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ion Library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6초

요소를 고려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의 확장 (Extension of Kinetic Typography System Considering Text Components)

  • 정승아;이다솜;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828-1841
    • /
    • 2017
  • In the previous research, we proposed a Kinetic typography font engine that can easily add motion to text with function call only. However, since it is aimed at constructing movements for a sentence, there is still inconvenience in the production of various kinetic typography motions in word or letter unit. We propose Kinetic Typical Extended Motio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hat extends Kinetic Motion API. The extended Kinetic Typographic Font Engine aims to simplify the process of making kinetic typography in words and letters, including the kinetic typographic motion library provided as a function. In addition, various applications that can apply Kinetic typography A kinetic typography authoring interface is provided for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of a motion library for the robot.

KDC 영화자료 분류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DDC 및 LCC와 비교하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Schemes of Motion Picture Materials in KDC)

  • 이명희;이인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51-372
    • /
    • 2010
  • 다양한 영화자료의 적극적인 활용과 공유를 위해서 기존의 주요 분류표인 DDC, KDC, LCC의 분류체계를 알아보고, 영화자료의 특성과 함께 기존의 분류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다. 세 체계를 비교한 결과, DDC와 LCC 분류표의 영화관련 항목은 비교적 상세히 전개되어 있었으나 KDC 5판의 영화 관련 항목 수는 매우 미흡하여 영화자료를 포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DC 5판에서는 영화자료의 분류가 4개 강 하에 22개의 하위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본 개선안에서는 9개의 강 하에 53개의 하위 항목을 세분하여 전개하였다. 특히 개선안에는 영화인물, 영화장르, 영화제, 각국의 영화 항목을 추가하였다.

  • PDF

영화에 나타난 사서의 이미지 분석 (Analysis of the Image of Librarians in Motion Pictures)

  • 전창호;김선호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1호
    • /
    • pp.151-176
    • /
    • 2008
  • 본 연구는 사서가 등장인물로 나온 영화를 대상으로 사서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영화 매체를 통해 투영되는 사서에 대한 대중적 이미지를 규명함으로써 사서의 대중적 이미지 개선 전략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서가 등장인물로 나온 1992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과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를 대상으로 양적 내용분석법을 통해 영화에 나타난 사서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어린이 도서관의 전인적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루돌프 슈타이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olistic Healing Environment of Children's Library -Focused on the theory of Rudolf Steiner-)

  • 김혜연;김광호;진달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7-55
    • /
    • 2007
  • The theme of this study is holistic healing environment of children's library and it was researched on the basis of anthroposophy theory of Rudolf Steiner. According to Steiner's theory, human being consists of body, spirit, and soul. Especially, children are sensitive ones, and through synthetic function of 12 kinds of senses, they can be holistically healed (healing of body, spirit, and soul). As the sense independently functions or it is a element that cannot be described, it needs spatial plan to support synthetic function of it. We classified the healing space's meaning of children library by motion (including art and music), reading, & landscape healing activities and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 to support each activity.

  • PDF

Leap Motion 센서를 사용한 소형 이동체의 원격제어 (Remote Control of Small Moving Object using Leap Motion Sensor)

  • 이소연;한만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1-232
    • /
    • 2014
  • 립모션 (Leap motion)센서를 사용하여 손동작을 인식하고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미리 지정된 명령어를 보행 로봇에게 전송하여 보행 로봇이 그 명령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언어는 Processing을 사용하고 립모션 센서 라이브러리는 LeapMotionP5를 사용하였다.

  • PDF

목록에서의 자료종별표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erial designation in library cataloging)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377-40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aterial designation in library cataloging and to suggest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GMD) and Specific Material Designation(SMD) in Korean. A summary of the study follows. In library cataloging, methods of indicating the type of material are : (1) color-coding, (2) media code as part of the call number, (3) material designation in physical description area or note area, (4) GMD and SMD. GMD is a term indicating the broad class of material to which a bibliographic item belongs. SMD is a term indicating the special class of material to which a bibliographic item belongs. GMD was listed in parenthesis following the title proper before AACR1975 code, but currently it is listed in square brackets after the AACR1975 code. AACR2 was the standard cataloging rule in GMD and SMD terminology. It is suggested that GMD be used in Korean for graphic material, sound recordings, drawings, microform, multimedia, videorecordings, manuscripts, photographs, slides, printed music, motion pictures, printed texts, objects, braille, cartographic materials, computer files and transparenies.

