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Router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7초

액티브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코드 보안서비스 제공에 관한 연구 (Study of Mobile Code Security Service in Active Network Environment)

  • 한인성;김진묵;유황빈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2004년도 제1회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9-34
    • /
    • 2004
  • 인터넷 사용자들의 수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서비스의 종료도 다양해 졌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들의 다양한 서비스의 요구를 수용하기위해 기존의 패시브 네트워크는 오랜 기간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만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의 지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ARPA를 중심으로 라우터나 스위치가 프로그램 실행 능력을 갖고 있어 사용자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크인 액티브 네트워크 구조가 제안 되었다. 하지만, 액티브 네트워크 구조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이동코드를 사용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를 해결할 수 있는 반면, 기존의 패시브 네트워크보다 훨씬 더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보안상의 위협과 공격이 휠씬 쉽고 다양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기관 및 과학자들이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액티브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편의성과 응통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이동코드에 대해 보안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고, 이에 대한 제안으로 ANASP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적합한 단말 특성 기반 저전력형 IP 페이징 기법 (Terminal Characteristics-Based IP Paging Strategy with Low Power Consumpt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서봉수;최진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10호
    • /
    • pp.29-36
    • /
    • 2007
  • 무선 IP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IP 페이징 기법은 페이징 영역내의 라우터를 이동하는 idle 상태의 이동단말이 등록을 수행하지 않아 등록 메시지와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최근 IP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와 구현이 활발한 시점에서 IP 페이징 기법을 이러한 환경에 바로 적용할 경우 지속적인 페이징 신호 수신 시도로 인하여 이동단말이 전력을 과도하게 소비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센서 네트워크와 이동단말의 특징을 이용한 가변적 페이징 주기에 근거한 동기화된 간헐적 페이징 수신 기법을 제안한다. 수학적 분석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에서 이동성과 페이징 영역 내의 라우터의 개수가 감소할수록 단말의 전력 소모가 현저히 감소함을 보여준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에 사용된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기존의 연속적 페이징 수신 기법으로의 전환은 물론 이동단말의 전력 소비 정보 및 간헐적 페이징 수신 기법으로 인한 지연 등을 조정할 수 있어 IP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Mobile IP에서 멀티캐스트 트리 확장 방법 ((A Multicast Tree Extension Scheme in Mobile IP))

  • Kim, Byung-Soon;Han, Ki-Jun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3호
    • /
    • pp.307-315
    • /
    • 2003
  • 이 논문은 IP 기반의 무선망에서 멀티캐스트를 위한 멀티캐스트 트리 확장(MTE) 방법을 제안한다. 그룹의 수신자가 방문한 외부망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고자 할 때, 만일 그 외부망이 멀티캐스트 라우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멀티캐스트 서비스는 중단될 것이다. 따라서 멀티캐스트 패킷의 중단을 피하기 위해서 우리의 방법은 만일 이동 노드가 멀티캐스트 능력을 갖는 외부망으로부터 멀티캐스트 능력이 없는 외부망으로 이동하면, 이전의 외부 에이전트와 새로운 외부 에이전트사이에 양방향 터널을 만든다 따라서 이동 노드는 이전의 외부 에이전트로부터 터널을 통해 멀티캐스트 패킷을 계속해서 수신한다. 우리의 방법은 이동노드가 멀티캐스트 능력이 없는 외부망으로 이동하더라도 그룹 멤버쉽에 대한 긴 터널에 따른 지연과 멀티캐스트 서비스 중단을 피한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멀티캐스트 패킷 배달, 터널링 그리고 핸드오프 지연에 대해 기존의 방법보다 더 낮은 비용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인다.

멀티 터널링을 이용한 고속 차량에서 QoS 보장 IP 이동성 관리 방법 (QoS-Guaranteed IP Mobility Management For Fast Moving Vehicles Using Multiple Tunnels)

  • 천승만;나재욱;박종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11호
    • /
    • pp.44-5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진 고속 차량의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QoS (Quality of Service) 보장하는 IP 이동성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차량에 탑재된 이동 게이트웨이의 측정 데이터 전송 속도가 사용자가 정의해 놓은 요구 데이터 전송 속도 (Data Transfer Rate)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이용 가능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새로운 무선 연결을 생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동 게이트웨이가 움직이는 동안에 요구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보장하기 위해 다중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이동 게이트웨이와 무선 접속 라우터 간에 동적으로 병렬 분산 패킷 터널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핸드오버 동작 중에 유발될 수 있는 지연시간 및 패킷 손실을 줄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 데이터 전송 속도를 유지함으로써 QoS를 보장 할 수 있게 된다. 제안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 IETF 표준인 Hierarchical Mobile IPv6 (HMIPv6)의 구조를 확장하였고, HMIPv6의 확장을 위한 상세한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능분석을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제안된 메커니즘은 핸드오버 하는 동안에 핸드오버 지연시간, 패킷 손실, 패킷 처리율에 대해 QoS를 보장함을 증명하였다.

혼합형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위한 AODV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AODV for Hybrid Wireless Mesh Networks)

  • 김호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943-953
    • /
    • 2013
  • 이동 노드의 증가와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서비스 요구의 다양화로 무선 메시 네트워크(WMN)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WMN를 실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개선이 주요 해결 과제이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다중 홉라우팅과 노드가 호스트와 라우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관점에서 WMN은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MANET)와 유사하여 MANET의 라우팅 프로토콜의 사용을 통해 쉽게 구축이 가능하다. 하지만 MANET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대부분이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면 전송 오버헤드나 지연시간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WMN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의 확장에 있어 성능저하의 원인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AODV를 계층형으로 개선하여 혼합형 WMN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도메인 기반 AODV에 대하여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AODV의 요구형 경로 결정을 도메인 단위로 구분 수행함으로써 종단 간 수행되는 평균 경로 결정 거리를 줄여 네트워크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한다. 제안된 방안의 시뮬레이션 결과 AODV에 비하여 네트워크의 확장에 대한 지연시간의 증가가 완만하였다.

