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del Equation

검색결과 10,152건 처리시간 0.173초

중년여성의 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Influences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of Middle-aged Woman: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Meaning of Life, and Social Support)

  • 서영숙;정추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41-648
    • /
    • 2020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D시와 K시 소재 중년여성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201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8년 3월 4일 부터 30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모형의 적합지수는 RMSEA .03, CFI .98, NFI .95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년여성의 생활 스트레스는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에 직접효과가 확인되었고, 생활 스트레스(β=.05, p< .001), 삶의 의미(β=.05, p< .001), 사회적 지지(β=.05, p< .001)는 우울에 직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생활 스트레스는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우울에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어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가구 소득의 조절효과 (Predictors of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Incomes)

  • 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65-47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혼 가정 한부모의 지각된 사회적 차별 경험, 양육 어려움, 자녀와의 대화시간,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확인하고, 가구 소득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5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자료의 한부모 1,11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양육어려움(${\beta}=.354$), 인터넷 사용문제(${\beta}=.234$)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부모가 지각한 양육 어려움은 자녀와의 대화시간(${\beta}=-.192$),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218$)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beta}=.440$)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는 부모의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199$)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자녀와의 대화시간, 양육 어려움, 인터넷 사용문제를 매개로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beta}=-.167$)가 확인되었다. 셋째, 다집단 분석 결과, 가구 소득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한부모가 차별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사회적 문화 형성과 한부모의 양육 과정에 대한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가 중요하며, 한부모 가정 자녀의 인터넷 과다 사용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 최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09-218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우울이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기존의 개인적 차원 요인 뿐 아니라 사회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위치인 주관적 계층의식에 대해 논의해 봄으로써 노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 삶의 만족도,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 연구패널 5차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4,22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우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노인 우울 역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고 삶의 만족도는 높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은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을 높이고 우울 수준을 낮추거나 예방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주거 지원 정책과 여가활용지원을 통한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고 강화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노인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노년기 수발 경험에 따른 건강 변화 : 사회적 관계망과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Elderly Caregiving and Health : Analysis of the mediate effect of social network and Satisfaction)

  • 이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42-651
    • /
    • 2017
  • 본 연구는 수발 경험에 따른 수발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살펴보고, 수발 경험이 수발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관계망과 만족도가 매개변수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수발 이후 남녀 모두 우울감이 증가하고 주관적 건강상태나 낮아졌다. 사회적 관계망과 만족도 변화 양상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수발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남성의 경우 수발 경험이 우울감에 미치는 총 효과는 1.087(p<.05), 간접효과는 0.546(p<.05)이었으며,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수발 경험은 기능적 가족망의 감소(0.42, p<.01)를 완전매개로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수발 이후 수발자들의 건강 취약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발자의 건강과 이를 매개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어 성별에 따라 그 양상이 따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녀 모두 기능적 가족망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음에도 남성에게서만 기능적 가족망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남성의 기능적 가족망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멸치액젓 및 간장 가공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효소분해간장의 제조 1.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가수분해물 제조조건의 최적화 (Processing of Functional Enzyme-hydrolyzed Sauce from Anchovy Sauce and Soy Sauce Processing By-products 1. Optimization of Hydrolysis Condition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훈;이정석;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53-657
    • /
    • 2002
  • 멸치 액젓 발효잔사 및 간장박을 원료로 하여 기능성 효소분해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Flavourzym 500M $G^{TM}$에 의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를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 이용하여 최적 제조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HR (%) : 28.157+1.929E/S +1.818Time+2.038Temp -1.093Tem $p^2$와 같은 회 귀방정식 모형을 얻었으나 정상점이 안장점을 나타내어 능선분석(반경 1.0)을 수행하였고, 최적조건은 기질에 대한 효소의 농도(E/S)=0.49%, 가수분해 시간(Time)=3.55 hr 및 가수분해 온도(Temp)62.5$^{\circ}C$로 설정되었다 간장박은 멸치액젓 발효관사의 불쾌취와 맛을 masking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수분해물 자체만으로는 제품으로 이용되기에는 관능적 특성이 다소 낮은 상태를 보이고 있었다.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3차원 디지털 모형을 이용한 순,협측 치면 곡률 (Labial and buccal surface contours of Korean normal occlusion in a three-dimensional digital model)

