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phylogenetic tree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6초

Intraspecific Molecular Phylogeny, Genetic Variation and Phylogeography of Reticulitermes speratus (Isoptera:Rhinotermitidae)

  • Park, Yung Chul;Kitade, Osamu;Schwarz, Michael;Kim, Joo Pil;Kim, W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1권1호
    • /
    • pp.89-103
    • /
    • 2006
  • Population structure was investigated in Reticulitermes speratus popul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All trees derived from analyses of the combined sequence dataset of two mitochondrial genes, COII and COIII, showed that R. speratus populations cluster into two major clades comprising the Korean/southern Japanese populations and the northern Japanese populations. Analysis of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showed strong genetic partitioning between populations of the two clades. To understand historical migration routes and current distributions, the phylogeographic history of R. speratus was inferred from intra-/interspecific phylogeny and divergence times estimated between the clades of the phylogenetic tree. The estimated migration route and divergence time of ancestral R. speratus are congruent with recent paleogeographic hypotheses involving land-bridge connections between the Asian continent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We suggest that ancestral R. speratus separated into northern and southern Japanese populations after its migration into the Japanese main islands from East China during the early Pleistocene via the East China Sea basin, which may have been exposed during that period. The Korean populations seem to have diverged recently from southern Japanese populations; this may explain the current distribution of R. speratus in the Japanese Arachipelago, and account for why it is restricted to northern areas of the Tokara Strait.

New record of three economic Hypnea species (Gigartinales) in Korea

  • Kang, Pil Joon;Nam, Ki W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11호
    • /
    • pp.31.1-31.7
    • /
    • 2018
  • Three economic marine algae that have been used as food and carrageenan sources were collected from Korea during a survey of marine algal flora. They share the generic features of Hypnea, and three major clades supported by the sectional features were confirmed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rbcL sequences. The first species, which belongs to a species group corresponding to the sect. Spinuligerae, nests in the same clade with Hypnea yamadae in a genetic distance of 0%. It is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an entangled base, subcompressed or subterete to terete axes, somewhat percurrent main axis, irregularly alternately branching with wide angle, and rarely hooked spinous branchlets. The second one is also referred to the sect. Spinuligerae and formed the same clade as Hypnea cenomyce.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both sequences was calculated as 0.0-0.1%, which is considered to be intraspecific. This species is distinct by somewhat entangled thallus at the basal part, percurrent axis, short spine-like branchlets densely covering the axis, and medullary lenticular thickenings. The third alga, which forms a species group corresponding to the sect. Pulvinatae, nests in the same clade as Hypnea nidulans (no intraspecific divergence). It shows occasionally epiphytic habitat rather than epilithic habitat of low mat-forming growth and percurrent erect main axes with dense lateral branchlets.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the three Korean species are identified as H. yamadae, H. cenomyce, and H. nidulan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Hypnea species in Korea.

Ulva grossa sp. nov. (Ulvales, Chlorophyta) from Korea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es

  • Kang, Pil Joon;An, Jae Woo;Nam, Ki Wan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1-60
    • /
    • 2022
  • A green alga specimen was collected from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is species shared the typical features of genus Ulva and was characterized by irregularly shaped thalli, relatively small and thick thallus, entire undulate margins without serrations, and one or two pyrenoids per cell.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sequences of the nuclear-encode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it nests as a sister clade to a few species including Ulva ohnoi, which has a relatively large thallus. This Korean algal specimen differs from the species forming the same subclades, including U. ohnoi, Ulva fasciata, Ulva reticulata, and Ulva gigantean, and has a relatively small (3-8 cm) and thick (60-100 ㎛) thallus. Of these species, U. ohnoi, originally described from Japan, is similar to the Korean alga as it had a thick thallus of 30-90 ㎛, but it has microscopic serrations on the thallus margin, unlike the Korean alga.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the Korean alga species and the aforementioned species was determined to be 1.8%-4.8%, indicating an inter-specific divergence level at the genus Ulva. Herein, Ulva grossa sp. nov. (Ulvales, Chlorophyta) from Korea is describ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핵 리보솜 DNA ITS 부위에 의한 조팝나무속 식물종의 계통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Genus Spiraea Based on the Nuclear Ribosomal DNA ITS Region)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5-292
    • /
    • 2012
  • 조팝나무속(genus Spiraea) 식물은 다년생 목본으로 주로 아시아와 유럽에 분포하고 있다. 한국의 14종을 포함한 전 세계 38분류군에 대해 핵 내 리보솜 전사 서열(ITS)로 이 속의 유전적 관계를 평가하였다. 이 분자생물학적 자료로 분류군의 분지군은 잘 분리되었다. 47 계통(38 분류군: 14개 한국 분류군, 33개 세계 분류군, 9개 중복 분류군). 전체 689 bp 중에서452자리는 절약-정보적이었고, 527자리는 변이를 나타내었으나 절약-비정보적이었고, 159자리는 분류군 전체에서 변이가 전혀 없었다. 비록 계통도에서 잘 분리되었지만 형태적 특성과 지리적 분포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분리되는 자리수는 430이었으며 핵산 다양도(${\pi}$)는 0.281이였다. 중립가설 하에서 Tajima 검증 통계값(D) 은 0.5보다 큰 2.325였다. 따라서 자연 도태가 유전적 변이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Septobasidium sp.에 의한 구실잣밤나무 고약병의 분자학적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Molecular Diversity in Castanopsis sieboldii with Felt Disease Caused by Septobasidium sp.)

