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inat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3초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배아에서 제초제 Molinate에 의한 발생 위해성 평가 및 Biomarker 유전자 발굴

  • 강한승;계명찬;김문규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 /
    • pp.124-126
    • /
    • 2004
  • Molinate is thiocarbamate herbicide used primarily in rice production. Chondrogenesis is a multistep process that is essential for endocondral bone formation. The transcription factor Sox9 has an essential role during the sequential steps of chondrocyte differentiation. Bombina orientalis is one of the most common amphibians in the world and comprises a large proportion of their total number. We examined the embryotoxic and survival effects of molinate at various concentration in B. orientalis embryos. The survival rates of embryos at 312h post fertilization treated with molinate was decreased with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lso, developmental malformations appeared by molinate in B. orientalis embryos. the expression levels of Sox9 mRNA was examined by RT-PCR. In our result showed that Sox9 expression was found to be increased in malformed tadpole compared to normal tadpol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olinate was detrimental for survival and development of B. orientalis embryo.

  • PDF

Molinate의 물벼룩에 대한 급성 및 만성독성 연구 (The Acute and Chronic Toxicity Studies of Herbicide, Molinate to Waterfleas)

  • 신진섭;김병석;박연기;박경훈;이제봉;경기성;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5-221
    • /
    • 2008
  • 우리나라 하천수 중 검출빈도가 높게 검출되고 있는 제초제 molinate의 담수 무척추동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고자 물벼룩에 대한 급 만성독성시험 및 다세대노출시험을 수행하였다. Molinate는 담수 무척추동물인 물벼룩 Daphnia magna 와 Moina macrocopa,에 대한 $EC_{50}$(48시간)이 각각 11.4와 8.3 mg/L, 번식독성 무영향농도(NOEC)가 2.5와 2.0 mg/L로서 종간 감수성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M. macrocopa에 대한 3세대노출시험의 NOEC은 0.16 mg/L이었다. 하천에서 molinate에 의한 물벼룩에 대한 위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벼 재배 환경 중 molinate의 휘산과 공기 중 고추약해 발현농도 (Volatilization of molinate in paddy rice ecosystem and its concentration in air causing phytotoxicity to chili pepper)

  • 박병준;최주현;김찬섭;임건재;오병렬;심재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0-80
    • /
    • 2005
  • 수도용 제초제 molinate에 대하여 벼 재배환경에서 휘산양상과 공기 중 고추에 대한 약해증상 및 발현 농도설정 시험을 수행한 결과 물 중 휘산양상은 $35^{\circ}C$, 20 L/min에서 47시간 후의 누적 휘산비가 22.7%였고, $25^{\circ}C$, 10 L/min에서는 3.2%로 7배 이상이 차이를 보였다. 벼 재배 포장에 150 g/1,000 $m^2$의 약량으로 살포된 molinate의 공기 중 농도는 지면으로부터 60 cm 높이에서 곡간지와 평야지는 각각 18.17과 11.59 ${\mu}g/m^2$ 수준으로 살포 당일에 최고 휘산량을 보였고, 처리 후 20일에는 $0.18{\sim}0.51{\mu}g/m^3$로 95% 이상이 감소되었으며, 두 지역 모두 휘산 양상은 비슷하였다. 높이 간의 공기 중 molinate 농도는 지표면으로부터 60 cm 높이에서 180 cm높이 보다 2배 이상이 분포되었다. 한편 인근에 재배되고 있는 고추 신엽에서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잎 표면이 오므라드는 증상이 약제 살포 3일만에 발생하였으며, 약해가 심하게 나타난 잎의 molinate 잔류량은 $0.004{\sim}0.006$ mg/k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공기 중 molinate에 의한 고추 생육저해는 $6.8{\mu}g/m^3$ 농도에서는 노출 3일째에 약해가 발현되어 4일째는 약해 증상이 심하게 나타났고, $13.6{\mu}g/m^3$ 농도에서는 노출 2일째에 발현되었다. 한편 수경재배에 의한 고추약해는 물 중 $300{\mu}g/L$ 농도에서 10일 후에 약해가 발현되었다. 약해고추의 회복은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었을 때 시일이 경과되면서 약해 받은 잎은 고사되어 없어지고 신엽이 새로 발생되어 4주 후에 정상고추와 비슷한 생장을 하였다.

