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thly sampling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3초

Pattern Recognition of Long-term Ecological Data in Community Changes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Chironomids in a Polluted Stream

  • Chon, Tae-Soo;Kwak, Inn-Sil;Park, Young-Seu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89-100
    • /
    • 2000
  • On community data. sampled in regular intervals on a long-term basis. artificial neural networks were implemented to extract information on characterizing patterns of community changes. The Adaptive Resonance Theory and Kohonen Network were both utilized in learning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Soktae Stream of the Suyong River collected monthly for three years. Initially, by regarding each monthly collection as a separate sample unit, communities were grouped into similar patterns after training with the networks. Subsequently, changes in communities in a sequence of samplings (e.g., two-month, four-month, etc.) were given as input to the networks. After training,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new data set in line with the sampling procedure.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with these learning processes, patterns of community changes in chironomids diverged while those of the total benthic macro-invertebrates tended to be more stable.

  • PDF

소리도 주변 해역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Change of Shrimp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 Sorido, Korea)

  • 윤호섭;서호영;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57
    • /
    • 2004
  • 소리도 주변해역에서 서식하는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6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매월 1회씩 사리기간중 간조시에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는 6과 16종이었으며, 그라비새우, Ρ. gravieri, 꽃새우, Τ. curvirostris, 마루자주새우, C. hakodatei, 중하, Μ. joyneri등이 연중 우점하였다. 월별 출현종수는 8월, 10월, 11월에 1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하계인 6월과 7월에 각각 8, 10종으로 가장 적은 종이 출현하였다. 종다양도 지수는 0.14∼0.82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5∼7월에는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균등도 지수에서도 마찬가지 결과였으며, 반면 9∼12월에는 비교적 높은 종다양도 지수 값을 보였다. 본 연구 해역에서 채집된 새우류는 출현 양상에 따라 주거종과 계절종, 일시방문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시설에서 발생되는 부유 세균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Bacteria in Organic-Waste Resource Facilities)

  • 김기연;고한종;김대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1-158
    • /
    • 2012
  • Objectives: Bioaerosols released by treating organic-waste resources cause a variety of environmental and hygiene proble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airborne bacteria emitted from a pig manure composting plant, a principal site for organic-waste resource facilities. Methods: Three types of pig manure composting plant were selected based on fermentation mode: screw type, rotary type and natural-dry type. Each site was visited and investigated on a monthly basis between September 2009 and August 2010. A total of 36 air samplings were obtained from the pig manure composting plants. The air sampling equipment was a six-stage cascade impactor. Quantification and qualification of airborne bacteria in the air samples was performed by agar culture method and identification technique, respectively. Results: The mean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in pig manure composting plant were 7,032 (${\pm}1,496$) CFU $m^{-3}$ for screw type, 3,309 (${\pm}1,320$) CFU $m^{-3}$ for rotary type, and 5,580 (${\pm}1,106$) CFU $m^{-3}$ for natural dry type. The screw type pig manure composting plant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airborne bacteria, followed by the natural dry type and the rotary type. The ratio of respirable to total airborne bacteria was approximately 40-60%. The predominant genera of airborne bacteria identified were Micrococcus spp., Staphylococcus spp. and Escherichia spp. Conclusion: Monthly levels of airborne bacteria were highest in August and lowest in November regardless of fermentation mod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airborne bacteria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particulate matters in pig manure composting plants.

제주도 연안에 분포하는 창꼴뚜기(Loligo edulis)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Fisheries Biology of Swordtip Squid, Loligo edulis in Jeju Island, Korea)

  • 강현정;김영혜;이은희;이동우;장대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28
    • /
    • 2009
  • 2006년 6월부터 11월까지 매월 1회씩 제주도 귀덕, 신산, 김녕, 강정 연안에서 정치망에 의해 채집된 창꼴뚜기를 대상으로 창꼴뚜기의 생식생물학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759 개체의 창꼴뚜기 중에서 암컷은 429 개체, 수컷은 330 개체로 나타났다. 암컷의 경우, 조사 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산란이 가능한 완숙 개체는 조사기간 중 초기인 6월을 제외하고 모든기간에 걸쳐 관찰되었고, 11월에 출현비율이 가장 높았다. 수컷도 조사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됐으며 생식소의 숙도가 방정이 가능한 성숙단계이상의 개체는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고 완숙기의 개체는 암컷과 같이 11월에 출현비율이 가장 높았다. 창꼴뚜기가 산란에 참여하는 군성숙외투장을 알아본 결과 성숙외투장은 17.1cm 로 추정되었다.

