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Device Application

검색결과 562건 처리시간 0.032초

Xscale 기반의 Mobile Device를 활용한 모터 제어 (Application of Xscale-Based Mobile Device to Motor Control)

  • 한철완;김갑일;손영익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717-719
    • /
    • 2004
  • Currently mobile devices change rapidly our life and they have considerable influences over many parts of our society. If the mobile device is applied to a control system, the usability of the control system is increased with its convenient accessibility and mobility. This paper realizes a motor control system by using a mobile device. The device uses Intel Xscale PXA-250 in which Widows CE is ported. The device is very popular at the applications of mobile devices. Also we consider its application to a mobile robot such as home service robot.

  • PDF

모바일 디바이스 시뮬레이터용 이벤트 분석 및 배열 기능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vent Analysis/Arrange Function for Mobile Device Simulator)

  • 이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429-1434
    • /
    • 2010
  •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용 시뮬레이터에서는 이벤트 발생 순서에 따라 로그 파일에 저장된 이벤트를 다시 단말의 응용 SW로 주입하여 자동적으로 응용 SW를 시험하게 된다. 그러나 동일한 이벤트라도 추출 계층에 따라 모바일 단말용 시뮬레이터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응용이 동시에 수행하는 환경에서는 응용에서 추출된 이벤트들의 순서가 시스템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응용들을 동일한 순서로 수행하더라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이벤트의 발생순서가 변경되어 어떤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하고, 어떤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응용 SW 오류는 디버깅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응용 및 커널/미들웨어 계층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분석하여, 이들 이벤트들을 재편집함으로써 다양한 응용의 실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이벤트들이 응용, 커널 및 미들웨어 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벤트 배열/편집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Optimal Design of Trench Power MOSFET for Mobile Application

  • Kang, Ey Goo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8권4호
    • /
    • pp.195-198
    • /
    • 2017
  • This research analyze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n 80 V optimal trench power MOSFET (metal oxide field effect transistor) for mobile applications. The power MOSFET is a fast switching device in fields with low voltage(<100 V) such as mobile application. Moreover, the power MOSFET is a major carrier device that is not minor carrier accumulation when the device is turned off. We performed process and device simulation using TCAD tools such as MEDICI and TSUPREM.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trench gate power MOSFET such as breakdown voltage and on resistanc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power MOSFET. Consequently, we obtained breakdown voltage of 100 V and low on resistance of $130m{\Omega}$. The proposed power MOSFET will be used as a switch in batteries of mobile phones and note books.

모바일 결제의 신뢰성 향상 방안 (A Reliability Enhancement Technique of Mobile Payment)

  • 김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19-325
    • /
    • 2016
  • 핀테크의 활성화로 모바일 결제를 위한 다양한 기반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각종 결제 방식이 개발되고, 결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증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 시, 전화번호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지므로 누출 가능성이 있어 보안이 취약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화번호 기반의 인증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고유한 식별자인 디바이스 ID를 활용하여 인증 과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핵심 연구 내용은 모바일 디바이스 ID를 기반으로 모바일 결제 인증을 위한 아키텍쳐와 인증 프로세스이다. 모바일 결제 아키텍쳐는 모바일 디바이스, 인증 서비스, 그리고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ID와 전화번호로 구성하며, 인증 서버는 인증 모듈과 암호화 모듈로 구성된다.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사전 인증 모듈과 복호화 모듈로 구성된다.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프로세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인증 서버, 그리고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 간에 암호화된 인증 정보(디바이스 ID, 전화번호, 인증 번호)에 의해 처리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화번호와 디바이스 ID를 인증 서버로 전달하며, 인증 서버는 인증 과정과 암호화 과정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한다. 모바일 결제 어플리케이션은 전달받은 인증 번호에 대해 복호화를 통해 사전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본 논문의 인증 서버의 인증 과정과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사전 인증 과정을 통해 기존 결제 서비스의 인증 번호 누출에 의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차별성을 제공할 것이다.

The Advantages of M-Learning Using The Combination of Digital Content and Mobile Device In Education Field

  • 마르쿠스 산토스;이병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23-126
    • /
    • 2012
  • In general, there are 3 subjects of discussion in education field; namely past, present and future. Related with those facts, there is several information or knowledge that relatively hard to be presented in the real world. In this matter, digital content shows its contribution especially in the education field. Digital content can virtually represent the information or knowledge that seems to be difficult to be visualized in the real world before. In this project, researcher develops a mobile device's application that consist the skeleton's 3D virtual content. This application is expected to solve the above explained problem that usually appears during learning human skeleton in senior high-school's biology class. Besides, the application of digital content will make the learning process become easier because the student will have a visual learning tool. Last, the mobile device that is used in this prototype has offer an important beneficial namely mobility beneficial,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content anytime and anywhere.