  • 이건우;서상태;차병진;한상섭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420-424
    • /
    • 2023
  • 2020년 제주도 동백동산 내 구실잣밤나무 수피에 고약병과 관련된 Septobasidium sp.가 발견되었다. 분리한 균주는 습실 처리하여 새로 생성된 균사에 대한 genomic DNA를 추출한 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및 small subunit rDNA 유전자에 대해 염기서열을 밝혔으며 polymerase chain reaction-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통해 균주들간의 분자학적 특성이 조사되었다. 이 새로운 Septobasidium sp.은 기존에 알려진 고약병들과 형태학적 및 계통학적으로 다르게 나타나 새로운 종으로 보고한다. 또한 이 고약병은 관찰 당시 주변의 다른 수목들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오직 구실잣밤 나무에서만 나타나는 특성으로 기주특이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엽록체 matK 와 핵 ITS 염기서열을 이용한 나도풍란속 및 풍란속의 계통과 종동정 (Phylogenetic position of Neofinetia and Sedirea (Orchidaceae) and their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the chloroplast matK and the nuclear ITS sequences)

  • 김영기;조상진;김기중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9-50
    • /
    • 2014
  • 엽록체 matK 유전자와 핵 ITS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나도풍란속 및 풍란속의 계통학적 위치를 정립하였다. 또한, 이들 마커를 이용하여 종 및 원산지 추적에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풍란속과 나도풍란속은 두 마커 모두에서 뚜렷한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풍란속의 자매군은 Vanda임이 두 마커 모두에서 입증되었으나,본 연구 결과는 풍란속을 Vanda에 포함시키는 처리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나도풍란속은 (Dimorphorchis (Pteroceras (Saccolabiun+Phalaeonopsis))) 계통군과 자매군을 형성하였고, 이중 Dimorphorchis와 자매속일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형태적 유사성으로 나도풍란속이 Aerides와 자매속이라는 주장의 가능성은 희박하였다. 두 마커를 분석한 결과 풍란속의 경우 종 및 종 내의 산지별 구별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풍란의 재배 개체들의 기원을 규명하는데도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공공 염기서열 DB에 있는 서열들은 의유전자로 추정되는 서열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재배 난과식물에는 속간 및 종간 잡종이 많으며 잡종에 의한 수평적 유전자 이동문제 등이 결부되어 있으므로, 계통학적으로 염기서열 자료를 이용하는데 주의하여야 한다. 계통분석을 위하여는 한 종 내의 여러 개체로부터 염기서열을 확보하는 것이 이러한 위험성을 줄이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미토콘드리아 ribosomal 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 의한 한국산 연어아과 어류의 유전적 계통도 (Phylogeny of the subfamily Salmoninae distributed in Korea based upon nucleotide sequences of mitochondrial ribosomal RNA genes)

  • 이희정;박중연;이정호;민광식;전임기;유미애;이원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09
    • /
    • 2000
  • 열목어를 비롯한 산천어, 시마연어, 연어, 무지개송어 등 우리나라 연어아과 어류의 집단구조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ribosomal RMA 유전자 영역의 염기서열변이를 비교${\cdot}$분석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125 rRNA(945 bases, 열목어 의 경우 946 bases), Valine transfer RNA (72 bases), 및 16S rRNA(1513 bases) 등 3개의 유전자 영역에 걸쳐, 최대 2531 bases의 염기서열을 PCR/direct sequencing하여 얻었는데, 모든 염기변이중 전이가 월등히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종내${\cdot}$종간변이율은 모두 $0.5{\%}$이하로 낮게 나타나, 다른 영역에 비해 rRNA 유전자 영역에서의 염기서열이 매우 보존적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은 연어류의 속 (genus)단계 이상에서 집단분류표지인자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리라 사료되어진다. 미토콘드리아 rRNA 염기서열자료를 기초로 구성된 phylogenetic tree를 통해 이들 종간의 진화적인 유연관계를 살펴본 결과, 시마연어가 무지개송어보다는 연어와 더 근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목어는 가장 유연이 먼 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hylogeny of Korean Isolates of Phytophthora Species Based on Sequence Analysi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of Ribosomal DNA

