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ute toxicity of some pesticides on five Korean native Cladocerans

한국산 물벼룩에 대한 수종 농약의 급성독성

  • Kim, Byung-Seok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 Park, Yoen-K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 Park, Kyung-Hu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 Jeong, Mi-Hy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 You, Are-Su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 Yang, Yu-Ju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 Shin, Jin-Sup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 Kim, Jin-Hwa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RDA) ;
  • Yoon, Seong-Myeong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 Ahn, Young-Joon (Schoo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병석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박연기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박경훈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정미혜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유아선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양유정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신진섭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김진화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윤성명 (조선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 안용준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 acute toxicity of several pesticides on 4 Korean water flea was investigated to develop a new standard species used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Four Korean freshwater cladocerans, Daphnia obtusa, Daphnia sp., Moina macrocopa and Simocepholus vetulus were exposed to five different pesticides during 48 hours to compare their sensitivity with a standard test species, Daphnia magna, endorsed formally by the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synthetic pyrethroid, fenpropathrin was the most toxic pesticide to cladocerans. Diazinon, carbofuran, iprodione and myclobutanil were in the order of their toxicity to cladocerans tested. There was no consistent difference in sensitivity to five pesticides for four Korean cladocerans tested. In conclusion,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 using single species toxicity referred to base set data should not be enough to protect to every species in the field environment.

국내서식 물벼룩종을 이용한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4종의 한국산 물벼룩 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olus vetulus과 국제표준종 Daphnia magna대한 5종 농약에 대한 급성독성반응을 조사하였다. Diazinon의 D. magna, D. obtusa, Daphnia sp., M. macrocopa, S. vetulus에 대한 48시간 $EC_{50}$은 각각 0.81, 1.7, 2.2, 4.5, $23\;{\mu}g\;L^{-1}$였다. Carbofuran의 D. obtusa, Daphnia sp., D. magna, M. macrocopa, S. vetulus에 대한 48시간의 $EC_{50}$은 각각 6, 10, 19, 211, $316\;{\mu}g\;L^{-1}$였다. 가장 민감한 D. obtusa와 가장 둔감한 S. vetulus간의 독성치 차이는 52.7배로 시험에 사용한 5종의 농약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Fenpropathrin은 시험에서 사용한 계통별 농약 5종 중에 가장 높은 독성을 보였는데 D. magna, Daphnia sp., D. obtusa, M. macrocopa, S. vetulus에 대한 48시간 $EC_{50}$은 각각 0.27, 0.56, 0.8, 1.6, $3.4\;{\mu}g\;L^{-1}$이었다. Iprodione은 M. macrocopa에 대한 독성이 가장 강해서 48시간의 $EC_{50}$$0.16\;{\mu}g\;L^{-1}$이었으며 Daphnia sp., S. vetulus, D. magna, D. obtusa의 48시간의 $EC_{50}$은 각각 0.24, 1.18, 1.38, $1.62\;{\mu}g\;L^{-1}$으로 독성이 낮았다. Myclobutanil은 본 시험에서 사용한 계통별 농약 5종 중에 가장 독성이 낮았는데 5종의 물벼룩 중에 D. obtusa가 이 농약에 대하여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48시간 $EC_{50}$$5.4\;{\mu}g\;L^{-1}$이었다. 물벼룩 종간에 1.3배에서 많게는 52.7배까지 급성 독성값의 차이를 보여 특정농약에 대한 종간 감수성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여러 농약에 대한 급성독성반응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약제별 독성반응이 매우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D. magna와 국내서식 Daphnia속 2종 물벼룩의 독성반응은 매우 유사하며 비교적 농약에 대한 민감성도 높음을 보여 주었다. Ipodione에 대한 감수성은 국내종인 M. macrocopa가 가장 높아 국제종인 D. magna가 항상 농약에 대한 민감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시험에 사용한 물벼룩중 S. vetulus는 농약에 대한 민감성이 현저히 낮아 표준독성시험을 위한 생물종으로 활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nkley, G. T., J. R. Dierkes, D. A. Jensen, and G. S. Peterson. 1991. Piperonyl butoxide as a tool in aquatic toxicological research with organophosphate insecticides, Ecotox. Environ. Saf. 21:266-274 https://doi.org/10.1016/0147-6513(91)90065-W
  2. Hamer, M. J., S. J. Maund, and I. R. Hill. 1992. Laboratory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pesticides on water/sediment organisms. Brighton Crop Protection Conference-Pest and Disease. 6A-4:487-496
  3. Mark, U. and J. Solbe (1998) Analysis of the ECETOC AQUATIC TOXICITY(EAT) Database, V-The relevance of Daphnia magna as a representative test species. Chemosphere. 36(1):155-166 https://doi.org/10.1016/S0045-6535(97)10027-3
  4. Mokry, L. E. and K. D. Hoagland. 1990. Acute toxicities of five synthetic pyrethroid insecticides to Daphnia magna and Ceriodaphnia dubia. Environ. Toxcol. Chem. 9:1045-1051 https://doi.org/10.1897/1552-8618(1990)9[1045:ATOFSP]2.0.CO;2
  5. OECD (1984) Daphnia sp., acute immobilization test and reproduction test.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No.202
  6. Posthmna L., Suter II G. W., and Traas T. P. (2002) Species sensitivity distributions in ecotoxicology. Lewis publisher
  7. Sanchez, M, M. D. Ferrando, E. Sancho, and E. Andreu 1999. Assessment of the toxicity of a pesticide with a two-generation reproduction test Daphnia magna. Comp. Biochem. Physi. Part C. 124:247-252
  8. Tomlin, C. 1994. The pesticide manual, 10th ed. Crop Protection Publication
  9. USEPA (1992) OPPTS 850.1010 Aquatic invertebrate acute toxicity test, freshwater Daphnids, Ecological Effects Test Guidelines
  10. 김병석, 박연기, 신진섭, 김진화, 안용준 (2004) 한국산 물벼룩의 먹이조건별 번식영향. 농약과학회지 8(2): 117-128
  11. 김병석, 박연기, 박경훈, 신진섭, 김진화, 안용준 (2005)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한국산 물벼룩의 최적사육온도 구명. 농약과학회지 9(3):221-230
  12. 김병석, 박연기, 박경훈, 김진경, 신진섭, 김진화, 윤성명, 안용준 (2006a)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한국산 물벼룩의 최적사육수 선발. 농약과학회지 10(3):189-195
  13. 김병석, 박연기, 박경훈, 신진섭, 김진화, 윤성명, 안용준 (2006b) 실내사육조건에서 한국산 물벼룩 종간 life cycle 비교. 농약과학회지 10(3):196-200
  14. 김일회 (1988) 한국 담수산 물벼룩류에 대한 검색표. 한국동물분류학회지 특간 제 2호, 43-65
  15. 윤성명 (1993) 한국산 새각류(갑각 상강, 새각 강)의 계통분류 및 분자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