  • 채지현;송진욱;차정열;최정수;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5-103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치아형태에 적합한 브라켓 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임상 치관의 순,협측 곡률을 3차원적으로 계측하여 치관의 곡률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정상적인 해부학적 형태를 가지는 구강모형 30쌍을 3차원 디지털 모델로 제작한 후, FA점을 기준으로 수평 기준면과 수직 기준면을 설정하였다. 이 기준면에 대한 치면의 곡선을 형성한 후, 곡률을 이차방정식의 계수로 표현하였다. 수평면과 수직면의 곡률과 FA점을 기준으로 근심과 원심, 치은측과 교합면측의 곡률을 측정한 결과, 상악견치와 상악 제2소구치 외에는 남녀간 치면 곡률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악 측절치, 상악 견치, 상하악 제1, 2소구치와 제1대구치에서 근원심 또는 치은교합면측 치면 곡률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p < 0.05). 본 연구에서 얻어진 순,협측 치면의 곡률 자료는 한국인의 치아 형태에 적합한 Straight Wire Appliance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지르코니아 코아가 전부도재관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광측색분석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ZIRCONIA CORE ON THE COLOR OF CERAMIC)

  • 배아란;백진;우이형;김형섭;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66-477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 Problem of matching the appearance of porcelain restorations with the patient's natural dentition has always been a concern to dental clinicians. Recently, demands for esthetics, even in restorations requiring strength, has brought a revolution to dentistry and increased use of zirconia. Among the various factors, shade and translucency or the core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overall esthetics of the restoration and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an all-ceramic system.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trophotometrically evalu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zirconia systems and core thickness on the final shade of all-ceramic restorations using the CIEL$^*a^*b^*$ system. Material and Methods: Core specimens (n : 20 per group) of In-Ceram Alumina, In-Ceram Zirconia, Digident CAD/CAM Zirconia, Cercon Zirconia were fabricated 20mm in diameter. 10 specimens of each group were fabricated at core thickness of 0.5mm and 0.7mm. These core specimens were veneered with shade Al & A3 porcelain of the recommended manufacturer. CIEL$^*a^*b^*$ coordinates were recorded for each specimen with a spectrophotometer (Model CM-2600d, Minolta, Japan). Color differences were calculated using the equation ${\Delta}E^*=[({\Delta}L^*)^2+({\Delta}a^*)^2+({\Delta}b^*)^2]^{\frac{1}{2}}$. Results : 1. Specimens of core thickness 0.5mm and 0.7mm did not exhibit clinically perceived color difference. 2. Regarding shade reproducibility, In-Ceram Alumina and In-Ceram Zirconi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each group. 3. Cercon Zirconia group showed the highest $L^*$ value and Digident Zirconia group showed lowest $a^*$ & $b^*$ value. 4. Generally the shade difference between materials was higher in the A3 shade group than in the Al shade group.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re was no color difference after increase in core thickness and every all-ceramic system has color characteristics that clinicians have to consider when selecting materials. Also, manufacturers of different porcelain systems must make every effort to achieve color reproducibility.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시스템이 가맹점 신뢰와 재무적 성과 그리고 다점포 운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Food Service Franchise's Support System on Franchisee's Trust, Financial Performance and Intention of Multi-Store Operation)

