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nascus purpureu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6초

Some Monascus purpureus Genomes Lack the Monacolin K Biosynthesis Locus

  • Kwon, Hyung-Jin;Balakrishnan, Bijinu;Kim, Yeon-Ki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1호
    • /
    • pp.45-47
    • /
    • 2016
  • Two Monascus purpureus genomes lack the monacolin K biosynthesis locus (mok), while Monascus species are generally assumed to be monacolin K producers. These M. purpureus harbor a fusion of mokA and mokB orthologu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an ancestral mok locus underwent a deletion event in the M. purpureus genome.

Monacolin K 대량생산 Monascus 균주의 탐색 및 동정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Monascus Strain Producing Monacolin K)

  • 곽은정;이효민;임성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4-169
    • /
    • 2004
  • 최근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홍국균 대사생성물의 일종인 monacolin K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onacolin K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monacolin K의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자 미동정된 1종의 홍국균을 포함해 29종의 홍국균을 수집하여 monacolin K를 대량생산하는 균주를 탐색하였다. 홍국은 PDA배지에서 배양한 흥국균을 침지ㆍ증자한 백미에 5%가 되도록 접종 후, 3$0^{\circ}C$에서 10일간 배양하여 제조하고 이를 건조, 분말로 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색소생성량이 많은M. purpureus ATCC 16457, M. puypureus IFO 32316, M. purpureus IFO 32228, M. kaoliang ATCC 46595, M. kaoliang ATCC 46596 등의 균체를 배양한 홍국에서 monacolin K 생성량도 높았다. 그러나 색소와 monacolin K 생산량은 미동정된 홍국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형태학적 관찰과 ITS 및 28S rRNA부분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M. purpureus CBS 281.34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Development of New Edible Pigments using Monascus spp.

  • Cho, Gyu-Seong;Kim, Kwangwook;Park, Won-Jong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1-49
    • /
    • 2019
  • Carotene, xanthophyll, carotenoid anthocyan, phycopyrine, chlorophyll, and monascus pigments are used as natural coloring agents since they are more stable to human body than synthetic coloring agents. Among them, monascus pigments are a natural red pigment produced by the Monascus purpureus. For the development of edible paint using natural pigment, Monascus purpureus strain was cultured at a temperature of $35^{\circ}C$ for 15 days on a PDYA plate and liquid medium to produce a red pigment.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the red pigment was extracted from Hongkuk Koji in parallel with water extraction and ultrasonic wave extraction. At this time, the yield of ultrasonic extract was 2~4 times higher. Thus, Monascus purpureus strains, etc. were prepared by freeze-drying powder. In conclusion, natural paints made with red pigments have enabled the development of been edible paints that can be used as eco-friendly materials with good viscosity, enhanced spread ability and coloration.

홍국색소의 항산화 활성 및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and Cell Differentiation Effects of Monascus purpureus Pigment on Osteoblast-like MC3T3-E1 Cells)

  • 김보경;류지혜;장석위;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68-47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홍국색소의 항산화 활성 및 조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홍국색소의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홍국색소의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1,000 ㎍/ml 농도에서 각각 94% 및 99%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OD 유사 활성을 검토한 결과에서, 홍국색소 1,000 ㎍/ml 농도에서 62%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우선 홍국색소 1~1,000 ㎍/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검토하기 위해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1~100 ㎍/ml 농도의 범위에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ALP 활성은 1~100 ㎍/ml 농도에서 농도의 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00 ㎍/ml의 농도에서 최대 124%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석회화 형성능 시험에서도 대조군 대비 모든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100 ㎍/ml의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1.5배의 석회화 형성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홍국색소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며, 조골세포 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골다공증 예방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가진 부가가치가 높은 천연물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Monascus purpureus MK2의 수용성 홍국 천연색소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배양조건 (Optimal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Water-soluble Monascus Natural Pigments by Monascus purpureus MK2)

  • 전춘표;이중복;최성연;이오석;최충식;권기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0-256
    • /
    • 2006
  • Monascus purpureus MK2를 이용하여 수용성 홍국 천연색소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에 대한 연구 결과, 탄소원으로 wheat flour 3.0% 첨가, 질소원으로 $NaNO_3$ 0.15%, 인산염으로 $K_{2}HPO_4$ 농도가 0.2% 및 $MgSO_4\;7H_{2}O$의 농도가 0.05%일 때 가장 높은 수용성 홍국 천연색소 생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배양온도는 $30^{\circ}C$, 초기 pH가 7.0, 진탕속도 130 rpm 및 배양시간 7일 일 때 수용성 홍국 천연색소의 생성능은 모 균주의 생성능인 3.12 unit(황색), 1.87 unit(오렌지), 1.77 unit(적색)에 비해 각각 9.33, 19.70, 27.64배 높은 29.10 unit(황색), 36.84 unit(오렌지), 48.92 unit(적색)로 가장 높은 수용성 홍국 천연색소의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식품유해균에 대한 홍국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onascus koji extracts)

