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 isotop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4초

Kinetics and Mechanism of the Aminolysis of Benzenesulfonyl, Benzoyl and Benzyl Halides

  • Byung Choon Lee;Dong Sook Sohn;Ji Hyun Yoon;Sun Mo Yang;Ikchoon L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4권5호
    • /
    • pp.621-625
    • /
    • 1993
  • Kinetic studies are conducted for the reactions of Y-benzoyl, Y-benzenesulfonyl and Y-benzyl halides with X-anilines in acetonitrile, and the transition state (TS) structures and their variations with substituents X and Y are discussed. The magnitude of the cross-interaction constants, $\rho$xy, is the largest and the inverse secondary kinetic isotope effect (SKIE), $k_H/k_D$ < 1.0, with deuterated aniline nucleophiles is the smallest for benzoyl fluoride reflecting the tightest TS for this compound. The SKIEs for sulfonyl halides are relatively large due to a relatively large, diffuse nature of the reaction center, S, causing weaker steric hindrance to the vibrations of the two N-H(D) bonds. For benzoyl and sulfonyl halides, the trends in $k_H/k_D$ and $Ir_XI$ variations with $\sigma$Y contradict each other, which is rationalized by the negative charge accumulation on the reaction center, CO and SO$_2$, causing inefficient transfer for the substrate with an electron donating substituent.

요소와 돈분퇴비 시용에 따른 포트 재배 옥수수의 질소동위원소 자연존재비 차이 (Natural 15N Abundances of Corn Treated with Urea and Composted Pig Manure in a Pot Experiment)

  • 최우정;이상모;김경철;김판건;류지혁;류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4-291
    • /
    • 2001
  •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 시용에 따른 작물체의 질소동위원소비 (${\delta}^{15}N$) 차이 유무를 조사하기 위해 포트 조건에서 돈분 퇴비 (+13.9‰) 와 요소(-2.3‰) 를 시용하여 70일간 재배한 옥수수의 뿌리, 줄기, 잎, 알곡에 대한 ${\delta}^{15}N$ 값을 분석하였고, 동위원소 질량수지 방정식을 이용하여 옥수수 전부위에 대한 ${\delta}^{15}N$ 값을 계산하였다. 옥수수의 ${\delta}^{15}N$값은 토양 질소의 영향과 질소의 형태변환과정에 수반되는 동위원소분할효과에 의해 시용한 퇴비와 요소의 ${\delta}^{15}N$ 값과 차이를 보였다. 옥수수 전부위, 뿌리 및 줄기의 ${\delta}^{15}N$ 값은 요소와 퇴비 시용에 따른 유의성 있는 차이 (p<0.05)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잎과 알곡의 ${\delta}^{15}N$ 값은 각각 퇴비 처리구(+14.3‰, +16.2‰) > 무처리구(+13.2‰, +13.9‰) > 요소-퇴비 혼합처리구(+10.1‰, +12.6‰) 요소 처리구 (+10.1‰, +12.4‰)의 순서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용 질소원의 종류(퇴비 또는 화학비료)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작물의 잎 또는 알곡의 ${\delta}^{15}N$ 값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보다 일반적인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토양과 작물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낙동강 하구 갯벌 퇴적물에서 강을 통한 질산염 유입에 따른 질소순환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Nitrogen Loads and Nitrogen Cycling at Tidal Flat Sediments in Nakdong River Estuary)