  • Hong, Seung-Beom;Jee, Hyeong-Jin;Kim, Sang-Hee;Go, Seung-J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29-35
    • /
    • 2000
  •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ITS I, 5.8S and ITS II) of the ribosomal DNAs were amplified from Korean isolates of Phytophthora spp. and sequenced to characterize them. Sequences from 33 isolates previously identified as P. boehmeriae, P. cactprum, P. cambivora, P. capsici, P. cinnamomi, P. erythroseptica, P. infestans, P. megasperma, P. melonis, P. nicotianae, P. palmivora and P. sojae were compared with published sequences, and a phylogenetic tree was produced. All isolates belonging to 10 species, P. cactorum, P. cambivora, P. capsici, P. cinnamomi P. citricola, P. infestans, P. nicotianae, P. palmivora and P. sojae were clearly clustered into published isolates of each species above 97% bootstrap value. Cucurbits isolates of Phytophthora previously identified as either P. melonis or P. drechsleri showed distinct evolutionary lineages from the P. megasperma was closely related to isolates of P. cryptogea-P. drechsleri showed distinct evolutionary lineages from the P. cryptogea-P. drechsleri complex group, indicating that P. melonis is a valid species. A Korean isolate of P. megasperma was closely related to isolates of P. erythroseptica showed distant genetic relationship with published isolates of P. erythroseptica (CBS 956.87). It is probable that the two Korean isolates could be genetically different from foreign isolates or misidentified. A grouping of species according to ITS sequence divergence matched, to some degree, the broad classification based on type of papilla. However, a separation of semi-papillate species and papillate species was not wvident in this study.

  • PDF

ISSR에 의한 한국 내 원추리속 식물의 유전적 및 계통학적 연구 (Genetic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Genus Hemerocallis in Korea Using ISSR)

  • 최주수;허홍욱;이설아;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53-758
    • /
    • 2008
  • 원추리속(Genus Hemerocallis) 식물은 초본이며 일부 종은 약용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속내 8개 분류군에 대해 ISSR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마커로 계통학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한 식물은 원추리(Hemerocallis fulva), 왕원추리(H. fulva for. kwanso), 각시원추리(H. dumortieri), 골잎원추리(H. coreana), 홍도원추리(H. hongdoensis), 큰원추리(H. middendorffi), 노랑원추리(H. thunbergii), 애기원추리(H. minor)이다. 또한 이들 분류군에 대한 유전적 변이와 구조를 조사하였다. 종간 유전적 다양도는 $0.068{\sim}0.123$이며 평균 유전적 다양도는 0.098로 전반적으로 낮았다. 애기원추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세대 당 이주하는 개체수는 매우 적었다(Nm=0.128). 원추리속 종은 계통도에서 세 분지군으로 나누어졌다. 한 그룹은 H. fulva, H. fulva for. kwanso, H. middendorffi였다. 다른 그룹은 Hemerocallis, H. dumortieri, H. thunbergii, H. minor였다. 나머지는 H. coreana와 H. hongdoensis로 두 번째 그룹과 자매군을 형성하였다. 비록 종 내 적은 개체수로 분석하였지만 원추리속 식물종이 ISSR 마커로 잘 분리되었다.

우리나라 미꾸리속(genus Misgurnus) 알비노 개체의 미토콘드리아 및 핵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유전적 동정 (Genetic Species Identification by Sequencing Analysis of Nuclear and Mitochondrial Genes for Albino Misgurnus Species from Korea)

  • 송하윤;문신주;김근식;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9-145
    • /
    • 2017
  • 최근 우리나라에서 자연발생적인 미꾸리속 알비노 개체들이 낮은 빈도로 출현하고 있으나, 색소 결핍으로 인해 형태적종 동정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핵 유전자인 recombination activating gene 1 (rag1) 영역 및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cytochrome b (cytb) 영역을 이용한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이용해 미꾸리속 알비노 개체의 분자동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rag1과 cytb의 분자계통도에서 미꾸라지, 미꾸리, 그리고 M. mohoity로 3개의 clade가 확인되었다. 확보된 M. mohoity의 염기서열을 유전자은행의 BLAST를 이용해 유사성을 검색한 결과 M. mohoity와 가장 유사하였다. 분자계통도를 기준으로 25마리의 알비노 미꾸리속 개체의 종 동정을 수행한 결과 빨간 눈 타입은 미꾸리 16마리, 미꾸라지 1마리로 판별되었고, 나머지 3개체는 미꾸라지♀${\times}$미꾸리♂ 잡종 1마리와 M. mohoity ♀${\times}$미꾸리♂ 잡종이 2마리 판별되었다. 또한 검은 눈타입 5마리는 미꾸리 1마리와 미꾸라지 3마리 및 M. mohoity 1마리로 판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이용한 분자마커를 활용함으로써 미꾸리속 어류의 정확한 종 또는 잡종을 동정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