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 soil box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9초

일면전단실험에 의한 수목뿌리의 토양보강효과 평가 (An Evaluation of Tree Roots Effect on Soil Reinforcement by Direct Shear Test)

  • 차두송;오재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81-286
    • /
    • 2005
  • 수목은 뿌리에 의한 토양수분의 제거와 기계적인 보강효과를 통해 토괴가 사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 안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자연사면상에서 이런 보강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 표준사에 다른 형태로 수목의 뿌리를 내재시켜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공시뿌리로서는 잣나무가 이용되었다. 실험은 뿌리가 내재된 것과 그렇지 않은 토양에서 실시하였으며, 여러 수준의 수직구속 압력에서 최대 전단저항력을 측정하였다. 뿌리에 의해 증가된 토양전단저항력은 측정된 토양의 내부마찰각과 점착력 등의 토양변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전단상자내의 뿌리배열에 의한 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전단저항력은 뿌리의 개수와 직경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뿌리의 배열 형태가 십자 배열일 때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을 통해 확인한 전통적인 토양보강 모델과의 비교에서는 기존 모델의 선형성으로 실제 실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구조물 뒷채움재로서의 석탄회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ycling of Coal Ash as Structural Backfill materials)

  • 여유현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4-7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ycle coal ash as structural backfill materials from electric power plants. Two million tons of coal ash are produced annually. The laboratory test was executed for the basic compatibility as substitution for structural backfill materials and the optimal mixture ratio(fly ash : bottom ash) was decided. In addition the model test was performed using medium scale earth pressure model with small size earth pressure cells model box data logger and some other apparatuses. Mixed coal ash and excellent backfill materials(coheisonless soil SW) were compared in the view of lateral earth pressure variation depending on wall displacement. The reduction of earth pressure when coal ash was used as a bockfill material was monitored comparing to that of cohesionless soil. the cost and environmental pollutants by treating coal ash can be reduced through developing the recycling technology.

  • PDF

실시간 유출예측을 위한 선행강우지수별 TF모형의 유도 (Derivation of Transfer Function Models in each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for Real-time Streamflow Forecasting)

  • 남성우;박상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5-122
    • /
    • 1992
  • 실시간 유출예측에서 주로 쓰이는 추계학적 강우-유출 과정모형은 모형구조가 간단하고 상태 공간 모형으로 수식화하기에 용이한 TF모형이다. 이 모형을 이용하여 실시간 유출예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모형구조의 결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특히 예측초기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유역의 초기습윤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5일 선행강우지수를 threshold개념으로 도입하고, 각각의 TF모형을 Box-Jenkins 방법으로 등정하여 비교 검토하여 보았다.

  • PDF

좁은 공간 되메움 지반에서의 상재하 영향에 의한 토압 (The Earth Pressure on the Effect of Surcharge Load at the Narrowly Backfilled Soil)

  • 문창열;이종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6호
    • /
    • pp.165-180
    • /
    • 1997
  • 건물의 지하외벽 또는 암거나 박스 칼버트와 같은 지하구조물은 되메움한 흙의 자중에 의한 하중 이외에 되메움이 완료된 후 주차장을 신설하거나 도로를 건설하면 차량이나 구조물에 의해 표면에 작용하는 점하중, 띠하중, 선하중 등의 외부 하중을 지자하게 된다. 이러한 상재하중에 의한 지중응력은 구조물에 영향을 받아 수평압력 및 연직압력을 증가시킨다. 상재하중에 의해 증가하는 지중응력을 계산하는 방법은 지반이 반무한 탄성체이며 등방성이고 균질하다는 가정하의 Boussinesq(1885)의 탄성론에 의한 지중응력 산정법과 지반은 등향적(imtropic)이고 균질하며 활동선이 Coulomb의 기준에 맞는다라는 가정하에 Krey(1936), Ohde(1952) 등의 소성론에 따른 산정법 및 이를 조합한 Schmitt(1992) 등이 제시한 탄소성론에 의한 산정 법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봉으로 지반을 조성한 후 되메움 공간의 크기가 다른 경우 그 표면에 등분포 띠 하중으로서 상재하중이 작용할 때 증가되는 수평토압의 크기,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수직압력 및 굴착면 하부에 작용하는 연직토압을 측정하여 상재하중과토압의 관계를규명하였다. 또한, Mohr-Coulomb의 지반구성모델을 이용한 유한차분법 (FDM)으로 해석하여 그 결과를 실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

유류오염부지 시범적용을 통한 실외공기 오염물질흡입 노출경로에 대한 부지특이적 노출량 산정 방안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Exposure Assessment Methodology for Outdoor Air Inhalation Pathways in Site-specific Risk Assessment and Its Application in a TPH-contaminated Site)

  • 김상현;정현용;정부윤;노회정;김현구;남경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5권3호
    • /
    • pp.65-73
    • /
    • 2020
  • Exposure assessment methodology for outdoor air inhalation pathways (i.e., inhalation of volatile compounds and fugitive dust in outdoor air) was investigated. Default values of several parameters currently used in Korea (e.g., Q/C; inverse value of concentration per unit flux, and frs; soil fraction in PM10) may not be suitable and lack site-specificity, as they have been adopted from the risk assessment guidance of the United States or the Netherlands. Such limitation can be addressed to a certain degree by incorporating the volatilization factor (VF) and the particulate emission factor (PEF) with Box model. This approach was applied to an exposure assessment of a site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s in Korea.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uggested methodology led to more accurate site-specific exposure assessment for outdoor inhalation pathways. Further work to establish methodology to determine site-specific Q/C values in Korea needs to be done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exposure assessment for outdoor air inhalation pathways.

