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n12

검색결과 1,025건 처리시간 0.032초

($\eta^{6}$-Mesitylene) manganese-(Ⅰ) Tricarbonyl hexafluorophosphate를 사용한 Pseudomonas Alcaligenes 5S rRNA의 고차원 구조 분석 (Analysis of Higher Order Structure of 5S rRNA from Pseudomonas Alcaligenes by using($\eta^{6}$-mesitylene) manganese-(Ⅰ) Tricarbonyl hexafluorophosphate)

  • 김상범;박인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09-213
    • /
    • 1998
  • (η6-mesitylene) manganese (Ⅰ) tricarbonyl hexafluorophosphate[MTH-Mn (Ⅰ)]과 황산 이메틸, 피로탄산 이에틸, 과망간산 칼륨 따위 화학탐침들을 사용하여 Pseudomonas alcaligenes 5S rRNA의 고차원 구조를 분석하였다. 5S rRNA의 삼차구조에서 MTH-Mn (Ⅰ)이 강하게 절단하는 자리들은 a고리의 $G_{12}AUGG_{16}$, b-C 구역의 3'쪽 가닥, 즉$G_{51}AAGUGAAGC_{60}$, B-a구역의 $U_{65}-AGCG_{69}$, d고리의 5'쪽 가닥의 $G_{72}AUGG_{76}$ 연속부분 들이다. MTH-Mn(Ⅰ)과 그밖의 화학 탐침들을 사용하여 얻은 절단 양식들에서 우리는, MTH-Mn(Ⅰ)으로 강하게 절단되는 연속부분들이 $tRNA^{Phe}$의 L자 구조의 모서리 부분에서와 같은 주머니 구조를 이룰 것이며, 이러한 구조를 형성할 때 b-C구역과 d고리가 돌쩌귀 구실을 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 PDF

AAA MIP 환경에서 공유영역 기반 세션키 재사용을 통한 고속 핸드오프 방식 연구 (Boundary Zone Overlapping Scheme for Fast Handoff Based on Session Key Reuse)

  • 최유미;정민영;추현승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4호
    • /
    • pp.481-488
    • /
    • 2005
  • 현재 무선 네트워크 IP를 위한 이동성 자원의 표준인 Mobile IP는 이동 노드(Mobile Node, MN)의 접속에 관한 사용자 인증이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구성원들의 상호 인증 및 보안 서비스를 위해서 인증(Authentication), 권한부여(Authorization) 및 과금(Accounting)을 지원하는 AAA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Mobile IP의 보안성을 유지하고 빠른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새로운 보안 핸드오프 방식을 제안한다. AAA 프로토콜은 QoS를 제한하는 비효율적인 인증 절차가 존재하여 MN이 핸드오프를 수행할 때마다 새로운 세션 키를 분배 받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MN이 핸드오프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지연 시간과 MN의 인증으로 인한 AAA 서버의 오버헤드를 줄이고자 공유(Overlap, 오버랩) 네트워크 구조 기반의 세션키 재사용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방식에서는 MN의 보안성 향상을 위하여 공유 세션 키를 유선상에서 전달하는 방식에 기반하고, 그에 따라 신속하고 자연스러운 핸드오프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분석적 모델링결과에 의하면 제안하는 방식은 기존 세션키 재사용 방식과 비교하여 핸드오프 시간을 고려하는 핸드오프 실패율에 있어서 $40\%$정도의 성능향상을 보인다.

