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ina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영광 와탄천의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동태 (Mesozooplankton Community Dynamics in Watan Stream, Yeonggwang, Korea)

  • 이동주;김세화;이원철
    • 환경생물
    • /
    • 제27권4호
    • /
    • pp.425-432
    • /
    • 2009
  • 전라남도 영광군 와탄천 지류에 서식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풍부도, 요각류의 분포 및 환경과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4월, 7월, 8월, 10월, 12월, 2007년 2월 6회에 걸쳐 총 8개의 정점에서 채집을 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은 45개의 분류군으로 요각류는 29종, 지각류는 8종 등이 출현하였다. 우점하는 분류군 중 요각류는 2월에 13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 7월, 8월에는 4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출현개체수는 10월 ($31{\sim}127,587\;indiv.m^-3$)에 가장 높았으며, 12월 ($12{\sim}233\;indiv.m^-3$)에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 다양성 지수는 7월(0.67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8월(0.368)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와탄천 지류에서 주요 우점종은 Acartia hongi로 나타났다. A. hongi는 2006년 4월, 12월, 2007년 2월에 출현하였다. 수온 약 $12.0^{\circ}C$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나타내었고, 주로 염분도 30.0 psu 이상인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담수지역에서는 지각류인 Polyphemus pediculus, Moina weismani가 06년 8월에 대량 발생하였다. 우점 분류군이었던 요각류는 집괴분석 결과 조사시기 별로 염분의 변화에 따라서 두개 또는 세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연구지역에서 중형동물플랑크톤은 수문의 개폐에 따른 염분의 변화와 계절적 차이에 의한 수온이 출현종 조성과 출현 개체수에서 영향을 받았다.

우포늪의 미소갑각류 군집 동태: 강우량 및 이화학적 요인이 미소갑각류 군집 분포에 미치는 영향 (Microcrustacean Community Dynamics in Upo Wetlands: Impact of Rainfall and Physiochemical Factor on Microcrustacean Community)

  • 최종윤;김성기;나긍환;정광석;김현우;김태규;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45권3호
    • /
    • pp.340-346
    • /
    • 2012
  • 미소갑각류 군집과 이화학적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우포늪에서 2001년부터 2010년 동안 2주 간격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시간 동안, 총 10속의 지각류가 동정되었으며, 서식 형태에 따라 구분된 부착성 지각류(Alona, Camptocercus, Simocephalus, Diaphanosoma, Sida)와 부유성 지각류(Bosmina, Ceriodaphnia, Daphnia, Moina, Scapholeberis)의 연 출현이 매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유성 지각류는 봄과 가을 시기에 높은 밀도로 나타났으며, 부착성 지각류는 여름 시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였다. 요각류 성체와 유생 또한 부착성 지각류와 유사한 계절적 분포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유성 지각류는 강우량과 이화학적 요인과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부착성 지각류는 이화학적 요인 중 수온과 뚜렷한 상관성을 보였다(n=120, p<0.01). 특히 부착성 지각류 중 Chydoridae는 강우량 및 수온과 양의 상관관계를(n=120, p<0.01), 용존산소와 전기전도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n=120, p<0.05). 요각류 군집은 강우량(n=120, p<0.01) 및 수온(n=120, p<0.05)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우포에서 강우량은 미소갑각류 군집 분포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저수지화 성향을 띤 낙동강에서 치어 섭식이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uvenile Fish Predation on the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Large Regulated Nakdong River, South Korea)

  • 장광현;황순진;장민호;김현우;정광석;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34권4호통권96호
    • /
    • pp.310-318
    • /
    • 2001
  • 낙동강에서 치어섭식이 동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을 채집된 치어의 소화관조사를 통해 고찰하였다. 조사지역인 낙동강 하류 물금에서는 유량이 감소하고 수체가 정체되는 5월에서 6월사이 5종류의 치어가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같은 시기, 동물플랑크톤 군집내에서는 대형윤충류인 Asplanchna spp.와 Brachionus spp., 지각류인 Moina micrura 및 Bosminopsis deitersi의 밀도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Polyarthra속의 소형윤충류는 최대 밀도를 나타내었다. 채집된 치어의소화관 조사 결과, 15 mm이하의 치어는 대형윤충류 및 지각류를, 15mm 이상의 치어인 경우 지각류를 선택적으로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큰입배스의 치어의 경우, 같은 시기 채집된 치어에 비해 대형이었으며 동물플랑크톤 뿐 아니라 다른 치어를 포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결과, 이시기의 낙동강 동물플랑크톤 군집내의 대형 윤충류와 지각류의 급격한 밀도 감소는 치어의 섭식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이러한 밀도감소는 치어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부영양화된 낙동강의 경우 배스치어의 섭식으로 인한 치어밀도의 급속한 감소, 풍부한 먹이농도 등이 감소한 지각류의 밀도회복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사료내 Paprika와 동물플랑크톤 혼합첨가가 흰줄납줄개 Rhodeus ocellatus의 Carotenoid 축적 및 체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prika and Zooplankton Supplementation in the Diets on Carotenoid Deposition and Skin Pigmentation of the Rose Bitterling Rhodeus ocellatus)