  • PDF

도서관의 컴퓨터 워크스테이션에 대한 인간공학적 연구 (A Study on the Ergonomic Models of Library Computer Workstation)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1-122
    • /
    • 2001
  • 오늘날 대부분의 도서관은 컴퓨터 중심의 워크스테이션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에 따른 문제점과 병리 현상이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도서관계에서는 컴퓨터 워크스테이션에 대한 기초연구나 조사분석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성인의 표준체위에 근거하여 도서관의 컴퓨터 워크스테이션(테이블과 의자, 모니터와 키보드, 자세와 동작, VDT 조명, 기타 환경요소)을 분석하고 인간공학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High Performance Motion Controller

  • Cho, Jung-Uk;Jeon, Jae-Woo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43.3-43
    • /
    • 2002
  • $\textbullet$ A high performance motion controller can be applied to a wider range areas. $\textbullet$ Users can easily add, delete, or modify the library functions in this motion controller $\textbullet$ users can easily create, delete, or change GUI menu in this motion controller $\textbullet$ The motion related libraries base on IEEE/NEMI low-cost open architecture controller specification. $\textbullet$ Many low-level libraries and GUI that can make users easily interface with hardware are developed. $\textbullet$ Various velocity profiles are generated for performing given tasks efficiently. $\textbullet$ The hardware of a high performance motion controller is developed with using DSP and PLD.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icrowave Motion Detector with Low Power Consumption

  • Sohn, Surg-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7-64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of microwave motion detector using X-band doppler radar sensor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and implement battery operated system, pulse input with 2 KHz, 4% duty cycle is exerted on the doppler radar sensor. In order to simplify the process of working with ATmega2560 microcontroller unit, Arduino compatible board is designed and implemented. Arduino is open source hardware and many library software is published as open source tools. Smartphone app is also proposed and designed as a real-time user interface of the motion detector. The SQLite database on the Android mobile operating system is used for recording raw data of motion detection for post-processing job, such as fast Fourier transform (FFT). Bluetooth interface module is implemented on the motion detection boar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to the smartphone. The speed of human movement is identified by post-processing FFT.

MPEG-4 AVC를 위한 고속 다해상도 움직임 추정기의 하드웨어 구현 (Hardware Implementation of Past Multi-resolution Motion Estimator for MPEG-4 AVC)

  • 임영훈;정용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1C호
    • /
    • pp.1541-155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해상도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션 리터를 검색하는 고속 다해상도 움직임 추정기에 대한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동영상 압축기술인 MPEG-4 AVC 전체 구성 중에서 핵심 부분인 움직임 추정 모듈을 하드웨어로 설계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구조를 구성하고 높은 화질로 실시간 부호화를 할 수 있도록 고속 움직임 검색을 위해 특수하게 설계된 램 구주 메모리 공유, 4화소x4화소 Motion Vector 추출 등과 같은 기술들을 사용하여 전체 움직임 검색기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전체 모듈은 Altera(사)의 Excalibur 디바이스를 이용한 FPGA 구성을 통해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Samsung STD130 0.18um CMOS Cell Library를 이용하며 합성 및 검증을 하였다. 이렇게 검증된 구조의 성능은 ASIC으로 구현할 경우 최대 동작 주파수가 약 140MHz이며 QCIF(176화소x144화소) 사이즈 기준으로 초당 약 1100프레임, 4CIF(704화소x576화구 사이즈 기준으로 초당 약 70프레임의 움직임을 검색할 수 있다 본 성능은 하드웨어 기반의 MPEG-4 AVC 실시간 부호화기를 설계하기에 적합한 구조임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