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 Case Study on the Adjustment of Family Living Culture in Relation to Women Who Have Immigrated Through Marriage - Vietnamese Women in Seoul -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생활문화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 베트남여성을 대상으로-

  • 이애련 (가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과)
  • Received : 2014.10.01
  • Accepted : 2014.11.06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adjustment of family living culture in relation to women who have immigrated for marriage. Specifically, it sought to determine how Vietnamese immigrant women understand and adapt to the culture of family life in Seoul, Korea.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rom 2 May to 30 May 2014, with 28 Vietnamese immigrant women as participants. Personal, family,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ing family life and culture were considered. It was determined that Vietnamese women can easily adapt to life in Korea to provide; the results of the material analysis are described below. First, Vietnamese immigrant women are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life in Korea. In Vietnam, women have the right to marry Korean men if they want to. Vietnamese women are encouraged to marry want to marry a Korean man. Because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marriage. Second, migrant women learn to adapt to South Korean culture and food. However,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a woman's husband and mother-in-law can become a source of conflict. Thir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easily accept Vietnamese people, since they are educated to do so through their Vietnamese mothers Vietnamese woman wants to teach their children the Vietnamese food and culture. Fourth, the Vietnamese immigrant women als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communities. They want to become productive members of society through employment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Fifth, the cultural and welfare policies of the government should be carried on so that migrant women are able to study cultural adaptation. This case study examined difficulties that Vietnamese immigrant women have in adjusting to life and culture in Korea. The findings could be used as a resource to help Vietnamese women living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정천석(2009).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정생활 적응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153-167.
  2. 계선자(2011). 다문화사회의 이해. 서울: 신정.
  3. 고은주(2009).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가정폭력,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외상후 스트레스와 심리 건강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공수연.양성은(2011). 다문화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1), 101-117.
  5. 김민정.유명기.이혜경.정기선(2006).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베트남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39(1), 63-169.
  6. 김승희(2012). 여성결혼이민자가 체험한 교육문화와 문화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153-170.
  7. 김양희(2007). 남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행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오남(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9. 김은경(2010). 경남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 상호작용이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12.
  10. 김이선(2008).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과 소통경험을 통해 본 정신건강의 역동성.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1-129.
  11. 김현숙(2010).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135-159.
  12. 김현숙.김희재.최송식(2010).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부 적응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53-175.
  13. 김현재(2007). 베트남 여성의 한국으로의 결혼이민: 그 배경과 원인에 대한 고찰. 동아연구, 52, 215-254.
  14. 김혜진(2008). 다문화시대에 따른 가족윤리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희주.은성경(2007).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을 위한 대처전략에 관한 사례연구-필리핀여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5, 33-66.
  16. 박정윤(2007). 결혼이민자가족생활에 관한 사례연구: 건강한 가정 행복한 사회를 위한 비젼선포. 대한가정학회지 창립60주년기념 통합 포럼 및 기념자료집, 89.
  17. 부썬투이(2006). 베트남, 베트남 사람들. 서울 : 대원사.
  18. 신유경.장진경(2010). 문화상호주의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 다문화가족의 가족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4(3), 109-122.
  19. 양선화.양철호.김영자.손순용.심봉관.조지현(2004).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6), 127- 149.
  20. 염혜경(2008). 베트남결혼이민여성의 적응과정에 대한 생애사적연구. 경남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21. 오윤자(2008). 여성결혼이민 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4), 63-77.
  22. 유인선(1999). 싱가포르: 동남아의 선진복지국가.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3. 이영선(2008).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영세.이춘아.강영주.김정아.이순화(2005). 여성결혼이민자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기초연구. 문화관광부,문화예술교육, 05-14.
  25. 이애련 (2010)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생활문화 이해와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299-321.
  26. 이영실.조명희.홍성희(2012).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172-194.
  27. 이은주(2007). 결혼이민여성 부부집단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필리핀여성 부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9(1), 29-60.
  28. 조선일보(2009). 베트남신부 남편도 아내나라를 알아야. 2009. 8. 17. 39면.
  29. 차성란(2009). 다문화가정의 가정생활문화통합의 지향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85-101.
  30. 차성란(2011). 결혼이주여성관점에서의 다문화가정 여가생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51-70.
  31. 채옥희.홍달아기(2007).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61-73.
  32. 채옥희.홍달아기(2009). 몽골 결혼이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적응사례. 한국가족자원경학회지, 13(4), 171-192.
  33. 채옥희.한은진.송복희(2012). 캄보디아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동기와 한국가정생활 경험 및 지원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111-129.
  34. 추현화.박옥임.김진희 (2008). 국제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2008 한국가정관리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285-298.
  35. 최송식(2008).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부 적응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53-175.
  36. 최금해(2006).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최의신(2008). 베트남 국제결혼가정의 가족생활실태와 가족기능.부부갈등에 관한 연구-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혜지(2009).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1), 163-194.
  39. 통계청(2014). 인구동태(결혼이민자). 통계청.
  40. 하밍타잉(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행정안전부(2012). 2012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현황. 행정안전부.
  42. 홍달아기.채옥희(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 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29-741.
  43. 홍달아기.채옥희(2007).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과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733-744.
  44. 홍달아기(2012).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가정생활 문화적응 단계별 특성-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1-22.
  45. 홍성희(2012). 다문화가족의 부부갈등과 갈등 대처전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1), 149-175.
  46. 홍성희(2013). 결혼이주여성의 자원체계와 한국생활적응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21-145.
  47. Berry. J. W.(2002). Psychology of acculturation : Understanding individuals moving between cluture,In R Brislin(ed.). Appliedcross-cultural psychology,Newbury Park. CA:Sage,232-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