  • 이충열;배기민;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0-104
    • /
    • 2009
  • 본 연구는 사료내 색소원으로 paprika와 동물플랑크톤 혼합첨가가 흰줄납줄개의 carotenoid 축적 및 색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사료(Con)를 제외한 모든 실험사료에 paprika 분말 5%를 첨가하고, paprika 분말과 동물플랑크톤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paprika 분말만 첨가한 실험사료(P5), P5사료에 water flea Moina macrocopa 3% 첨가사료(P5M3), Artemia nauplius (Artemia sp.) 3% 첨가사료(P5A3),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3% 첨가사료(P5R3)로 총 5개의 실험사료를 제조한 후, 2반복으로 10주간 사육실험 하였다. 실험종료 후, 모든 실험구간에서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총 carotenoids 함량은 동물플랑크톤이 첨가된 실험 구에서 높은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특히, P5A3 실험구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흰줄납줄개의 색택은 paprika와 동물플랑크톤 혼합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 및 P5 실험구에 비해 붉은색이 더 선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흰줄납줄개의 배합사료내 paprika와 동물플랑크톤의 혼합첨가는 붉은 색 개전에 도움이 되었고, 특히 Artemia nauplius 또는 rotifer 첨가가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기반연구 : (II) 물벼룩류 (Fundamentals of Ecotoxicity Evaluation Methods Using Domestic Aquatic Organisms in Korea : (II) Water Flea)

  • 안윤주;남선화;이우미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357-36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계에 서식하고 있는 수서생물을 대상으로 수행된 바 있는 국내외 독성 시험법의 노출 기간, 종말점 등 시험 세부 조건을 수렴하여, 향후 국내생태 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해 각 생물종별 시험 세부 조건별 범위와 생태독성평가기법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국내 생물종을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수행된 바 있는 독성 시험법에 대한 연구 사례를 검토한 결과, OECD등의 표준시험법에서 추천한 시험종을 대상으로 한 독성자료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표준시험법의 공시종 이외에도 국내 생물종에 대한 소량의 연구 자료가 있었으나, 대체로 표준시험법을 개별 상황에 맞게 수정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출기간 및 배양액은 생물종마다 상이한 조건으로 수행된 바, 물벼룩류 독성시험에 있어서 가장 유의해야 할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기반이 미비한 현 시점에서 보다 체계적인 국내생태독성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향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생활사를 측정하여 보다 명확한 노출기간을 설정, 본 연구에서 선정한 물벼룩류 9종을 대상으로 도출된 생태독성시험기법에 대한 검증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시험종 개발 및 각각의 시험종에 따른 최적 실험 조건 규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생물종을 대상으로 한 독성시험기법 및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수생태계 실정 및 먹이 연쇄를 통한 생물종 간 상호 관련성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국내 시험종 및 그에 따른 시험법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Different tolerance of zooplankton communities to insecticide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species composition

  • Sakamoto, Masaki;Tanaka, Yoshinar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2호
    • /
    • pp.141-150
    • /
    • 2013
  • Natural zooplankton communities are composed of many different species at different trophic levels in the aquatic food web. Several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in mesocosm/enclosure experiments, larger cladocerans tend to be more sensitive to carbamate insecticides than smaller ones (Daphnia > Moina, Diaphanosoma > Bosmina). In contrast, results from individual-level laboratory tests have suggested that large cladoceran species are more tolerant than small species. To clarify this inconsistency, we conducted a microcosm experiment using model zooplankton communities with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s, where animals were exposed to lethal (near to the 24 h LC50, concentration estimated to kill 50% of individuals within 24-h for the small cladoceran Bosmina) and lower, sublethal concentrations of carbaryl. In the experiment, population densities of the small cladocerans (Bosmina and Bosminopsis) decreased subsequent to the applications of chemical, but no impacts were observed on the large cladoceran Daphnia. Our results supported the reports of previous individual level toxicity tests, and indicated that the sensitivity of zooplankton to the insecticide was unchanged by biological interactions but the response of population can be modified by compensation of population through hatching from resting eggs and/or the persistence of insecticide in the systems.

