다. 근대 변혁기를 거치며 다회장은 해체되었으며 매듭장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는 과거를 매듭장 중심으로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 다회장의 인식과 연구는 매듭장의 일부 공정 정도로만 소략하게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다회장과 매듭장의 역할을 규명해보았다. 다회장은 여러 올의 명주실을 엮거나 꼬아 띠와 끈을 만든 장인이었다. 제작한 끈으로 매듭을 맺거나 망수·술을 만들어 장엄용 공예품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다회는 품목과 기법이 다양한 공예 기술이었다. 예복, 예악, 장황 등 장엄물과 관끈, 조대, 주머니끈, 노리개 등 일상품으로 폭넓게 제작되었다. 대형유소부터 방석끝까지 크고 작은 쓰임새가 많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의궤에 다회장이 소속되었다. 현대사회에는 매듭장이 정련, 염색, 합사, 다회, 매듭, 술 등 전 과정을 담당하지만 조선시대에는 다회장이 과정의 주축을 담당하였다. 도감 설치 시 다회장과 매듭장이 모두 귀속된 방은 연여를 제작하는 방이었다. 다회장과 매듭장의 협업 관계는 연여에 수식되는 대형유소에서 발생하였다. 대형유소는 2m 넘는 길이의 굵은 원다회로 매듭을 맺은 장엄용 공예품이다. 다회장이 원다회를 짜면 매듭장이 섬세하고 균형 있는 매듭을 맺었다. 또 굵은 원다회에 망수와 술을 달아 인장을 꾸미는 인수도 분담하여 제작하였다. 기술은 인간의 생애 속에서 시대의 필요에 따라 발전과 쇠퇴를 반복한다. 전통 기술을 직시하기 위해서는 시대적 제도와 사회상의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 때 보편적인 장색이었으나 오늘날 낯선 존재가 된 다회장을 입체적으로 조명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改修日記謄錄」
  2. 「經國大典」
  3. 「高宗實錄」
  4. 「德溫公主嘉禮謄錄」
  5. 「常變通攷」
  6. 「世宗實錄」
  7. 「英祖實錄」
  8. 「英宗大王實錄廳儀軌」
  9. 「英宗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10. 국립무형유산원, 2018, 「매듭장 보유자 정봉섭」.
  11. 국립문화재연구소, 1997, 「매듭장」.
  12. 김희진, 2004, 「한국 전통 매듭」,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p.302.
  13. 박진영, 2010, 「조선시대 공신화상 유소 연구」,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1.
  14. 설지희, 2018a, 「1910~1930년대 광희동 끈목장 집단과 매듭장 정연수」, 「무형유산」 제4호, 국립무형유산원.
  15. 설지희, 2018b, 「한국 다회의 기술과 변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7.
  16. 성인근, 2018, 「국새와 어보」, (주)현암사, p.133.
  17. 심연옥, 2008, 「끈목.매듭의 역사와 기법」, 「끈목.매듭」, 한국자수박물관, p.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