환경생물에 대한 내분비교란물질 의심 농약의 영향 (Effects on EDC-like farming chemicals in aquatic Organism)

  • 김현우;박건호;박진홍;김화;김준성;유국종;조현선;강가미;이명성;송병훈;신진섭;조명행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88-197
    • /
    • 2003
  • 내분비교란물질은 동물에서 생식기계통을 통제하는 호르몬 조절에 영향을 준다. 상기 선정된 농약을 투여함에 있어서 실험동물로 Xiphophorus helleri로 선정하였는데 이는 암수의 구별이 육안적으로 명확히 관찰되며 또한 난태생으로 사육이 용이한 점이 있다. Xiphophorus helleri에 있어서 내분비교란물질로 의심되는 endosulfan과 molinate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vitellogenin과 aromatase 를 진단 biomarker로써 사용하였다. RT-PCR 결과 endosulfan과 molinate의 혼합처치군 및 alachlor 단독군 수컷에서 vitellogenin과 aromatase의 induction 이 동시에 관찰되었고, endosulfan 단독군에서는 aromatase의 induction이 관찰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endosulfan이나 molinate 단독 처치군에서의 성호르몬과 세포에 대한 유해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endosulfan과 molinate 의 혼합처치군에서는 vitellogenin과 aromatase의 발현 및 apoptosis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wordtail fish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낮은 농도의 molinate와 endosulfan이라도 병용되는 경우에 생식기계의 호르몬 변화와 apoptosis를 야기시킨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시나리오별 논에서의 molinate 노출위험도 분석: (2) 노출위험도 평가 (Scenario-Based Exposure Risk Assessment of Molinate in a Paddy Plot ; (2) Exposure Risk Assessment)

  • 박기중;정상옥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4호
    • /
    • pp.17-24
    • /
    • 2008
  • Exposure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molinate using the RICEWQ model in a rice paddy plot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effects of various water and pesticide management scenarios. Several scenarios were developed to represent the specific water and pesticide management practices of rice cultiv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cenario analysis using the RICEWQ model simulation from the previous studies were analysed. The molinate risk for aquatic organisms is evaluated by the ratio of the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PEC) and the 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PNE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effect periods for aquatic organisms for the deep, shallow and very shallow irrigation conditions were 33.3, 28.9 and 25.6 DATs for the lable rate application and 36.4, 33.7 and 30.8 DATs for the double lable rate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higher application rate showed greater exposure risk to the aquatic organisms. Based on this study, the withholding period of molinate practiced in Korea, that is 3 to 4 DATs, must be much long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making regarding pesticides.

벼 직파재배에 있어서 잡초성벼 및 피 방제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 I. 담수표면산파 재배시 앵미와 피에 대한 oxadiazon, molinate, thiobencarb의 파종전 처리 효과 (Establishment of Control System of Weedy Rice(Oryza sativa) and Barnyardgrass(Echinochloa crus-galli) in Direct-seeded Rice - I. Effect of Oxadiazon, Molinate, Thiobencarb on Control of Red Rice and Barnyardgrass in Water-seeded Rice)