계층적 이동 IPv6 네트워크에서 FRSVP를 이용한 QoS 보증 방안 (A QoS Guaranteed Mechanism Using the FRSVP in the Hierarchical Mobile IPv6)

  • 김보균;홍충선;이대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3호
    • /
    • pp.419-428
    • /
    • 2005
  • 본 논문은 계층적 이동 IPv6 네트워크 환경에서 MN의 이동을 지역내와 지역간으로 구분하여 자원예약 경로에 대한 빠른 자원예약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다. 제안 알고리즘에서 MN은 계층적 이동 IPv6 환경에서 셀 영역이 겹쳐지는 영역으로 이동하였을 때 이동에 예측되는 셀의 L2 비콘 신호를 얻을 수 있다고 가정하고 이 신호를 이용하여 사전예약을 수행한다. 지역내 이동은 가장 가까운 공통 경로의 라우터를 통한 사전예약을 하고, 지역간 이동은 이동할 영역의 MAP의 QA(QoS Agent)를 통하여 해당 AR로의 사전예약을 수행하며, CN과의 예약 경로 최적화를 통한 자원예약을 수행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이를 통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예약 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대역폭의 효율적인 사용과 데이터 전송시 서비스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LINUX 기반 WAP 게이트웨이/서버 통합구조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AP Gateway/server Integration Structure based on Linux)

  • 송병권;오태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2호
    • /
    • pp.209-216
    • /
    • 2003
  • 최근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가장 유력한 국제표준 중 하나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의 규격에 따르면 이동 단말과 WAP 서버는 WAP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되어있다. 본 논문은 리눅스 기반에서 WAP 게이트웨이와 서버가 통합적으로 지원되는 I(Intelligent) WAP 게이트웨이/서버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WAP 플랫폼은 WAP 게이트웨이, JAVA기반의 서버 개발 환경, WML 툴킷 및 MUI(Management User Interface) 등 크게 4개의 모듈로 구성되고, 베어러(bearer)망으로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와 CSD(Circuit Switched Data) 라우터를 고려하였다.

Secure-FMIPv6: ID 기반 암호시스템에 기반한 안전한 Fast 핸드오버 연구 (Secure-FMIPv6: A Study on Secure Fast Handover based on ID-based Cryptosystem)

  • 이우찬;정수진;이종혁;한영주;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05-908
    • /
    • 2006
  • MIPv6 는 MN(Mobile Node)가 자신의 홈 네트워크를 벗어나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하여도 다른 노드들과 끊김 없이 지속적인 통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MN 은 외부네트워크로 이동 후 HA(Home Agent) 및 CN(Correspondent Node)로 핸드오버(Handover) 동작의 수행하며 이로 인한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지연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Fast 핸드오버가 등장하였다. Fast 핸드오버 과정에서 MN 은 이동하려는 서브넷의 라우터(New Access Router: NAR)로의 전환을 위하여 현재 연결된 AR 과 미리 정보를 주고 받게 되고, 이동이 발생한 후에 NAR 과의 핸드오버 지연시간이 감소하게 된다. 반면 공격자가 flooding 을 통해 MN 에게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을 가하여 MN 을 다운시킨 후, MN 으로 위장하여 데이터를 가로채는 취약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핸드오버 과정에서 주고받는 메세지에 대한 기밀성 및 노드 인증을 제공하는 ID 기반 암호시스템에 기반한 안전한 Fast 핸드오버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메시지의 암호화와 노드 인증을 통해 무결성 및 기밀성을 보장하고 Traditional PKI 시스템에 비해 공개키 인증시간을 단축하는 이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nverting Interfaces on Application-specific Network-on-chip

  • Han, Kyuseung;Lee, Jae-Jin;Lee, Woojoo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505-513
    • /
    • 2017
  • As mobile systems are performing various functionality in the IoT (Internet of Things) era, network-on-chip (NoC) plays a pivotal role to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ns and in the future potentially hundreds of interacting modules in system-on-chips (SoCs). Owing to intensive research efforts more than a decade, NoCs are now widely adopted in various SoC designs. Especially, studies on application-specific NoCs (ASNoCs) that consider the heterogeneous nature of modern SoCs contribute a significant share to use of NoCs in actual SoCs, i.e., ASNoC connects non-uniform processing units, memory, and other intellectual properties (IPs) using flexible router positions and communication paths. Although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e prior works on ASNoC synthesis and optimization, little research has addressed the issues how to convert different protocols and data widths to make a NoC compatible with various IPs. Thus, in this paper, we address important issues on ASNoC implementation to support and convert multiple interfaces. Based on the in-depth discussions, we finally introduce our FPGA-proven full-custom ASNoC.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RTLS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of RTLS Algorithm using Wireless Network Technology)

  • 김동옥;정호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5-16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기존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은 실내 환경의 빈번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실내 환경의 NLOS 특성으로 인하여 이동 객체의 정확한 위치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앞으로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수 요소인 실내 이동 객체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이동 객체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킨 환경 적응형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