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nt Wome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5초

사회적 지지가 결혼이주여성의 자존감, 우울,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Married Immigrant Women's Self-esteem, Depression, Stress)

  • 조혜경;임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56-46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지지가 결혼이주 여성의 자존감과 우울,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결혼이주 여성들의 우울 및 일상생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및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 여성 126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는 소득수준(p=.001<.01)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자존감(r=.569,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자존감, 일상생활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의 자기상관과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을 검토한 결과 자존감은 2.452,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2.418, 우울은 2.278로 자기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p<.001)는 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β=.472) 자존감이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결혼이주 여성들의 우울 및 일상생활 스트레스 감소를 통해 그들이 더욱 안정된 가정생활, 사회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며, 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지지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남녀 귀농인 결혼만족도 결정요인 연구: 귀농특성, 가족주의 가치관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le and Female Rural Migrants: Migrant Characteristics and Family Values)

  • 김백수;이정화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71-488
    • /
    • 2015
  • This study compares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rural migrants and explores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rural migrants and family values on marital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rvey included 483 migrants living in rural communities of North Jeolla Province and South Jeolla Provinc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les, the t-test, correlation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According to the results,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men than in women. In addition,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rural migrants and family values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greater in men than in women. The major determinant of marital satisfaction in men was economical preparation, whereas that in women was family values. Economical preparation for rural living was more important for men, and the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internalization of rural living was more important for women. In particular, family values represented the main variable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marital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mily relationships may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rural migrants' marital satisfaction and that spousal relationships may be the core factor influencing family relationships.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적응 특성 (Trait of Local Community Adaptation of Migrant Women by Marriage)

  • 성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07-3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 4월부터 5개월간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 중 Colaizzi방법론을 채택하였는데, 심층면접을 통하여 녹취한 진술을 텍스트화 한 후, 유의미한 진술내용을 코딩하여, 주제(themes), 주제묶음(theme cluster)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내적역량의 강화', '문화적응', '제한적 수혜자 되기', '인적네트워크 없음', '미래를 낙관할 수 없음' '지역사회 안착을 염원함', '한국을 떠날 수 있음'으로 총 7개의 주제묶음과 17개의 주제, 47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생활문화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 베트남여성을 대상으로- (The A Case Study on the Adjustment of Family Living Culture in Relation to Women Who Have Immigrated Through Marriage - Vietnamese Women in Seoul -)

  • 이애련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4호
    • /
    • pp.69-90
    • /
    • 2014
  • This study focused on the adjustment of family living culture in relation to women who have immigrated for marriage. Specifically, it sought to determine how Vietnamese immigrant women understand and adapt to the culture of family life in Seoul, Korea.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rom 2 May to 30 May 2014, with 28 Vietnamese immigrant women as participants. Personal, family,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ing family life and culture were considered. It was determined that Vietnamese women can easily adapt to life in Korea to provide; the results of the material analysis are described below. First, Vietnamese immigrant women are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life in Korea. In Vietnam, women have the right to marry Korean men if they want to. Vietnamese women are encouraged to marry want to marry a Korean man. Because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marriage. Second, migrant women learn to adapt to South Korean culture and food. However,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a woman's husband and mother-in-law can become a source of conflict. Thir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easily accept Vietnamese people, since they are educated to do so through their Vietnamese mothers Vietnamese woman wants to teach their children the Vietnamese food and culture. Fourth, the Vietnamese immigrant women als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communities. They want to become productive members of society through employment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Fifth, the cultural and welfare policies of the government should be carried on so that migrant women are able to study cultural adaptation. This case study examined difficulties that Vietnamese immigrant women have in adjusting to life and culture in Korea. The findings could be used as a resource to help Vietnamese women living in Korea.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for Marriage-based Migrant Women)

  • 신혜정;노충래;허성희;김정화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3호
    • /
    • pp.5-29
    • /
    • 2015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 변인들을 개인, 가족, 사회적 지지 요인에 따라 메타분석하여 사회복지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37편의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 연구들을 최종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개인, 가족 및 사회적 지지 요인들 간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각 요인들은 모두 '중간 효과'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크기의 우선 순위는 결혼만족, 사회적 지지 순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고, 다음으로 생활만족도, 가족 관계 기능,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우울 순으로 '큰 효과'에 가까운 관계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개인요인에서는 한국어능력, 경제적 어려움, 우울, 자아존중감이, 가족 및 사회적 지지 요인에서는 결혼만족, 부부관계, 사회적 지지 요인이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효과크기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 PDF

결혼이주여성의 구강건강신념 및 자기효능감과 구강건강인식도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of Marriage Migrant Women's Oral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on Oral Health Awareness)