  • 양환승;김진기;경은선;김종석;마상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6-115
    • /
    • 1998
  • 담수표면산파재배시 파종 7~10일전에 oxadiazon, molinate, thiobencarb를 처리하여 앵미와 피에 대한 방제 효과 및 재배벼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oxadiazon 처리구 중에 특히 72g ai/10a이상의 고약량구에서는 환경조건에 따라 초기 입모지연 등의 약해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으나, 이는 경시적으로 회복되어 그후의 생육에는 지장이 없었다. 따라서 약해에 대한 안전성면에서 60g ai/10a 이하가 적정량으로 생각된다. Molinate와 thiobencarb 처리구는 각각 225~400, 210~420g ai/10a 약량수준으로 처리하였는데 거의 약해가 없었다. 앵미에 대한 효과는 제초제의 종류 및 약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oxadiazon의 경우는 처리량이 60g ai/10a이상에서 비교적 우수한 방제율을 나타냈다. Molinate와 thiobencarb는 약량이 증가되면서 앵미의 방제효과는 증가되었으며, 두 약제 모두 300g ai/10a이상의 약량에서 비교적 양호한 방제율을 나타냈다. 피에 대한 효과는 공시 제초제 모두 90~100% 범위의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실험을 실시한 모든 포장에서 공시한 3가지의 파종전 제초제를 처리하여 약해로 인한 수량감소를 보인 포장은 한군데도 없었다. 폿트실험에서 파종 1일 후 배수한 경우가 착근할 때까지 계속 담수상태를 유지한 경우보다 약해도 적고 입모수도 많았으며 초기생육도 양호하였다.

  • PDF

직파(直播) 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 연구(硏究) - 3. 비료 3요소에 따른 약해 발생 특성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 - seeded Rice - 3. Phytotoxicity of Herbicide by Three Elements of Fertilizer)

  • 임일빈;;조수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0-27
    • /
    • 1998
  • 직파 벼에서 몇가지 제초제의 약해에 대한 비료 3요소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반계 품종인 동진벼(Oryza sativa L. japonica cv dongjin)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료 3요소와 각 요소 혼합용액에서 제초제 처리에 의한 벼의 생육 억제 반응은 질소 및 질소 + 칼리 용액에서는 pyrazosulfuron-ethyl 과 pyrazosulfuron-ethyl+molinate처리에서 bensulfuron methyl과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처리에서보다 전체적으로 경엽 및 근부의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인산 및 인산+칼리용액에서는 bensulfuron methyl 및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처리에서 pyrazosulfuron-ethyl 및 pyrazosulfuron-ethyl+molinate처리보다 생육의 억제정도가 큰 편이었다. 또한 질소+인산 및 질소+인산+칼리용액에서는 경엽부는 pyrazosulfuron-ethyl 및 pyrazosulfuron-ethyl+molinate처리에서 뿌리 부분은 bensulfuron methyl 및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처리에서 생장억제율이 상대적으로 큰 경향이었다. thiocabamate계인 dimepiperate과 molinate의 처리는 전체 비료 용액에서 초장 신장을 억제시켰으며 근부는 질소+인산용액에서 생육이 가장 억제되었으나 대체로 억제정도는 경엽부보다 낮았다. pyrazosulfuron-ethyl과 bensulfuron methyl 및 그의 혼합 처리에서는 질소농도가 높을수록 생육 억제정도가 컸으며, 비료 3요소 중 인산 결핍시 생육 억제정도가 가장 큰 경향이었다.

  • PDF

2종의 수서곤충 Chironomus riparius와 Cloeon dipterum의 유충 성장단계별 molinate 급성독성 비교 (Comparison of Acute Toxicity of Molinate on Two Aquatic Insects, Chironomus riparius and Cloeon dipterum in Different Larval Stages)