과잉의 Zr을 첨가한 MmNi4.5Mn0.5Zrx(x=0, 0.025, 0.05, 0.1) 합금의 수소화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ydrogenation Properties of MmNi4.5Mn0.5Zrx(x=0, 0.025, 0.05, 0.1) Alloys Containing the Zr by Excess)

  • 강길구;박승갑;강세선;권호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8호
    • /
    • pp.617-623
    • /
    • 2002
  • In order to improve the hydrogen storage capacity and the activation properties of the hydrogen storage alloys, the rare-earth metal alloy series, $MmNi_{ 4.5}$$Mn_{0.5}$ $Zr_{x}$ (x=0, 0.025, 0.05, 0.1), are prepared by adding the excess Zr in $MmNi_{4.5}$ $Mn_{0.5}$ / alloy for the strong resistance to intrinsic degradation. The hydrogen storage alloys of rare-earth metal such as $LaNi_{5}$ , and $MmNi_{5}$X and $MmNi_{4.5}$ /$_Mn{0.5}$ alloys which substituted La by misch met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as well. The hydrogen storage alloys were produced by melting each metal mixture in arc melting furnace, and the as-cast alloys were heat-treated at $1100^{\circ}C$ for 10 hr. The major elements of misch metal(Mm) were La, Ce, Pr and Nd with some impurities less than 1wt.% determined by ICP-AES. X-ray diffraction indicated that the structure for these samples was a single phase of hexagonal with $CaCu^{5}$ type. As the Zr contents increases, the activation time and the plateau pressure decrease and sloping of the plateau pressure increase. Amount of the 2nd phases increases with increase in Zr contents in $MmNi_{ 4.5}$$Mn_{0.5}$ $Zr_{0.1}$ alloy, This phenomenon indicated that $ZrNi_3$ in this phase, which shows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and the strong resistance to intrinsic degradation, is considered as a proper alloy for hydrogen storage..

폐(廢)알칼리망간전지(電池)로부터 기능성(機能性) 복합소재(複合素材) 제조(製造) (Synthesis of Functional Complex Material from Spent Alkaline Manganese Battery)

  • 김태현;이승원;손정수;강진구;신선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1호
    • /
    • pp.66-72
    • /
    • 2008
  • 폐알칼리망간전지로부터 침출과 공침반응을 이용하여 Mn-Zn ferrite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100g/L 광액 농도 3.0M $H_2SO_4$, $60^{\circ}C$ 및 교반속도 200 rpm의 조건에서 과산화수소 30ml를 첨가하여 얻어진 아연과 망간의 침출율은 각각 97.9%, 93.9% 이상이었으며, 침출용액을 가지고 반응시간, 반응온도, $O_2$ 가스량을 조절하며 공침반응을 진행하였다. 공침반응 결과 pH 12, $80^{\circ}C$, $O_2$ 1.3L/min, 교반속도 400 rpm의 조건에서 Mn-Zn ferrite를 저온 합성할 수 있었다. 합성된 Mn-Zn ferrite분말은 $0.143{\mu}m$의 구형 ferrite로서 80 emu/g의 포화자화값을 가지고 있었다.

Li1.6[MnM]1.6O4(M=Cu, Ni, Co, Fe)의 합성 및 리튬 흡착제용 신규 전구체로서의 물리화학적 성질 (Synthesis of Li1.6[MnM]1.6O4 (M=Cu, Ni, Co, Fe)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s a New Precursor for Lithium Adsorbent)

  • 김양수;문원진;정순기;원대희;이상로;김병규;정강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660-4665
    • /
    • 2011
  • 리튬 흡착제용 신규 전구체인 $Li_{1.6}(MnM)_{1.6}O_4$ (M=Cu, Ni, Co, Fe)을 수열법에 의해 합성한 후에, 물리화학적인 성질을 고찰하였다. XRD와 HRTEM을 이용한 분석 결과로부터 Co를 도핑한 경우에는 본래의 스피넬 구조가 유지되는 반면에, Cu, Ni, Fe를 도핑한 경우에는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 도핑에 의해 확인된 구조의 안정화는 산처리에 의해 리튬을 침출시킨 후에도 유지되었다. 해수에 함유된 리튬을 흡착하는 효율은 Co가 도핑된 망간 산화물 인 $Li_{1.6}[MnCo]_{1.6}O_4$가 상업적으로 적용 가능한 $Li_{1.33}Mn_{1.67}O_4$ 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해수 1g으로부터 흡착되는 Li의 양은 $Li_{1.6}[MnCo]_{1.6}O_4$를 사용했을 경우에 35mg이었고, $Li_{1.33}Mn_{1.67}O_4$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16mg 이었다.