진도의 담수산 물벼룩류와 요각류의 출현특성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윤성명;장천영;김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39-64
    • /
    • 1995
  • 진도의 담수산 물벼룩류 및 요각류의 종류상, 서식처별 종조성, 물벼룩류와 요각류의 출현특성 및 상관출현성 등을 조사하기 위해 , 1994년 7월 23-25일과 11월 1-3의 두차례에 걸쳐 저수지, 하천, 습지, 논 , 농수로 , 연못 , 샘 등 다양한 담수 서식처 35개 지소에서 물벼룩류와 요각류을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5종의 미동정종을 포함한 2목 6과 17속 27종의 물벼룩류와 3종의 미동정종을 포함한 3목 6과 21 속 28종의 요각류가 본 조사기간 동안 출현하였는데 , 이 가운데 물벼룩류 Daphnia obtusa Kurz 와 요각류 Elaphoidella bidens (Schmeil)는 한국미기록종이다. 정수역의 저수지에서는 7월에 물벼룩류 Diaphanosoma sp. 와 요각류인 온난검물벼룩(Thermocyclops taihokuensis)이 , 11월에는 긴뿔물벼룩(Bosmina longirostris)과 참검물벼룩(Cyclops vicinus vicinus)이 각각 우점하였고 , 저수지의 가장자리 부식질이 많은 곳과 웅덩이에서는 긴눈시모물벼룩(Simocephalus vetulus)과 사각배큰씨물벼룩(Alona rectangula), 둥근씨물벼룩(Chydorus sphaericus)등의 물벼룩류와 톱니꼬리검물벼룩(Eucyclops serrulatus)을 비롯한 꼬마검물벼룩(Microcyclops varicans), 갈고리보통검물벼룩(Mescocylops pepheiensis)등의 요각류가 출현하였다. 7월에서 11월로 가면서 Diaphanosoma sp. 와 온난검물벼룩(T.taihokuensis)의 개체수는 격감하였고 대신 긴뿔물벼룩과 유리온난검물벼룩(T.crassus)의 개체수와 출현비도는 증가하였다. 연못에서는 7월에 온난검물벼룩, 11월에는 시궁모이나물벼룩(Miina weismanni)이 우점하였다. 논에서는 모이나물벼룩(Moina macrocopa) 과 온난검물벼룩(T.taihokuensis)이 우점하였다. 유수역의 계류 및 샘에서는 물벼룩류 Alona sp.와 하르팍티쿠스류 두마디털보장수노벌레(Attehyella byblis) , 네가시털보장수노벌레(A.tetraspinosa) 등이 출현하였다. 하천에서는 물벼룩류의 출현빈도가 낮았으며, 7월에 비해 11월에 물벼룩 출현종들이 다양한 편이었는데, 부유성 종에서는 긴뿔물벼룩과 저서성 종에서는 둥근씨물벼룩이 가장 흔한 종이었다. 욕가류는 하부의 하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하천의 조사지점에서 거의 같은 종조성을 나타냈는데 , 톱니꼬리검물벼룩(e.serrulatus)과 갈고리보통검물벼룩(M.phieiensis)이 가장 흔하고 개체수가 많은 종이었다. 물벼룩류와 요각류의 상관출현성에서는 , 정수역의 경우 물벼룩류 Diaphanosoma sp. 와 온난검물벼룩의 2 종, 긴뿔물벼룩, 둥근씨물벼룩, 사각배튼씨물벼룩 및 톱니꼬리검물벼룩의 4종, 짧은배씨물벼욱(Disparalona rostrata)과 유리온난 검물벼룩, 꼬마검물벼욱, 갈고리보통검물벼룩의 4종, 시모긴눈물벼욱, 시궁모이나 물벼룩, 긴뿔물벼룩붙이(Bosminopsis detersi) , 줄무늬큰씨물벼욱 (Alona costata)과 마루딱정장수노벌레(Canthocamptus carinatus) 및 참검물벼욱의 6종등이 각각 종의 출현에서 다른 종들에 비해 서로 깊은 상관성이 잇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수역에서는 긴눈시모물벼룩과 갈고리보통검물벼룩의 2종, 시궁모이나물벼룩과 긴뿔물벼룩, 긴뿔물벼룩붙이와 마루딱정장수노벌레의 4종등이 각각 시기나 장소에 따른 종의 출현성에서 다른 종들에 비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화호 유입 지천의 지표수와 퇴적물 용출수가 수서 지표생물에 미치는 급.만성 생태 독성 영향 (Aquatic Toxicity Evaluation of Sediment Elutriate and Surface Water in Streams Entering Lake Shihwa)

  • 박예나;김선미;한선영;이지연;이진영;박윤석;윤충식;최경호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4호
    • /
    • pp.267-276
    • /
    • 2008
  • Acute and chronic toxicities of sediment elutriate and surface water samples collected at Lake Shihwa were evaluated using standard toxicity testing organisms including Vibrio fischeri, Daphnia magna and Moina macrocopa. Acute exposure resulted in toxic effects in all surface water or sediment elutriate samples, except for those collected from the reed swamp and Okgu stream. The rainy season influenced the toxicity of the water samples, presumably either by dilution of point discharge or through introduction of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through runoff. In the sediment, elutriate and surface water samples, copper was detected above potentially lethal concentration, which may in part explain the observed toxicity. Considering acute toxicities of the surface water streams that direct to the Lake Shihwa, efforts should be warranted to control and reduce discharge of point and non-point sources along Lake Shihwa.