  • 이지영;권지남;안순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120-129
    • /
    • 2012
  •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갯벌 퇴적물에서 2005년 7월부터 2006년 9월까지 퇴적물-수층을 통한 산소와 용존 무기질소 플럭스, 그리고 탈질소화율을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현장 조건 수온에서 퇴적물 배양을 통해 측정된 산소 플럭스의 범위는 $-37.0{\sim}0.5mmol\;O_2\;m^{-2}\;d^{-1}$이었고, 수온이 증가할수록 퇴적물에 의한 산소소모가 많아져, 수층에서 퇴적물로의 산소 플럭스가 증가하였다. 탈질소화율은 $4{\sim}2732{\mu}mol\;N\;m^{-2}\;d^{-1}$의 범위로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국내 연안의 결과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고 산소 플럭스와 유사한 계절변화를 보였다. 질소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측정된 탈질 소화율은 수층에서 퇴적물로 유입되는 질산염 플럭스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Isotope pairing technique에서 계산되는, 총 탈질소화 중 "수층에서 유입된 질산염을 이용하는 탈질소화($D_w$)"도 수층에서 유입되는 질산염 플럭스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여 수층에서 유입되는 질산염이 탈질소화의 계절변동의 원인임을 시사하였다. 여름철에 질산염농도가 높은 담수의 유입 증가가 낙동강 하구 퇴적물로의 질산염 유입과 탈질소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낙동강 하구 퇴적물에서 생지화학적 과정의 일반적인 패턴 및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측정된 여러 생지화학적 플럭스를 방향과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보았다. 그 결과, 수온과 질산염 유입 변화에 따라서 여름철에는 수층에서 퇴적물로의 산소와 질산염 플럭스가 높게 나타나고 탈질소화도 높은 반면, 여름철을 제외한 나머지 시기에는 이들 플럭스가 낮아, 갯벌 퇴적물의 생지화학적 과정이 낙동강 담수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LC/ESI-MS를 이용한 아미트롤의 정성확인 및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fication of Amitrole Using LC/ESI-MS)

  • 박찬구;어수미;김민영;손종열;모세영
    • 분석과학
    • /
    • 제17권2호
    • /
    • pp.117-12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극성이 높고, 휘발성이 낮아 GC나 GC/MS로 분석이 곤란한 환경매체 중의 아미트롤을 LC/ESI/M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분자량이 84인 아미트롤은 LC/ESI/MS 방식에서는 m/z 85인$(M+H)^+$형태로 나타났으며, 피크강도는 30V에서 (SIR mode) 최대를 나타내었다. 질량 스펙트럼 비를 정성확인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아미트롤은 m/z 85 와 m/z 58 이온으로 나타났으며, 50V에서 이 비는 1 : 7.03~7.58 로 나타났다. 동위원소 비를 이용한 정성확인은 isotope MS나 HR/MS가 주로 사용되나, 본 연구에서는 정성확인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이용하고자 실험한 결과 아미트롤의 동위원소는 $86([M+H])^+$ 형태로 나타났으며, 시료에서(30V) m/z 85와 m/z 86의 질량 스펙트럼 비는 27.1~28.6 : 1(이론적 비 26.6 : 1)로 나타났다. 단계별 표준액을 시료의 전 처리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분석한 검량선의 직선성은 $y=1.09354e^6X+26947.2$이었으며, $r^2=0.99$로 나타났다. 분석의 정도관리를 위한 회수율검정과 반복 재현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수질시료의 회수율은 77.64~83.44%, 토양시료에서는71.11~79.44%로 나타났으며, 각 농도 단계별 반복(5회)실험결과 상대표준편차 값은 10%이하를 나타내었다.

동해 독도 사면 퇴적물의 높은 재광물화와 탈질소화 (High Remineralization and Denitrification Activity in the Shelf Sediments of Dok Island, East Sea)

  • 정진현;김동선;이태희;안순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2호
    • /
    • pp.80-89
    • /
    • 2009
  • 동해의 독도 사면 지역에서 퇴적물 선상 배양과 $^{15}N$ isotope pairing technique를 이용하여 측정한 퇴적물 산소요구량과 탈질소화율은 각각 $1.04{\sim}9.08\;mmol\;m^{-2}\;d^{-1}$$7.06{\sim}37.67\;{\mu}mol\;m^{-2}\;d^{-1}$로 유사한 수심의 다른 심해 지역에 비해 모두 높게 측정되었다. 퇴적물 산소요구량과 탈질소화율은 퇴적물 내 유기 탄소 함량이 높은 정점에서 높았으며, 표층 퇴적물 내 유기물 함량은 질산화에 의해 생성된 질산염을 이용하는 탈질소화(coupled nitrification-denitrification)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본 조사 지역의 퇴적물 산소요구량뿐만 아니라 탈질소화율 역시 표층 퇴적물 내 유기물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을 시사한다. 독도 사면 지역의 표층 퇴적물 내 유기 탄소 함량은 $1.8{\sim}2.4%$로 다른 심해 지역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높은 일차생산량에 의해 내보내기 생산이 높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독도 사면 지역에서 표층 퇴적물 내 유기물 농도는 일차생산에 의한 내보내기 생산에 의해 조절되며, 내보내기 생산이 퇴적물에서 일어나는 퇴적물 산소요구량과 탈질소화율 같은 유기물 분해율의 가장 큰 조절 요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대전서남지대(大田西南地帶)에 있어서의 옥천대(沃川帶) 우라늄광상(鑛床)에 대(對)한 광물학적(鑛物學的) 및 지화학적(地化學的) 연구(硏究)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of Uranium Deposits of the Okchon Group in Southwestern District off Taejon, Korea)