  • PDF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관한 연구 (Standing Crops of Freshwater Phytoplankton in Kumgang River, Korea)

  • 이석구;부성민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47-353
    • /
    • 2000
  •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를 알기 위하여 현도, 마암, 장암, 나포에서 1998년 10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매월 1회 채수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현도에서 7월에 $39.5{\times}10^3cells ml^{-1}, 마암에서 7월에 112.1{\times}10^3cells ml^{-1}, 장암에서 7월에 125.5{\times}10^3cells ml^{-1}, 나포에서 8월에 288.6{\times}10^3cells ml^{-1}로 최대였으며, 현도와 마암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5.0{\times}10^3Cells ml^{-1}이하였고, 나포에서는 5.0{\times}10^3Cells ml^{-1}$ 이상이었으며, 장암은 그 중간이었다. 각 조사 정점의 현존량은 마암이 현도보다 3배 이상 높았고, 장암이 마암보다 1.3배, 나포는 장암보다 2.1배 높아서, 중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현존량 조사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봄부터 초여름까지는 장암의 현존량이 최대였고, 다른 계절에는 나포에서 가장 높았다. 현존량의 시공 분포 변화는 중심형의 소형 규조류 Cyclotella spp.와 Stephanodiscus spp. 및 사상 규조류 Aulacoseira spp.의 번무에 기인하였다.

  • PDF

해안간척지 토양의 생물학적 토성개량에 관한 연구 (제 2 ) -간척지토양에 있어서 생물의 화에 대하여- (Biological improvement of reclaimed tidal land soil (II) -Changes of soil-microbial populations in reclaimed tidal land-)

  • 홍순우;하영칠;이광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31-140
    • /
    • 1968
  • The soil of the reclaimed tidal land, located in Chogi-ri, Is. Kanghwa, Korea was used in this experiment. The experimente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8 sites with its time elapsed after the shore-protection works, soil-depth and the vegetation of saline plants, and at each site samplings were conducted monthly from March through October, 1968, for the purposes of examining the changes of microbial populations for the microbes such as bacteria, actinomycetes and fungi, by using the dilution plate method. The numbers of the microbes in these soils generally showed lower levels comparing with those of other soils. The more time elapsed after the reclamation, the higher numbers of the microbes inhibited the soils. Higher populations were there in the surface soils than in the lower part of the area. The surface soils included comparatively better conditions in aeration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than in the lower part, and this fact was. same as in general soils. However, not so was this in the case of March, April and October due to the higher soil temperatures in the lows. At the experimental sites where the halophytes such as Salicorniu were grown vigourously, the more densly the plants grew, the higher populations of actinomycetes and fungi were, but not in the case of bacterial population. This means, in this soil with dense Salicornia, it is difficult to obtain good-natured soils in short time without a higher population of bacteria. For the rapid utilization of the land soil, in this view of point, the methods increasing the number of bacteria in the soil are needed as well as the cultivation and harvesting Salicorniu which indicated in the privious paper(Hong, et al., 1969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the changes of soil-microbial populations in the reclaimed tidal land soil containing high salinity depend deeply upon the interrelations of man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il-salinity, soil-components and contents,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s, pH, aeration, and air and soil temperatures, as in the general soils.

  • PDF

우리나라 남해안에 분포하는 참문어 (Octopus vulgaris) 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Period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the South Sea of Korea)

  • 강현정;김영혜;김성연;이동우;최영민;장대수;곽우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7-133
    • /
    • 2009
  • 이 연구는 경남 통영과 사천지역의 연안에서 2007년 2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연안통발어업에 의해 어획된 참문어를 매월 1회 채집하여 성숙과 산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직학적 검경을 통한 생식소 성숙도의 월별 발달과정을 분석한 결과 암컷의 경우, 조사 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산란이 가능한 완숙 개체는 10월과 12월을 제외하고 연중 관찰되었다. 수컷의 경우도 조사기간 중 미숙, 중숙, 성숙, 완숙기의 개체들이 혼재하여 출현하였으며 방정이 가능한 성숙 이상의 개체는 전 기간에 걸쳐 관찰되었다. 생식소 중량지수의 월 변화는 암컷의 경우, 2월 1.26에서 5월 4.84로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였으며 8,9월에 다시 상승하였다가 10월에 0.38의 낮은 값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생식소 성숙도의 월별발달과정과 생식소 중량지수의 월변화를 바탕으로 참문어의 산란기를 추정한 결과 주 산란기는 9월로 나타났다. 수컷의 경우는 연중 1.5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참문어의 50% 군 성숙체중은 919.6 g로 추정되었다.

