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us mongolic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8초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와 몽고뽕나무(Morus mongolica C.K. Schneider)의 韓半島에서의 自然分布 (Natural Distribution of Morus tiliaefolia Makino and Morus mongolica C.K.Schneider Growing Wil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1-55
    • /
    • 2002
  • 한반도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와 몽고뽕나무(Morus mongolica)의 자연분포지는 다음과 같다. 1. 돌뽕나무는 강원도 화천읍(북위 38$^{\circ}$8')을 북한으로 하여 산간 내륙과 해안 도서지방에 많이 분포하며 동해 난류의 영향으로 함경북도 명천군 칠보산에도 분포한다. 2. 몽고뽕나무는 황해도 재령군 장수면(북위 38$^{\circ}$15')이북의 백두대간 서쪽에 분포하며 이례적으로 강원도 삼척지방(북위 37$^{\circ}$24')에도 자생한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산뽕나무(Morus bombycis Koidz.), 몽고뽕나무(Morus mongolica C.K. Schn.) 및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의 염색체수 (The Study on Chromosome Number of Morus bombycis Koidz., Morus Mongolica C.K.Schn.and Morus tiliaefolia Makino Growing Wild in the Korea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3-54
    • /
    • 2001
  • The chromosome number of Morus bombycis Koidz. and Morus monogolica C.K.Schn. growing wild in the Korea Peninsula is diploid (2n=28) and that of Morus tiliaefolia Makino is hecxaploid (2n=84). The somatic cell division of each species is nomal.

  • PDF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뽕나무 3종이 자연교잡된 때의 稔性과 오디의 과실특성 (Fertility and Mulberry Fruit Characteristics of Three Korean Indigenous Mulberry Species)

  • 박광준;이용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6-113
    • /
    • 1997
  • Three indigenous mulberry species of Morus tiliaefolia Makino, Morus mongolica C. K. Shneider and Morus bombycis Koidz. were naturally crossed and their fertilities and frui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years of 1996 and 1997. M. tiliaefolia Makino and M. mongolica C.K. Schneider showed low fertility, but M. bombycis Koidz. was medium in fertility. The fruits of M. tiliaefolia Makino were red-purple and midium in size and high sugar content, but those of M. mongolica C.K. Schneider were light red and small but extremely high sugar content. The total acidity of fruits was 0.73, 0.50 and 0.36-0.94% in M. tiliaefolia Makino, M. mongolica C.K. Schneider and M. bombycis Koidz. respectively. Regarding ripenening stage, M. mongolica C.K. Schneider was early and M. tiliaefolia Makino was medium, while M. bombycis Koidz was early or medium.

  • PDF

한반도에 자생하는 야상종 상호간 및 야상 화분을 재배 3품종에 인공교배를 한때의 임성 (Interspecific crossabilities among wild mulberry species and cultivars growing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8-92
    • /
    • 2001
  • 한반도에 자생하는 뽕나무 3종 즉 돌뽕나무, 몽고뽕나무, 산통나무를 상호 인공교배 하였을 때, 그리고 한반도의 자생 뽕나무 3종을 화분친으로 하여 재배 3종의 대표적인 3품종에 인공수분 하였을 때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돌뽕나무의 화분은 산뽕나무와는 수정이 가능하고 몽고뽕나무와는 불가능하였으며, 청일뽕, 검설뽕과는 수정이 용이하였고 대륙뽕과는 약간 곤란하였다. 2. 몽고뽕나무의 화분은 산뽕나무, 돌뽕나무와는 수정이 가능하고 청일뽕, 검설뽕과는 수정이 용이하지만 대륙뽕과는 불가능하였다. 3. 산뽕나무의 화분은 돌뽕나무, 몽고뽕나무와는 수정이 불가능하고 검설뽕과는 매우 용이하고 청일뽕과는 보통으로 용이하였으며, 대륙뽕과도 수정이 가능하였다.

  • PDF

한국산 야생 Morus (뽕나무속) 탐견기 (Wild Morus Survey in Korea)

  • 안학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73-74
    • /
    • 1963
  • 우리나라 Morus(뽕나무속)에 대한 분류학적인 연구는 지금으로부터 약 40 여년전부터 시작되어 현재는 거의 정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우리나라에 자생되는 각종에 대하여 개별적인 분류지리학적면을 탐견 약기하여 보기로 한다. Morus alba L. 즉 재배종이며 보편적인 "뽕나무"로 알려져 있는 것이며 수많은 변, 품종들이 여기서 파생되고 있다. 한국산 야생 Morus를 크게 나누어 세가지 계통으로 구분할 수있다. 즉 I. Morus bombycis Koidzumi. 산뽕나무(Yamaguwa). II. Morus mongolica Schneider. 몽고뽕나무(Mongoguwa). III. Morus tiliaefolia Makino. 참털뽕나무(Keguwa). (중략)

  • PDF

백두대간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aedeoksan- Geumdaebong Nature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n Baekdudaegan)