  • 윤석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17권4호
    • /
    • pp.289-298
    • /
    • 1984
  • Uraniferous black slates of the Okchon sequence occur in Koesan (northeast) through Miwon-Boun (middle) to the southwest off Taejon (southwest) within the Okchon fold belt. The Uraniferous balck slates in the southwest off Taejon are particularly well developed in Chubu (northeast) and Moksso-ri (middle) areas whereas they are less developed in Jinsan (southwest) area. The uraniferous beds range from less than a meter to 40 meters in thickness and range from less than 0.02% $U_3O_8$ (cut-off-grade) to 0.05% $U_3O_8$ in the southwestern district off Taejon. Electron microprobe analysis of uranium-minerals found in graphitic slate samples enables to estimate their major compositions semi-quantitatively so that uraninite, ferro-uranophane and chlopinite are tentatively identified. Uranium-mineral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carbon and metal sulfides. Correlation analysis of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revealed that U and F.C., and U and Mo are lineary correlative respectively and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positively high whereas those of U and V, U and Mn, and U and Zr are negatively low, implying that uranium mineralization has been closely related with concentrations of carbon and molybdenum. Stable isotope analyses of pyrite sulfur range widely from +11.5% to -23.3% in ${\delta}^{34}S$ values whereas those of graphite carbon fall within a narrow range between -23.3% and -28.9% in ${\delta}^{13}C$ values. The wide range of ${\delta}^{34}S$ values suggests that the sulfur could be of meteoric origin rather than of igneous source. The narrow range of ${\delta}^{13}C$ values, which are close to those of coal, indicates that the graphite is organic carbon in origi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uranium mineralization in the Okchon sequence took place primarily in sedimentary environment rich in organic matter and sulfide ion, both of which served as the reducing agents to convert soluble uranyl complex to insoluble uranium dioxide.

  • PDF

레이저 이온화 이온트랩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금속 및 세라믹 시료의 원소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elemental analysis of metal and ceramic samples by using laser ablation ion trap mass spectrometry(LAITMS))

  • 송규석;박현국;차형기;이상천
    • 분석과학
    • /
    • 제15권1호
    • /
    • pp.7-1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애블레이션 이온 트랩 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금속 및 세라믹 시료들에 대한 원소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때 이온화 장치로는 XeCI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였고 검출장치로서 이온트랩 질량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시료는 트랩의 바깥에 장착하여 시료의 교환이 매우 쉽도록 하였고 고체시료의 분석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임을 밝혔다. 헬륨기체의 압력이나 이온저장시간, 초기질량제한 RF 전압 등에 대한 기초 실험을 통하여 실험의 최적 조건을 구하였고 (헬륨 기체압력 $1{\times}10^{-4}$ Torr 이온 저장시간 100 ms 초기 질량 제한전압 $1150V_{p-p}$), 이 결과를 토대로 금속시료(구리, 몰리브데늄)와 세라믹 시료(알루미나 세라믹, 지르코니아 세라믹) 들에 대한 원소분석을 수행하였다.