재충전이 가능한 박막전자용 $LiMn_2O_4$ 박막 전지의 전기화학 특성 분석 (Analysis of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hargeable $LiMn_2O_4$ Thin Film Battery)

  • 김주석;정헌준;김찬수;주승기
    • 전기화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31-135
    • /
    • 2000
  • [ $LiMn_2O_4$ ]박막전지의 충방전 사이클에 따른 용량 감소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LiMn_2O_4/1M\;LiClO_4-PC/Li$전지를 구성하여 충방전 사이클에 따른 AC impedance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절한 등가회로를 이용하여 비선형 최소자승 맞춤에서 얻은 값이 Impedance측정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충방전에 따른 정전용량은 초기의 급격한 감소를 보인 이후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충방전 사이클이 초기 70-100사이클까지는 저항 성분 중 양극전해질 계면의 전하 전달저항 성분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이후 안정된 값을 보임으로 초기 급격한 용량변화의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전하전달 저항이 안정된 이후에는 Warburg저항이 충방전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LiMn2O4박막의 화학확산 계수가 사이클에 따라 초기 $5.15\times10^{-11}cm^2/sec$에서 800사이클이 지난 후 $6.3\times10^{-12}cm^2/sec$로 점차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어 100사이클이 후의 용량감소의 지배적 원인으로 파악하였다. Warburg저항의 증가는 Jahn-Teller변형 또는 Mn용해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및 항미생물 효능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Hoangtonogak Plus Extracts)

  • 조준희;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83-19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를 통해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황토노각 플러스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DPPH/ABTS 라디컬 소거능 활성 및 FRAP 분석, 세포 생존율은 MTT assay, 항염증 효과는 nitric oxide(NO) 생성억제 및 iNOS 단백질 발현 수준, 항균 효과는 총 3종 균주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한천 확산법을 측정하였다. 메탄올추출물(MN)과 열수추출물(WN)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92±0.01 mgGAE/g, 1.67±0.02 mgGAE/g로 나타났다. MN 추출물의 DPPH, ABTS 및 FRAP 값은 모든 농도에서 WN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RAW264.7 세포에 대한 두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더욱이 1 mg/mL농도에서 MN과 WN 추출물의 NO 생성량은 11.69 μM과 20.4 μM로 측정되었으며, MN 추출물의 iNOS 단백질 발현 수준은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MN 추출물은 S. epidermidis 균주에서만 항균효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 항균효능을 지닌 천연물질 후보로써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소나무 묘목(苗木)의 생장(生長), 영양상태(營養狀態) 및 가스교환속도(交換速度)에 미치는 Al과 Mn의 영향(影響) (Effects of Al and Mn on the Growth, Nutrient Status and Gas Exchange Rate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 이충화;진현오;김영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74-82
    • /
    • 2001
  • Al과 Mn을 여러가지 농도로 조정한 배양액을 채운 포트에 소나무(Pinus densiflora) 2년생 묘목을 이식하여 수경재배법에 의해 90일간 온실내에서 육성한 후 소나무 묘목의 생장, 영양상태 및 가스교환속도에 미치는 Al과 M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액의 Al농도는 4수준(0, 10, 30, 60ppm)으로 처리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Al처리에 Mn농도를 3수준(0, 30, 60ppm)으로 처리하여 총 12처리구의 2요인배치법(two-factor design)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Al과 Mn은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에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s)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에 대한 Al과 Mn의 각각의 단독영향(main effects)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은 Al은 10ppm이상, Mn은 60ppm의 농도에서 생장저하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에 대한 Al의 독성이 Mn에 비해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뿌리의 암호흡속도는 Al의 경우 60ppm에서, Mn의 경우는 30ppm이상의 농도에서 저하하였다. 또한, 크로로필함량에 있어서는 Al의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60ppm의 Mn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배양액의 Al과 Mn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소나무 묘목의 상대생장율(RGR) 및 순동화율(NAR)이 저하하였으며, 이는 광합성 효율의 감소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비록 본 연구결과는 수경재배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이지만, 장래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산성강하물에 의한 수목피해 예측 및 산성화된 토양의 임지에서도 이와 유사와 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난소절제 쥐에서 칼슘섭취수준에 따른 망간의 보충이 골격상태 및 칼슘평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nganese Supplementation on Bone Status and Calcium Balance in Ovariectomized Rats according to the Calcium Intake Levels)