  • PDF

제주 연안해역 어란의 분자동정과 분포양상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Fish Eggs Collected around Jejudo Island)

  • 한송헌;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4-292
    • /
    • 2015
  • 이 연구는 제주도 주변 4개의 정점에서 채집된 어란의 월별 종조성 및 출현량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2006년 8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봉고네트를 이용하여 월별로 표층채집을 하였으며, 종동정은 채집된 어란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유전자 (cyt b) 염기서열을 성어 염기서열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채집된 어란은 총 43개의 분류군으로 분류되었고, 이중 34종 (6목 24과 33속)은 종 (species)까지 동정이 이루어졌다. 나머지 9종 가운데 4종은 과 (family)까지 동정할 수 있었고, 5종은 미동정되었다. 지역별로 제주항 근해에서는 23개의 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분류군이 나타났고, 성상포 근해에서 21개, 서귀포항 근해에서 19개, 차귀도 근해에서는 18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시기별로는 2006년 9월에 15개의 분류군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12월과 7월에 3개의 분류군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동정이 이루어진 34종 중 멸치 (E. japonicus)와 노랑벤자리 (C. japonicus)가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으며, 멸치는 표층수온 $14.0{\sim}28.6^{\circ}C$에서, 노랑벤자리는 $14.9{\sim}20.5^{\circ}C$에서 출현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cyt b 유전자의 PCR 증폭 성공률은 68.3%였으며, 종동정률은 79.1%였다.

녹조류, 옥덩굴(Caulerpa okamurae)의 양식을 위한 연구 I . 생장과 재생 (Culture Studies on te Green Alga, Caulerpa okannurae I. Growth and Regenetation)

  • 최창근;황은경;손철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3-258
    • /
    • 2000
  • 녹조식물 옥덩굴의 자연 개체군 동태 및 영양번식성을 파악하므로써 이를 옥덩굴의 양식에 적용하기 위하여, 1998년 5월부터 1999년 4월까지 부산 용호동 인근의 조하대에서 옥덩굴 엽체를 skin diving에 의해 매월 채집하였다. 염장의 변동은 수온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변동하였으며, 7월에 13.4${\pm}$1.5 cm로 길이생장의 최고치를 보였고 3월에 5.1${\pm}$0.5 cm로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생체량은 7월에 2.2${\pm}$0.4 g으로 최고치를 보였고 10월에 가장 낮은0.7${\pm}$0.1 g이였다. 이 조사기간동안 옥덩굴의 배우자낭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옥덩굴 말단가지 (ramuli)의 재생률은 적정 수온 조건하에서는 광량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50 ${\mu}$molm$^{-2}$s $^{-1}$에서 최대 5.6%였으며, 20 및 70 ${\mu}$molm$^{-2}$s $^{-1}$에서 각각 3.0 및 2.6%를 보였다. 옥덩굴 직립지 (erect branch)를 절단하여 5개의 온도 구간 (18, 22, 25, 28, 31$^{\circ}C$) 및 5개의 조도 구간 (10, 20, 40, 60,100 ${\mu}$molm$^{-2}s$ $^{-1}$)의 조합인 총 25개의 각 배양조건별로 직립지의 재생을 조사한 결과 배양 15일 후 25$^{\circ}C$ 와 20 ${\mu}$molm$^{-2}s$^{-1}$) 실험 구에서 엽장 4.5${\pm}$1.0 cm, 중량 1.2${\pm}$0.7 g으로 가장 높은 길이생장 및 엽중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 옥덩굴의 인공채묘는 자연에서 성숙된 개체를 얻기 어려우므로 재생에 의한 영양생장 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보여진다.

  • PDF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in Asan Bay)

  • 이창래;박철;양성렬;신용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1호
    • /
    • pp.1-10
    • /
    • 2006
  • 서해 중부 연안에 위치한 아산만의 과거 동물플랑크톤 연구는 주로 3개월 간격의 계절별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의 월별 채집을 바탕으로 동물플랑크톤의 월 변동을 파악하고, 수온과 염분, 식물플랑크톤의 출현량을 환경 요인으로 취급하여 이들의 변화 특성 및 이와 동물플랑크톤 분포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수온은 시간적으로 전형적인 온대수역의 변화양상을 보여주며, 공간적으로는 만의 안쪽에서 연간 변화의 폭이 다소 크게 나타났다. 염분의 계절변화는 장마에 의한 계절변화가 크며 이 시기 인공담수호의 간헐적인 담수유출이 플랑크톤 생태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클로로필 양은 과거에 비해 상당한 증가를 보였는데 만의 안과 밖에서 봄철 대증식의 시작과 기간에서 차이가 있었다. 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가면서 춘계 대증식이 2월에서 4월로 늦춰졌고, 만 안쪽과 중앙에서는 대증식 기간이 3개월 정도 유지된 반면, 만 바깥쪽에서는 약 1개월 정도로 그 기간이 짧아졌다. 식물플랑크톤의 클로로필 양과 동물플랑크톤의 양, 특히 최 우점종 Acartia hongi의 양 간에는 약하지만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과거 계절별 자료에 근거한 시간변동과 비교하여 월별 채집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