상재하중 변화에 따른 토목섬유 보강토옹벽의 벽체변위 (Wall Displacement of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Walls with Different Surcharge Loads - Model Test)

  • 이광우;조삼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41-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옹벽 상부에 재하된 상재하중 및 보강재 종류의 변화에 따른 토목섬유 보강토옹벽의 벽체 변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은 높이${\times}$길이${\times}$폭이 $100cm{\times}140cm{\times}100cm$인 모형토조 내에 축조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 축조시 뒤채움흙으로는 통일분류법상 SM으로 분류될 수 있는 화강풍화토를 사용하였고, 보강재로는 인장강도 특성이 다른 3종류의 토목섬유(지오네트 한 종류 및 지오그리드 두 종류)를 사용하여 총 7종류의 모형 보강토옹벽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 보강토옹벽 축조후 상재하중 재하에 따른 벽체 변위를 LVD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토목섬유 보강토옹벽의 최대 수평변위는 벽체 저면에서부터 0.7H지점에서 발생하고, 그 크기는 보강재의 인장강도가 증가할 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재하중이 증가할수록 토목섬유 보강으로 인한 벽체변위의 감소율은 감소하였다.

  • PDF

New horizon of earth reinforcement technique - current and future -

  • Otani, Jun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7년 가을학술발표회
    • /
    • pp.514-527
    • /
    • 2007
  • Earth reinforcement techniques are used worldwide and offer proven solutions to a wide range of geotechnical engineering problems. Here in this paper, recent developments of three major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methods in Japan were introduced in order to show how the current situation of this technique in Japan is. And the statistical data for the volume of the use was also shown, such as the total volume of the use, the scales of the structures, layout of the earth reinforcement, fill materials, and foundation conditions. Some of the case histories were also introduced with photographs and figures. And then, as one of recent research activity by the author,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X-ray CT for the problem of earth reinforcement method combined with other method such as piling and soil improvement was introduced. In this study, a series of model test for several reinforced ground with geogrids was conducted using a newly developed test apparatus. Then, the behavior in the soil box was scanned after settlement using X-ray CT scanner. Based on these test results, the reinforcing effect by the geogrids and the soil arching effect over the pile heads was discussed precisely and those are done in 3-D with nondestructive condition.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X-ray CT scanner in geotechnical engineering was promised.

  • PDF

바이오폴리머 혼합토를 활용한 제방 통문 주위 내부침식 저항성 평가를 위한 모형실험 (Model Experiment for Evaluating Internal Erosion Resistance Around Embankment Box-culvert Using Biopolymer T reated Soil)

  • 김민진;문준호;김찬희;김영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12호
    • /
    • pp.65-70
    • /
    • 2021
  • 우리나라 제방 중 내부침식에 의한 붕괴는 약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내부침식 뿐만 아니라 월류, 제체 불안정 등으로 인한 제방의 붕괴를 사전에 방지하고 최소한의 피해를 위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고, 그 중 하나가 바이오폴리머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바이오폴리머의 적용 분야에는 강도, 식생, 내침식성으로 나뉘며 본 연구에서는 내침식성에 대한 내용을 다룰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제방의 다짐도 및 내부침식 유도로에 따른 붕괴양상을 검토하고 적합한 조건을 선정하여 바이오폴리머 혼합토 제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규모 실험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모형제방의 다짐도를 상, 중, 하로 나누어 각각의 유도로 조건에 따른 침식양상을 검토하여 가장 적합한 실험 조건을 선정하였으며, 바이오폴리머 혼합토 처리 유무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바이오폴리머 혼합토를 적용한 제방에서의 내부침식률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실제 제방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스케일을 축소시킨 모형제방에 바이오폴리머 혼합토를 적용하여 실제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연구하였다. 따라서, 실제 현장적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실규모 제방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호안기초로서 저치환율 모래다짐말뚝 공법의 적용 (Application of sand compaction pile method of row replacement ratio as foundation of the dyke)

  • 진성기;김범형;김종석;임종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472-485
    • /
    • 2008
  • In this study, sand compaction pile method was adopted to improve the soft ground under the permanent dyke, namely west sea dyke of Incheon New Port. The row replacement ratio 30% was applied to consider the ground condition, environmental side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site. The stability and displacement analysis was carried out by respectively SLOPE/W and PLAXIS 2D program.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afety factor and displacement is within an allowable criteria. The model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acryl soil box with $400(H){\times}1200(L){\times}250(W)mm$ to show the displacement of the dyke and behavior of soft ground. Based on this experiment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settlement does not occur from 1 and 2 loading phases and horizontal displacement of 0.0075% occurs from 2 phases. It is also found that the differential settlement occurs 0.05mm corresponding respectively 0.02% and 0.03% of the dyke height(15cm).

  • PDF

철근콘크리트조 박스형 포상의 방호성능 평가 (The Study on Assessment of Protective Capacity of the Reinforced Concrete Box-type Artillery Positions)

  • 백종혁;김석봉;손기영;박영준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75-281
    • /
    • 2014
  • Although self-propelled artilleries are mobile equipment, they need their own covered-positions for survival against preemptive strikes. The most important military requirement is enough protective capacity against blast pressure caused by explosion.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protective capacity of the newly-placed concrete box-type artillery positions using accurate structural geometric models as well as soil-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The commercial program is used to model the structural geometry of the positions. In order to describe the correct wave propagation in the backfill along with soil-structure interaction, used parameters in shock equation of state are selected based on the related studies as well as theories and then their final results are verified with the ones calculated with empirical equations in the US Unified Facility Criteria. In sum,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rotective capacity of the newly-built positions satisfies the protective structural requir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