  • 김갑태;추갑철;백길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7
    • /
    • 2003
  • 백두대간의 대덕산-금대봉에 이르는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산림의 생육현황과 군집 구조를 파악하여 앞으로 자연생태계보전지역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보전지역에 65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지는 5개의 군집 일본 잎갈나무우점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우점군집, 물푸레나무-신갈나무우점군집, 신갈나무-당단풍우점군집, 신갈나무우점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팥배나무, 고로쇠나무, 올괴불나무, 마가목 ; 팥배나무와 고로쇠나무, 올괴불나무, 마가목 ; 고로쇠나무와 올괴불나무, 마가목 ; 다릅나무와 복자기 ; 물푸레나무와 물박달나무; 올괴불나무와 층층나무, 마가목; 복자기와 짝자래나무; 산돌배와 귀룽나무 ; 층층나무와 마가목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 까치박달; 피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산뽕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0.4443~1.2036 범위였다.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본잎갈나무림의 현존식생 유형과 생태적 특성 (Vegetation Typ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Plantations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South Korea)

  • 오승환;김준수;조준희;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30-542
    • /
    • 2021
  •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본잎갈나무림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본 단위 설정을 위하여 총 119개 조사구에서 수집한 식생 정보를 바탕으로 TWINSPAN과 DCA ordination 분석을 통하여 현존식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공간 배열 상태를 파악, 기술하였다. 현존식생 유형은 신갈나무-철쭉형, 신갈나무-조록싸리형, 층층나무-산뽕나무형, 신갈나무-까치박달형, 비목나무-찔레꽃형, 졸참나무-산초나무형, 졸참나무-조릿대형 등 총 7개 유형이 도출되었고 대개 위도, 해발고도, 성립 기간, 시업 이력, 주변 임분 특성, 교란 정도 등에 따른 종조성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일본잎갈나무림과 주변 잠재자연식생(신갈나무림와 졸참나무림)의 종구성적 유사성을 Jaccard 계수에 의해 비교한 결과, 식생유형 간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신갈나무림과는 평균 0.21, 졸참나무림과는 평균 0.32로 나타나 아직 전반적으로 종구성이 이질적인 경향이었다.

한계령풀(Leontice microrhyncha)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of Leontice microrhyncha Population)

  • 권재환;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4-93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egetation properties, soil characteristics and ordination of Leontice microrhyncha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Leontice microrhyncha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dominant population, Morus bombycis dominant population, Fraxinus mandshurica population and Leontice microrhyncha typical dominant. The Leontice microrhyncha population was located at an elevation of 633m to 1,336m in Korea.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8.40~10.58%, 0.42~0.61%, 14.15~25.07mg/kg, 0.44~0.59cmol$^+$/kg, 2.35~6.33cmol$^+$/kg, 0.35~0.98cmol$^+$/kg, 26.04~33.48cmol$^+$/kg and 4.69~5.32 respectively. Morus bombycis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low elevation and gentle sloped area that has high percentage of phosphoric acid and less percentage of total nitrogen,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than other dominant population. Fraxinus mandshurica dominant population and Leontice microrhyncha typical population were found in the comparatively high elevation area that has low percentage of phosphoric acid and high percentage of total nitrogen,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Quercus mongolica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the medium elevation area that has medium percentage of total nitrogen,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면봉산 일대 산림식생의 지형과 고도에 따른 생태적 지위 및 지표종에 관한 연구 (Study of Ecological Niche and Indicator Species by Landforms and Altitude of Forest Vegetation in Mt. Myeonbong)

  • 박병주;변준기;천광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5-33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대중 남부 지역에 속하는 면봉산 일대 식물을 대상으로 지형조건 및 고도에 따른 식물종의 생태적 지위와 지표종을 관찰하여 식물자원의 환경적 구배에 따른 공간적 분포경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수평 수직 생태적 지위의 경우 상층과 중층에서 신갈나무가 높은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상층에서는 수직적 생태적 지위가, 중층에서는 수평적 생태적 지위가 높아 본 연구대상지 일대의 제너럴리스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목층에서 생강나무가 제너럴리스트로 분석되어, 한반도 중 남부 산지의 대표식생을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단으로 분류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Kim and Lee, 2006). 지표종 분석 결과, 고도와 지형조건에 따른 환경구배의 차이에서 주로 하층식생이 수관층식생보다 더 이질적인 종조성으로 분석되었다.

데미샘 주변의 식물 분포와 군락 분류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Daemisaem Region)

  • 변무섭;오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5-37
    • /
    • 2007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y area in the Daemisaem region were listed as 302 taxa; 81 families, 196 genera, 251 species, 1 subspecies, 42 varieties, 7 forms and 1 hybri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7 taxa were recorded; Carex okamotoi, Salix purpurea var. japonica, Thalictrum uchiyamai, Lespedeza ${\times}$ tomentella, Weigela subsessilis, Aster koraiensis, Cirsium chanroenicum.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1 taxa; Silene jenisseensis, Cimicifuga heracleifolia in class IV, 3 taxa (Lilium leichtlinii var. tigrinum, Betula davurica, Lonicera subhispida) in class III, 3 taxa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Ligularia fischeri, Cirsium chanroenicum) in class II, 13 taxa (Glyceria leptolepis, Meliosma oldhamii, Fraxinus mandshuric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8 families, 20 genera, 23 species, 1 varieties, 24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7.9% of all 302 taxa vascular plants. The vegetation community of the selected Daemisaem region were growth of configuration to slope, ridge and valle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Salix koreensis community in the slop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in the ridge,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Acer mono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Morus bombycis community in the val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