  • 김병석;박연기;홍순성;양유정;박경훈;정미혜;김세리;박경훈;예완해;김두호;홍무기;안용준;신진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56-261
    • /
    • 2009
  • 우리나라에서 수도용제초제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molinate는 농약성수기에 하천수중 검출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는 농약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molinate의 Chrinomus riparius(깔따구류)와 Cloeon dipterum(하루살이류)의 유충의 성장단계별 급성독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C. riparius의 령기별 molinate의 급성독성을 비교한 결과 1령 유충의 48시간 $EC_{50}$은 7.8 mg/L로 가장 감수성이 높았으며 2령 유충은 25.0 mg/L, 3령 유충은 22.9 mg/L로 나타나 2령과 3령의 감수성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령 유충의 경우 48시간 $EC_{50}$이 50 mg/L 이상으로 나타나 가장 감수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루살이(C. dipterum) 유충의 경우에도 제일 어린 유충 group의 감수성이 가장 민감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96시간 $EC_{50}$은 14.3~24.1 mg/L범위였다. 결론적으로 수서곤충의 유충 령기별 독성 평가결과 가장 어린 개체가 가장 민감한 것으로 조사되어 독성 시험시 방법과 목적에 맞는 적절한 유충 성장단계를 선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약의 수생태계 위해성 평가에서 우리나라 농수로에 서식하는 대표 수서곤충인 하루살이 유충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 하고자 한다.

안개 조건하(條件下)에서 벼(Oryza sativa L.)의 잡초경합(雜草競合)과 제초제(除草劑) 반응차이(反應差異)에 관(關)한 연구(硏究);I. 벼의 제초제(除草劑) 반응(反應) (Weed Competition and Herbicide Response of Rice under the Foggy Condition;I. Rice Response to Herbicides)

  • 구자옥;국용인;권오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8-96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벼 (Oryza sativa L.; 품종명(品種名) : 동진벼 10일묘(日苗))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하여 안개 및 비(非)안개 조병하(條倂下)에서 상이(相異)한 수종(數種)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약해(藥害) 및 약효반응(藥效反應) 차이(差異)를 밝혀 안개 상습지(常習地)에서의 논 잡초방제체계(雜草防除體系) 확립(確立)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마련할 목적(目的)으로 수행(遂行)되었다. 본(本) 연구(硏究)는 안개 제조(製造) 장치(裝置)가 설치(設置)된 (Auto foggy system: SAE KI RTN Co.) 온실내(溫室內)($30{\pm}2^{\circ}C$${\sim}$$25{\pm}2^{\circ}C$) Tray시험(試驗)으로 수행(遂行)되었으며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안개조건(條件)에서 일부(一部) 제초제(除草劑) Bifenox와 Bensulfuron에서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을 통하여 인정(認定)되었고, 약효(藥效)는 초종별(草種別) 차이(差異)가 없었음. 2) 안개조건(條件)에서 잡초발생(雜草發生)은 적었고, Bensulfuron과 Molinate 및 Bifenox에서 방제효과(防除效果)가 높았던 경향(傾向)이며, Molinate는 안개조건하(條件下)에서 이앙후(移秧後) 20일(日) 과 60일(日)에 초장(草長)과 분얼수(分蘖數)가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임. 3) 안개조건하(條件下)에서 고건중(藁乾重)과 수량감소(收量減少)가 유의적(有意的)으로 인정(認定)된 것은 단지 Molinate 처리구(處理區)뿐이었다.

  • PDF

RICEWQ 모형의 보정 및 민감도 분석 (Calibr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RICEWQ Model)

  • 정상옥;박기중;손성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2호
    • /
    • pp.3-10
    • /
    • 2008
  •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alibrate the RICEWQ model with Korean field data and then analyse the sensitivity of the parameters to identify sensitive parameters. The RICEWQ is widely used to predict pesticide fate in a paddy plot. An experimental paddy plot of 0.2 ha($100{\times}20\;m$) at Seobyeon-dong, Daegu, Korea was selected, and field observations for water and pesticide balance were performed from 4 June to 2 September 2006. The molinate, which is a herbicide widely used for weed control in rice culture, was selected. The RICEWQ model was successfully calibrated both for the water and pesticide mass balance. The calibrated model showed a RMSE of 0.537 cm for ponded water depths and a RMSE of 0.036 mg/L for the molinate concentrations in the ponded water. The most sensitive parameters for molinate concentrations in ponded water were the metabolism degradation rate in water, volatilization coefficient, and release rate for slow release formulation. In contrast, the RICEWQ model was not sensitive to parameters such as hydrolysis degradation rate in water and degradation rate in unsaturated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