The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rapeutic 67Cu radioisotope in nuclear medicine

  • Kim, Gye-Hong;Lee, Kyo Chul;Park, Ji-Ae;An, Gwang-Il;Lim, Sang Mo;Kim, Jung Young;Kim, Byung Il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3-30
    • /
    • 2015
  • Radioisotopes emitting low-range highly ionizing radiation such as ${\beta}$-particles are of increasing significance in internal radiotherapy. Among the ${\beta}$-particle emitting radioisotopes, $^{67}Cu$ is an attractive radioisotope for various nuclear medicine applications due to its medium energy ${\beta}$-particle, gamma emissions, and 61.83-hour half-life, which can also be used with $^{64}Cu$ for PET imaging. The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beta}$-emitting radioisotope $^{67}Cu$ for therapeutic radiopharmaceutical are outlined, and different production routes are discussed. A survey of copper chelators used for antibody labeling is provided. It has been produced via proton, alpha, neutron, and gamma irradiations followed by solvent extraction, ion exchange, electrodeposition. Clinical studies using $^{67}Cu$-labelled antibodies in lymphoma, colon carcinoma and bladder cancer patients are reviewed. Widespread use of this isotope for clinical studies and preliminary treatments has been limited by unreliable supplies, cost, and difficulty in obtaining therapeutic quantities.

악골 병소의 감별 진단시 골스캔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EFFECTIVENESS OF BONE SCAN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JAW LESION)

  • 김정모;김철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33-41
    • /
    • 2007
  • Bone scan using radioactive isotope can be more effective than conventional X-ray radiograph for finding jaw lesion because it takes an image of the physiologic change of bone. This study is designed to show how available bone scan is able to diagnose jaw lesion better than simple X-ray and CT, as well as to determine a basis of diagnosis for jaw lesion using bone scan. The 77 patients, visiting the Oral & Maxillofacial Surgery, Department of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2. to August 2005. who were diagnosed histopathologically with postoperative malignant tumor, osteomyelitis, and bone infiltrative benign disease. Preoperative X-ray, CT, bone scan were taken and were compared with histopathologic finding. Also to compare specificty of each lesion in bone scan, bone density was measured to comp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25 cases of oral malignant tumor of bony invasion, a positive diagnosis associated with histopathologic evaluation, 22 cases(88%) in bone scan, 14 cases(56%) in CT image, and 10 cases40%) in simple X-ray. 2. Among the 31 cases of osteomyelitis, a positive diagnosis associated with histopathologic evaluation, 30 cases(97%) in bone scan, 23 cases(74%) in CT image, and 19 cases(61%) in simple X-ray. 3. Among the 11cases of bone infiltrative benign disease, a positive diagnosis associated with histopathologic evaluation, 11 cases(100%) in bone scan, 10 cases(91%) in CT image, and 6 cases(55%) in simple X-ray. 4. Measurement of bone density in each group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ignant tumor and osteomyelitis as well as benign bone disease. But,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en between osteomyelitis and benign bone disease. From this results, bone scan are more sensitive than simple X-ray and CT image in jaw lesion diagnosis, but specificity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t should be suggested that evaluation of bone scan must be carrying out in reference to final histopathologic diagnosis.

용존유기탄소의 δ13C : 분석시 고형화 전처리 방법 비교 알칼린 과황산칼륨산화 탄산침전과 동결건조 (Comparison of Solidification Pre-treatment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δ13C of Dissolved Organic Carbon: Alkaline Persulfate Oxidation-Carbonate Precipitation vs. Freeze Drying)

  • 전병준;박현진;최우정;박용세;이상모;윤광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3-118
    • /
    • 2017
  • DOC의 ${\delta}^{13}C$은 수질 오염원 규명에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동위원소비 질량분석기(EA-SIRMS)를 이용하여 DOC의 ${\delta}^{13}C$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두 가지 전처리방법 (과황산칼륨산화-$SrCO_3$침전법과 동결건조법)의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표준물질로는 글루코스(${\delta}^{13}C$; $-12.0{\pm}0.02$‰)와 돈분퇴비 침출액 건조분말(${\delta}^{13}C$; $-23.3{\pm}0.04$‰)을 사용하였다. 과황산칼륨산화-$SrCO_3$ 침전법에서는 용액의 알칼리성에 의해 DIC 제거가 어렵고 공기 중 $CO_2$의 영향에 의해 시료가 오염되어 분석결과의 정확도가 매우 낮았다. 반면, 동결건조법은 산 첨가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였고, 측정값과 이론값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아 실험조건별로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측정값을 이론값에 근접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A-SIRMS를 이용하여 DOC의 ${\delta}^{13}C$ 분석시 동결건조법으로 시료를 전처리하면 분석결과의 정확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