  • 가경환;문선정;구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87-8497
    • /
    • 2015
  • 본 연구는 영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신념 및 자기효능감과 구강건강인식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구강건강 인식 개선과 태도 변화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2013년 10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대구, 경북, 경남지역 8곳의 다문화 관련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방법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최종 256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과 AMOS 7.0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구강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이 구강건강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치석제거(스케일링)경험은 구강건강신념요인 중 심각성(${\beta}$=.568)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구강건강상태는 구강건강신념요인 중 감수성(${\beta}$=-.391)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구강건강관심도는 구강건강신념요인 중 감수성(${\beta}$=-.183), 심각성(${\beta}$=.172), 유익성(${\beta}$=.224)과 자기효능감(${\beta}$=.237)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결혼이주여성의 효율적인 구강건강관리를 위하여 구강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이 구강건강인식에 미치는 요인의 분석으로 향후 예방적 구강건강관리 및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방안의 모색과 다문화가정의 구강건강 향상을 위한 기본 정책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Migration, Gender and Scale: New Trends and Issues in the Feminist Migration Studies)

  • 정현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94-913
    • /
    • 2008
  •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이주연구의 화두인 '이주의 여성화' 에 내포된 스케일 이슈를 각종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젠더선별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는 페미니스트 이주연구는 거시적 스케일에서 뿐만 아니라 미시적 스케일에서 형성되는 젠더관계와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과정이 상호 접목되는 양상을 분석할 것을 요구한다. 기존의 이주연구가 국가별 수준에서, 젠더요인에 대한 피상적 고려에 그친 것을 비판하면서, 페미니스트 접근은 지구적인 노동의 성별분업, 초국가적 가족연계망, 이주여성의 몸과 가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재생산을 통해 역동적으로 재구성되는 젠더관계를 주요 연구주제로 상정한다. 최근 국제거 주요 주체로 부상하고 있는 이주여성은 국경과 공적 사적 영역을 넘나들며 근대적 젠더관계와 그 경계를 교란하고 있다. 이들의 경계넘기의 젠더정치학은 다양한 스케일의 창출을 수반하는 스케일의 정치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개인의 증대된 에이전시와 가족관계망의 초국가적 확장을 통한 국제이주의 증가는 이주여성들에 의한 초국가적 스케일의 생성인 동시에 아래로부터의 세계화의 전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이주 문헌에서 나타나는 스케일에 대한 오해를 시정하고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연구 성과를 접목하여 양 학문분야의 의사소통을 증진하고자 한다.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학습경험 의미 (The Meaning for Marriage Migrant Women to have College Experience)

  • 백은숙;한상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79-199
    • /
    • 2017
  • 이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학습경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즉,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진학 동기와 진학 후 학교생활을 통한 학습경험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학습경험 이후의 삶에 대한 기대의미는 구조적으로 어떠한지를 탐색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거주기간이 10~18년차인 도농지역 결혼이주여성 6명을 연구의 질적 보증이 가능하도록 Miles & Huberman (1994)이 제시한 "의도적 표본 추출 전략"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추가면담 및 관찰과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진학 동기는 자신의 꿈 실현, 당당한 부모상 찾기, 안정된 가정경제 추구, 전문 직업 갖기, 진로결정의 수단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이들의 진학 후 학습경험의 의미는 의사소통 능력증진, 가족관계에서의 자아상 확립,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감, 가족건강생활 증진, 인간관계증진, 배움을 통한 평생학습 인간이 됨으로 탐색되었다. 셋째, 미래의 삶과 관계 짓는 의미 구조로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추구해 나가는 주체적 삶, 배움의 가치추구를 통한 한국인으로서의 당당함과 인간답게 사는 삶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두천시 일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에 따른 식생활적응 및 식행동 분석 (Analysis of Food Adaptation and Dietary Behavior of Marriage Migrant Women According to Their Acculturation Type in Dongducheon City)

  • 김혜원;김민화;김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05-21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동두천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문화적응유형에 따른 그들의 식생활적응 실태 및 식행동을 분석하고, 식생활적응과 식행동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훈련된 조사자가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로 번역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동화유형군의 식생활적응도가 가장 높았고, 분리유형군이 가장 낮았다. 또한, 문화적응유형에 따른 식행동 점수를 분석한 결과, 우유 및 유제품을 매일 섭취하는 식행동에서만 동화유형군에서 가장 높았다.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및 식생활적응과 식행동 간에 상관성 분석에서 식생활적응은 동화요인과 식행동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도 동일하게 문화적응유형 중 동화요인만이 식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식생활적응은 식행동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이주국 문화를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동화적 문화적응이 식생활적응을 높여 올바른 식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