  • 김창봉;박원순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5호
    • /
    • pp.87-10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시스템이 가맹점 신뢰와 재무적성과 그리고 가맹사업자의 다점포 운영의도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맹사업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9조를 참고하여 브랜드 가맹점 숫자가 100개 이하인 국내 중소형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자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 결과를 수집하였으며, 가설 검증에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맹본부의 지원시스템 중 점포개발지원, 교육지원, 물류지원, 슈퍼바이저지원은 가맹점 신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홍보지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맹본부 지원시스템 중 점포개발지원은 가맹점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육지원, 물류지원, 슈퍼바이저지원, 홍보지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맹점 신뢰는 재무적 성과와 다점포 운영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맹점의 재무적성과는 다점포 운영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다점포 운영의도 영향에서 재무적 성과의 매개 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형 외식 프랜차이즈 지원시스템, 가맹점 신뢰, 재무적성과, 다점포 운영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확인 하였으며, 특히 국내 중소형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성과와 가맹본부의 시스템의 질적 성장을 통해 동반성장 할 수 있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직선도 개선을 위한 엔드밀링머시인 의 적응제어 (Adaptive Control of End Milling Machine to Improve Machining Straightness)

  • 김종선;정성종;이종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590-597
    • /
    • 1985
  • 본 논문에서는 위치오차는 가공전 밀링베드를 수치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가공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여 수치제어 장치인 스텝모우터의 분해능 한계 내에서 보정 하고 또한 공구휨에 상당하는 만큼 이 송속도를 더함으로써 제어하며, 파형오차는 이 송속도와 공구처짐 사이의 관계를 수정된 Taylor의 공구식으로 모형화하고 절삭공정중 이송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공구의 휨양을 제어함으로써 스텝모우터를 갖는 밀링머시 인에서 길이 508mm,두께 20mm의 두꺼운 철판을 평면절삭하는 경우 직진도오차를 최소 로 하는 GAC 방법을 개발하였다.측정은 밀링머시인 자체의 구조적, 동적변화나 절삭 조건의 변화, 공구의 재질 및 마멸상태의 변화, 공작물의 재질 변화등에 적응할 수 있 도록 Fig. 2에 보인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100개의 위치에서 가공후(post-pro- cess)측정을 통하여 취하였고, 절삭계수의 추정은 측정점을 각각 10개씩 10개의 구간 으로 묶어 각 구간에서의 계의 특성이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서 계수를 지수가중 반복최소 자승(exponentially weighted recursive least squares, EWRLS)법을 이용하 여 추정하였고, 실제 절삭작업중 모델의 계수변화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이도 이들 계 수들을 보정시킴으로써 최적의 직진도를 얻을 수 있는 절삭조건을 제시하였다. 그리 고 이 방법의 도입으로 단일(SINGLE-PASS)밀링작업이 가능함을 보였고 또한 방법의 타 당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여러 경우의 절삭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국지홍수 심도예측을 위한 새로운 홍수지수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Flood Index for Local Flood Severity Predictions)

  • 조덕준;손인욱;최현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1호
    • /
    • pp.47-58
    • /
    • 2013
  • 최근 들어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양상에 따라 짧은 시간에 큰 유출양상을 보이는 국지적 돌발성 홍수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규모 지역의 집중된 강우로 발생하는 국지적 돌발성 홍수는 빠른 수문반응으로 인하여 홍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예 경보 시간이 부족한 것이 특징이다. 국지 홍수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한계유량을 초과하여 제내지의 피해발생 가능성이 있는 홍수사상에 대한 심도예측이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소규모 유역에서 발생하는 홍수사상의 심각성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홍수지수(New Flood Index)를 개발하고 새로운 홍수지수와 강우특성과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국지 돌발홍수예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2개의 시범유역들에 대한 홍수유출수문곡선은 장기간 관측된 연최대치계열 실측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유출 모형을 통하여 산정하였다. 새로운 홍수지수 NFI는 2년 빈도 홍수량으로 가정된 한계유량을 초과하는 홍수사상에 대하여, 첨두홍수량비, 상승부경사, 초과홍수지속시간 등 홍수 유출수문곡선의 특성을 이용한 3가지 상대심도계수의 기하학적 평균값으로산정하였다. 분석결과 3시간최대강우가 새로운 홍수지수NFI와 가장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홍수지수와 강우특성과의 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최적 관계식은 소규모 미계측 유역에서의 국지적 홍수 심도예측을 위한 예비정보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