  • PDF

이기종 모바일 플랫폼에 애플리케이션 이식성 평가 기법 (Portability Evaluation Technique of Application for Heterogeneous Mobile Platform)

  • 박해윤;유해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8D권2호
    • /
    • pp.123-132
    • /
    • 2011
  •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폰의 유행에 힘입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에 품질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플랫폼이나 모바일폰의 제약사항에 따라 플랫폼이나 디바이스 장치 간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다른 플랫폼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재사용하기 위해서 해당 플랫폼이나 모바일폰의 제약사항에 따라 다시 개발해야하는 제약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타 플랫폼에서 재사용하기 위해, 이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기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이식의 편이를 확인할 수 있는 이식성 품질 평가 기법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제안한 이식성의 편이를 나타내는 이식성 점수를 확인함으로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타 플랫폼에 이식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재개발 가능 여부와 노력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설계부터 고려한다면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에 좀 더 쉽게 이식할 수 있는 품질 좋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의 Mobile Device Platform 기반 영상콘텐츠 Application 연구 (A Study on Video Content Application Based on Mobile Device Platform in China)

  • 스위;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433-438
    • /
    • 2019
  • 본 논문은 중국의 Mobil Device Platform 기반 영상콘텐츠 Application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2019년 현재 중국의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와 앱 사용자는 전체 인구의 78%를 기록하였다. 독자적으로 Mobil Device Platform을 개발하여 영상콘텐츠 Applicatio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현재까지 동영상 앱 사용자 수가 6억 4천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이중 65%의 사용자는 두 개 이상의 영상콘텐츠 앱을 설치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TikTok, Kuai Shou, MeiPai 등 영상콘텐츠 앱은 조작이 간편한 User Interface와 사용자가 손쉽게 영상콘텐츠를 직접 제작 가능하도록 촬영, 편집, 특수효과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10대, 20대, 30대 뿐만 아니라 40대 이상의 사용자까지도 끌어들이고 있다. 영상콘텐츠 제작기능 제공은 미국의 유명 동영상 플랫폼 You Tube와는 다른 차별화 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동영상 플랫폼 시장에서 핵심 경쟁력은 콘텐츠 창작에 달려있다. VR, AR 등의 영상공학을 융합한 영상콘텐츠는 동영상 플랫폼 시장을 더욱 활성화 시킬 전망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모바일 BIM 애플리케이션 적용성 분석 (Analysis of Applying the Mobile BIM Application based on Cloud Computing)

  • 전진우;이상헌;엄신조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342-352
    • /
    • 2012
  • As a futuristic construction model, building information model (BIM) based project management system (PMIS) and mobile BIM simulator apps have been showing visible sign. However, researches on the BIM based 3D simulator using mobile device are hard to find result from limitation of mobile device (slow speed at huge 3D file, display size, and etc.) and undefined standard of business process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studying application of mobile BIM apps based on cloud computing. Total 8 BIM cloud app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he 5 application feasibility characteristics (speed, view, inquiry, markup, and usability). This research would be essential phase to construct BIM based mobile project management system using cloud computing in the future.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기반한 이동로봇의 터치기반 원격제어 (Touch-based Remote Control of Mobile Robot based on Embedded Device)

  • 노준호;황유건;서용호;양태규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62-67
    • /
    • 2011
  • Embedded device that can support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has been popular recently.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robot application based on embedded device to control a mobile robot using a touch-based remote interface with information display of robot trajectory and sensors. We developed the robot application using Microsoft's.Net Compact Framework and Zigbee data communication with Windows CE kernel based embedded device. In experiment,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by showing a remote robot control using touch interface and a information display of the robot.

  • PDF

Mobile Device를 위한 3D GUI Tool Frame 개발 및 적용 (The Application and Developement of 3D GUI Tool Frame for the Mobile Devices)

  • 송영한;이경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5-64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휴대형 단말기기의 플랫폼 친화적이며 컨텐츠 개발의 신속성, 확장성 및 용이성이 고려된 3D 컨텐츠 플랫폼 엔진과 Application Frame 기술을 Convergence하였으며, Mobile Device에 탑재 가능한 3D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시제품을 제작 및 응용하고, Mobile Game 등 컨텐츠의 개발을 효과적으로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는데 필요한 3D GUI 객체(widget) 및 툴킷을 포함하는 Frame을 표준화 하는데 기본이 되는 연구를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