明岩池의 Copepoda 및 Branchiopoda의 分布와 季節的 變動에 關한 硏究 (Distribu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Copepods and Branchiopods in the Myeongam Lake)

  • 김춘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7-75
    • /
    • 1978
  • 忠淸北道 淸州市에 소재한 明岩池에 棲息하는 Copepoda와 Branchiopoda의 分布相을 硏究하기 위해 1977년 7월 29일부터 11월 5일 사이에 11회에 걸쳐 Copepoda와 Branchiopoda를 採集하였고 또한 環境要因으로 氣溫, 水溫, pH, 溶酸存素量을 測定하여 얻은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調査期間동안의 平均 氣溫과 水溫은 $25.0^{\circ}C, $23.7^{\circ}C 였으며 pH는 6.86, 溶酸存素量은 10.75 ppm이였다. 2. 採集된 Copepoda와 Branchiopoda는 총 2亞目 4科 9屬 13種이였다. 3. 13種中에서 Thermocyclops taihokuensis와 Diaphanosoma brachyurum, Mesocyclops leuckarti, Daphnia longispina의 4種은 거의 全調査期間을 통해 採集되었다. 4. 全調査期間中 量的으로 가장 풍부한 우점종은 Diaphanosoma brachyurum이였다.

  • PDF

한국산 물벼룩에 대한 수종 농약의 급성독성 (Acute toxicity of some pesticides on five Korean native Cladocerans)

  • 김병석;박연기;박경훈;정미혜;유아선;양유정;신진섭;김진화;윤성명;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61-267
    • /
    • 2007
  • 국내서식 물벼룩종을 이용한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4종의 한국산 물벼룩 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olus vetulus과 국제표준종 Daphnia magna대한 5종 농약에 대한 급성독성반응을 조사하였다. Diazinon의 D. magna, D. obtusa, Daphnia sp., M. macrocopa, S. vetulus에 대한 48시간 $EC_{50}$은 각각 0.81, 1.7, 2.2, 4.5, $23\;{\mu}g\;L^{-1}$였다. Carbofuran의 D. obtusa, Daphnia sp., D. magna, M. macrocopa, S. vetulus에 대한 48시간의 $EC_{50}$은 각각 6, 10, 19, 211, $316\;{\mu}g\;L^{-1}$였다. 가장 민감한 D. obtusa와 가장 둔감한 S. vetulus간의 독성치 차이는 52.7배로 시험에 사용한 5종의 농약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Fenpropathrin은 시험에서 사용한 계통별 농약 5종 중에 가장 높은 독성을 보였는데 D. magna, Daphnia sp., D. obtusa, M. macrocopa, S. vetulus에 대한 48시간 $EC_{50}$은 각각 0.27, 0.56, 0.8, 1.6, $3.4\;{\mu}g\;L^{-1}$이었다. Iprodione은 M. macrocopa에 대한 독성이 가장 강해서 48시간의 $EC_{50}$$0.16\;{\mu}g\;L^{-1}$이었으며 Daphnia sp., S. vetulus, D. magna, D. obtusa의 48시간의 $EC_{50}$은 각각 0.24, 1.18, 1.38, $1.62\;{\mu}g\;L^{-1}$으로 독성이 낮았다. Myclobutanil은 본 시험에서 사용한 계통별 농약 5종 중에 가장 독성이 낮았는데 5종의 물벼룩 중에 D. obtusa가 이 농약에 대하여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48시간 $EC_{50}$$5.4\;{\mu}g\;L^{-1}$이었다. 물벼룩 종간에 1.3배에서 많게는 52.7배까지 급성 독성값의 차이를 보여 특정농약에 대한 종간 감수성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여러 농약에 대한 급성독성반응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약제별 독성반응이 매우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D. magna와 국내서식 Daphnia속 2종 물벼룩의 독성반응은 매우 유사하며 비교적 농약에 대한 민감성도 높음을 보여 주었다. Ipodione에 대한 감수성은 국내종인 M. macrocopa가 가장 높아 국제종인 D. magna가 항상 농약에 대한 민감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시험에 사용한 물벼룩중 S. vetulus는 농약에 대한 민감성이 현저히 낮아 표준독성시험을 위한 생물종으로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