  • 배윤정;손은화;김병철;서동완;김미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3호
    • /
    • pp.206-21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ganese (Mn) supplementation on bone status and calcium balance in ovariectomized rats according to the calcium intake levels. Total of 50 Sprague Dawley female rats (6 weeks) were divided into 5 groups and bred for 12 weeks: sham operated control group (SACa), OVX Ca deficiency group (OLCa) with Ca deficiency diet (0.1% Ca modified AIN-93N diet), OVX Ca deficiency & Mn supplement group (OLCaMn), OVX adequate Ca group (OACa; 0.5% Ca AIN-93N diet) and OVX adequate Ca & Mn supplement group (OACaMn). BM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femur was increased by Mn supplementation in OVX adequate Ca group. However, BMDs of spine, femur and tibia were lowered in OLCa compared to the OLCaMn group. Bone strength of tibia in OLCaM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LCa group. Serum ALP (alkaline phosphatase) and CTx (C-telopeptide of collagen cross-links)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variectomized rats than those in the sham group, but they were not changed by Mn supplementation. Ca retention rate and Ca absorption rate did not differ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Urinary Ca excretion was increased by Mn supplementation in Ca deficiency rats. In summary, Mn supplementation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on bone mineral density ovariectomized rats with which intake adequate Ca. However, Mn supplementation on Ca deficiency ovariectomized rats resulted in decrement of BMO and bone strength by increasing Ca excretion. Therefore, it is encouraged to consider calcium intake levels in supplementation of manganese in order to prevent postmenopausal osteoporosis and to keep bone healthy. (KoreanJNutr2008; 41(3): 206~215)

남극 아문젠해에서 해수 중 Mn의 분포 특성 (Manganese in Seawaters of the Amundsen Sea, Antarctic)

  • 장동준;최만식;박종규;박경규;홍진솔;이상훈;정진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2호
    • /
    • pp.63-77
    • /
    • 201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ehavior and seasonal variability of Mn as one of the bio-essential metals in the Amundsen sea, which is known as the most biologically productive coastal area around the Antartica, seawaters were collected using a clean sampling system for 10 stations (96 ea) in 2014 (ANA04B) and for 12 stations (139 ea) in 2016 (ANA06B) surveys of RV ARAON. Dissolved and particulate Mn concentration varied in the range of 0.15-4.43 nmol/kg and <0.01 to 2.42 nM in 2014 and in the range of 0.25-4.15 nmol/kg and 0.01-2.64 nM in 2016, respectively. From the sectional distribution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Mn, it might be suggested that dissolved/particulate Mn was provided from iceberg melting and diffusion/resuspension from sediments, respectively. Although this sea is highly productive, there was little evidence regarding the biological origin of dissolved Mn, but particulate Mn only in sea ice and offshore areas could be explained as originating from organic matters, e.g. phytoplanktons. And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subsurface maximum of dissolved Mn was formed by isopycnal transport of melting materials from ice wall to offshore. Compared to early (2014) summer, temperature, salinity, biomass, dissolved and particulate Mn in late (2016) summer indicated that temporal variations might be resulted from the reduction of ice melting and mCDW flow, which induced a reduction in resuspension. In addition, in the late summer, particles including biomass were reduced, which brought about a reduction in the removal rate of dissolved M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