  • 김은영;류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6-81
    • /
    • 2008
  •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색소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Monascus 균주 중 붉은 색소 생산력이 높은 6종의 Monascus 균주(M. araneosus KFRI 00371, M. kaoliang ATCC 46597, M. pilosus IFO 4520, M. purpureus IFO 4482, M. ruber IFO 32318 및 M. sp. ATCC 16437)로 홍국을 제조하고 색소 추출력이 높은 70% 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6종의 Gram 양성균(Clostridium botulinum, Bacillus subtilis, B.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luteus, Listeria monocytogens), 3종의 Gram 음성균(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roteus vulgaris), 2종의 효모(Saccaromyces cerevisiae, Candida albicans) 및 1종의 곰팡이(Aspergillus flavus)에 대한 항균활성과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M. kaoliang ATCC 46597과 M. purpureus IFO 4482가 B. subtilis, B. cereus, M.luteus, S. aureus 및 S. typhimurium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균주 중 M. purpureus IFO 4482가 M. kaoliang ATCC 46597에 비해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대표적 식중독균의 하나인 S. typhimurium에 대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M.kaoliang ATCC 46597과 M. purpureus IFO 4482의 시험 미생물 증식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에 따른 증식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배양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천연의 붉은색을 띄는 홍국 추출물이 식품의 천연착색제 및 보존제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이 나타났다.

Monascus purpureus P-57 변이주가 생산하는 홍국색소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Monascus Pigment of Monascus purpureus P-57 Mutant)

  • 박치덕;정혁준;이항우;김현수;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5-139
    • /
    • 2005
  • Monascus purpureue KCCM 60016으로부터 색소생성 이 우수한 변이주 P-57이 생성한 홍국색소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홍국색소는 chloroform에 아주 잘 추출되며, 특히 hexane에서는 황색색소가 특이적으로 높게 추출되었다. DPPH radical소거 효과는 hexane분획, chloroform 분획, ethyl acetate분획, butanol 분획, water 분획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저해효과는 hexane분획, chloroform분획, ethyl acetate 분획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hexane 분획물의 경우 5 ppm에서 $41.2\%$, 50 ppm에서 $82.4\%$로 높은 저해율을 보였으며, 저해기작은 비경쟁적 저해였다.

Monascus purpureus로부터 다량의 색소생성 변이주의 분리 및 색소생성의 최적조건 (Isolation of Pigment Overproducing Mutant from Monascus purpureus and Optimization of Pigment Production)

  • 박치덕;정혁준;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0-134
    • /
    • 2005
  • Monascus purpureus KCCM 60016을 이용하여 다량의 색소생산 변이주를 개발하고 생산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로 M. purpureus KCCM 60016으로부터 돌연변이를 유도한 결과, 색소생성이 우수한 P-57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P-57 변이주는 고체 배양에서 현미를 기질로 했을 때 색소생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소생성의 최적 배양조건은 배양온도 $30^{\circ}C,\;90\%$의 배양습도에서 30일간 배양이 가장 우수했다. 이상의 조건에서 배양한 적색색소, 오렌지색소와 황색색소의 양은 각각 160.0 unit, 193.6 unit와 141.6 units-나타났다.

액체배양에서 Monascus purpureus P-57 변이주의 색소생성 최적조건 (Optimization of Pigment Production of Monascus Purpureus P-57 in Liquid Culture)

  • 박치덕;정혁주;유대식
    • KSBB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66-70
    • /
    • 2005
  • 본 연구는 Monascus purpureus P-57 변이주를 이용하여 액체배양을 통한 세포내 색소 생성의 최적 배양조건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M. purpureus P-57의 색소생성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4\%$ rice powder, $0.1\%$ beef extract, $0.03\%$ glutamic acid, $0.1\%\;MgSO_4{\cdot}7H_2O,\;0.25\%\;KH_2PO_4$이며, 배지의 pH는 5.0이였다. 그리고 최적 배양조건은 $30^{\circ}C$ , 150 rpm에서 8일간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색소 생성력을 나타내었다. M. purpureus P-57을 이상의 최적 조건에서 배양했을 때 적색 색소가 356.04 mit, 황색 색소가 268.20 unit으로 가장 많은 색소를 생성하였고, 균체량은 15.00 g/L를 생산할 수 있었다.

Monascus purpureus에서 화색식용색소의 분리 및 화학적 특성 (Isolation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Yellow Food Pigments from Monascus Purpureus)

  • 박영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3-127
    • /
    • 1996
  • The isolation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yellow food pigments from Monascus purpureus were studi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s of media. Monacus yellow pigments were isolated and purified by solvent fractionation,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TLC and HPLC. The retention time of Monascus yellow pigments isolated by HPLC was respectively 5 min(I) and 9 min(II) as the yeast malt extract agar(YMA) media and was respectively 4.6 min(III), 5 min(I) 5.7 min(IV), 8.3 min(V), 9 min(II) and 10.7 min(Ⅵ) at the malt extract agar(MEA) media. The structure of monascin(I), ankaflavin(II), 6,11-dihydrorubropunctatin(III), 6,11-dihydromonascorubrin(V) and unknown compounds(IV,Ⅵ) was elucidated by EI-Mass, H and C NMR, UV-visible spectrometer.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6,11-dihydrorubropunctatin(III) and 6,11-dihydromonascorubrin(V) are new intermediates of Monascus yellow pig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