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itary Life Adjustmen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요통이 있는 병사의 통증, 우울, 군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ain, Depression,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of Soldiers with Low Back Pain)

  • 이지현;김종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3-182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evels of pain, depression,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in soldier who experienced low back pain, in order to produc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improvement programs to prevent and manage low back pain in soldiers with low back pain.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17 soldiers who had low back pain. Study instruments were Visual analog scale (VAS),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 14.0 program. Results: Mean score of pain was 4.16 points, depression was 8.58 points,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as 69.15 points. The level of pain was negatively related to adjustment to military life (r=-.241, p<.001) and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r=.262, p<.001).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r=-.442, p<.001). Conclusion: Soldiers who had low back pain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pain and depression and lower level of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and examine a nursing intervention to manage low back pain for them.

군생활 적응 향상 프로그램이 전.의경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자아존중감,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Program Improv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on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in Auxiliary Police)

  • 김종임;윤혜선;한선옥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7-39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whether the program, improv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ould have an effect on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and self-esteem in auxiliary police. Method: This quazi 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May 30, 2007.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er recruited 120 auxiliary police and randomly assigned each to either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8-week program to improv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Results: Anxiety, stress, depression, idea of suicide, self-esteem,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v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grams to improve adjustment to military life would improve psychological health and adaptation of military living in auxiliary police. Replication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is program and to identify the long-term maintenance effects of the program.

  • PDF

병사들의 레질리언스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Soldier's Resiliency on the Their Adjustment in Military)

  • 강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78-286
    • /
    • 2013
  • 본 연구는 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역경이나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역량인 레질리언스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레질리언스를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 통제, 호기심 및 낙관성으로 구성해 현역 병사 1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병사들의 레질리언스 및 군 생활 적응은 중간값 이상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레질리언스 수준이 높은 병사들이 낮은 병사들에 비해 높은 군 생활 적응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레질리언스 구성요소 중 대인관계, 낙관성 및 호기심이 군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 레질리언스를 강화시켜 주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군 생활스트레스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Stress and Military Adjustment of Soldiers)

  • 정원철;지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311-32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가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남지방에 소재하는 육군 ${\bigcirc}{\bigcirc}$사단 병사 3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인 계급과 학력은 병사의 군 적응에 유의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군 생활스트레스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매우 우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아탄력성 또한 병사의 군 적응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사의 자아탄력성은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적응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병사의 군 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군과 관련한 환경적 요인 못지 않게 병사의 개인 내적요인에 대한 관심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논의 하였으며, 추후 연구과제와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군 간부의 자존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을 매개로 (Effect of self-esteem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at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for Republic of Korea Army officials)

  • 최경일;조성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75-383
    • /
    • 2017
  • 본 연구는 군 간부의 자존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 관계를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이 매개하는지 동시에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강원도에 소재한 육군 부대 각 1개에 복무하는 580명의 간부를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비롯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군 간부의 자존감은 군생활 적응만을 매개하거나 직무만족과 군생활 적응을 차례대로 매개하여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군간부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군 간부의 자존감, 직무만족 및 군생활 적응을 동시에 높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군 간부의 자존감, 직무만족 및 군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Stress and Military Adjustment of Soldiers)

  • 김세원;신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16-227
    • /
    • 2015
  • 본 연구는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과 대전지역의 군 병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최종 453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군 병사의 계급과 병과에 따른 대인관계능력과 군 생활적응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군 생활스트레스가 높으면 대인관계능력은 낮아지고 군 생활적응도 힘들어지며, 군 병사의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군 생활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요인 중 개방성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를 조절하여 군생활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인관계능력 중 개방성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입대 전 인터넷중독수준과 군 생활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매개효과 (Family fun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prior to entering the military and maladjustment in military life)

  • 양정남;최은정;박순희;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13-52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병사들의 가족기능과 입대 전 인터넷중독수준을 알아보고, 이들의 입대 전 인터넷중독 수준이 군 생활부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 이러한 영향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매개적 역할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서 현재 군 복무중인 병사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군 병사들의 입대 전 인터넷중독수준은 군 생활부적응에 직접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특히 가족기능을 매개하여 군 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대 전 인터넷중독수준은 가족기능을 통해서 군 생활부적응에 간접적 효과가 나타났고, 가족기능은 입대 전 인터넷중독 수준이 군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주는 관계 속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입대 전에 인터넷중독 경향이 있고 가족기능 수준이 낮은 병사들을 위하여 군과 가족을 포함한 융복합적인 차원에서 군 생활적응 프로그램 및 전문적 개입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육군 병사들의 커플관계에 관한 연구 : 군 생활 스트레스, 커플관계 탄력성, 그리고 군 생활 적응의 관계 (Study on the Couple Relationships in Military : Relationship among Military life Stress, Couple Relationship Resilience and Military Adjustment)

  • 전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47-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커플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군 내 병사들의 커플관계 탄력성, 군 생활 스트레스, 군 생활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방 1개 사단, 후방 1개 사단에서 병사들을 대상으로 총 23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커플관계탄력성은 군 생활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군생활 적응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커플관계 탄력성은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커플관계 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커플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병사들의 군 생활 부적응 현상의 하나인 커플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커플관계의 역경과 스트레스를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측면에서 성장 가능성을 찾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군복무 후 제대한 복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on College Adaptation after Military Service)

  • 김현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513-52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군복무 후 제대한 복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군복무 후에 복학한 남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과 자아탄력성의 낙관적태도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의 사회적응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과 자아탄력성의 낙관적태도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의 개인-정서적응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자기평가와 자아탄력성의 자신감 간에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보다 대학생활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복무 후 복학한 남학생만의 자료 수집을 통해 밝힌 본 연구의 의의와 더불어서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군대생활 부적응으로 급격한 체중감소를 나타낸 칠정토(七情吐) 환자 치험 1례 (A Case of Psychogenic vomiting (七情吐) patient who showed loss of the weight due to Maladjustment in a Military life)

  • 유종호;김주호;김근우;구병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1-141
    • /
    • 2006
  • Psychogenic vomiting (七情吐) is the disease of vomiting due to seven emotions that joy, anger, melancholy, anxiety, grief, fear and terror being the response of the mind to the environmental stimuli. We experienced a 21year-old man who had a psychogenic vomiting due to maladjustment in a military life, and whose condition was improved through oriental medical treatment. We treated the patient with Herbal medications and Giungoroen (至言高論)-wise saying and lofty opinion). Giungoroen is psychological therapy that promotes patient's recognition of disease and will to cure it through conversation. After being treated, the patient showed that symptoms (vomiting, nausea, abdominal discomfort, insomnia, a depressed mood, a feeling of uneasiness) was improved considerably. Tills result suggests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bas good effect on psychogenic vomiting due to adjustment disor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