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Aged

검색결과 2,783건 처리시간 0.027초

중장년 기술창업가의 창업 준비 유형 및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ech Start-up Preparation of Middle-Aged Entrepreneurs)

  • 홍성표;김민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5-140
    • /
    • 2023
  • 체계적인 창업 준비는 실패 가능성을 낮추고 시장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중장년 창업가에게 필수적이지만, 중장년의 창업준비를 위한 정책과 서비스는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중장년의 창업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나 창업준비는 대학생이나 예비창업가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실제 창업을 한 중장년 창업가의 다양한 창업준비 행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중장년 창업가의 창업준비 유형을 도출하고, 창업준비 유형에 따른 창업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업력 7년 미만 창업기업의 중장년 기술창업가 324명의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중장년 기술창업가들의 창업준비는 보통 수준으로 창업 준비 기간의 충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업교육을 통한 준비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중장년 기술창업가들의 창업 준비 유형은 '전반적 부족형', '창업교육 소홀형', '포괄적 준비형'의 3개 집단으로 나타났다. 창업만족도, 창업역량, 실패 두려움, 창업서비스 접근성, 중장년 특화 지원 필요성에 대한 집단 별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부족형에 비해 창업교육 소홀형과 포괄적 준비형의 창업만족도, 창업역량, 창업서비스 접근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패두려움의 경우 포괄적 준비형이 전반적 부족형과 창업교육 소홀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 창업 서비스 접근성은 전반적 부족형이 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중장년 특화 창업지원의 필요성은 모든 유형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의 체계적인 창업준비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중장년층의 창업준비 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사업 확대 및 중장년 창업가의 창업준비 수준에 따른 유형별 지원 제공, 둘째, 중장년 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한 홍보와 접근성 강화, 셋째, 청년 창업가와 다른 중장년의 특성을 반영한 중장년 창업가 특화 교육 제공, 넷째, 창업교육을 포함한 창업준비의 여러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중장년 창업지원 제공 등으로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from a Highly Populated Country :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Lower Back Pain in Middle-Aged Adults

  • Feda Anisah Makkiyah;Tasya Anggraini Sinaga; Namira Khairunnisa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2호
    • /
    • pp.190-198
    • /
    • 2023
  • Objective : Low back pain (LBP) is a global health problem that affects the productivity of the patients. Several factors such as individual, occupational, and psychosocial factors increase the risk of LBP. However, only a few studies investigated those factors, especially in middle adulthood in Indonesia. Indonesia is a country with a young population that has been rapidly developing in recent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BP in middle adulthood. Methods :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analytic stud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ith a total sample of 3005 respon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which was then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Kolmogorov-smirnov, Spearman's Rank, and logistic regression test. Results :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12-month prevalence of LBP in middle-aged adults was 44,29%. Female (odds ratio [OR], 1.3; 95% confidence interval [Cl], 1.098-1.545; p=0.002), lack of physical exercises (OR, 0.87; 95% Cl, 0.794-0.959; p=0.005), high body mass index (OR, 1.09; 95% Cl, 1.009-1.187; p=0.002), stress level (OR, 1.26; 95% Cl, 1.088-1.458; p=0.002), and years of work experience (OR, 1.1; 95% Cl, 1.001-1.225; p=0.047) were determined as risk factors tha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BP. Conclusion : LBP is quite common among middle-aged adults in Indonesia. Female gender, higher body mass index, lack of physical activity, stress level, and years of work experience were all potential risk factors for LBP in middle-aged adults. Middle-aged adults in Indonesia should be aware of LBP and avoid disabilities by identifying risk factors that may worsen LBP in the future.

중·장년 노후생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Recognition of Age Preparation for Middle and Old Aged)

  • 이국권;김재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89-194
    • /
    • 2019
  • 본 연구는 중 장년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에 대한 실태조사를 한 연구이다. 중장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의뢰한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총 350부를 배포하여 응답이 부실하거나 누락된 문항이 많은 설문지를 제외한 39부를 제외하고 총 311부를 SPSS 21.0을 시용하여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지역적인 특색과 노인이 될 계층의 노후생활인지의 차이점을 파악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 장년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후생활인지의 차이점 도출, 둘째 중 장년 사회인구학적 경제적 노후생활인지, 신체적 노후생활인지, 사회적 노후생활인지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노후준비를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이다.

청년층과 중노년층 남성의 발 형태 분류 (Classification of foot shapes of young and middle-aged/elderly men)

  • 임호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5호
    • /
    • pp.894-905
    • /
    • 2015
  • The present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3D measurement of the feet of men aged over 20 years residing in the capital region as part of the 6th Anthropometry of Size Korea.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t shapes of young men aged 20~39 years and middle-aged/elderly men aged 40~69 years by age and by type,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factors deriv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oot shapes by type according to differences in age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t shapes of young men by type, five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foot sha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1 (short and flat), Type 2 (thick), and Type 3 (long and wide).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t shapes of middle-aged/elderly men by type, six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foot shap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1 (short and regular), Type 2 (flat), Type 3 (thick), and Type 4 (long and regula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shoes by age and foot type.

중년기 남성의 사회관계망과 심리적 복지감 (A Study on Soci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en)

  • 이기숙;김현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33-14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en. The participants were 314 men who were married living in Pusan, aged between 40 and 59, having occupation and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Social Networks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nge of the social contact with men's own kin was wider than women's. In the contact frequency of midge-aged men, primary networks were shown more frequent contact than the secondary networks. I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function of social networks, kinship of the middle- aged men, their partners and friendship networks we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six networks, which agrees the fact that kin are still the primary source of social support. Second,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lower than family-related satisfaction and work-related satisfaction. In the work-related satisfacti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lower than the other sub-categories.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en were affected by Social economic status as well.

서울시 아파트 거주 중년기 가정의 생활실태와 문제(V) -부인에 대한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Family Life Issues of Middle Aged Apartment-Residents in Seoul : Focused on Case Studies)

  • 임정빈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27-343
    • /
    • 1996
  • This study is the last part of a collaborative study on the Family Life Issues of Middle aged Apartment-Residents in Seoul. This study is focused on case stud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5 fulltime housewives who are in the upper-middle and the lower-middle families having at least one child in a middle or high school from Kangbuk and Kangnam areas. In this study, the whole family life issue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4 subareas ; 1. housewives' own life, 2. family life, 3. economic environments, 4. housing environments.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is :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 age family was the existence of children attending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which brought various problems into the family with relation to self identity, time management and leisure of middle aged housewife, educational cost, shared family activities, housing space. Therefore the whole family life would be improved through the change of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 PDF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원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resource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4호
    • /
    • pp.71-9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for social work practice to enhance the happiness of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resources (formal and informal support resource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life married couples.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mong married men and women aged between 40 and 59 and living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 study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family stress was 3.06 points (SD=.56),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of 3 points. Of all subscales of family stress, the subjects experienced the most stress from family relationships, followed by financial problems, health and loss of families,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In regard to social support resources, the mean value of all social support resources categories was greater than the median. Among the subscales, informal support (family support and support from other peopl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formal support.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e median, and the score was 3.21 points (SD=.78). Second, in order to explore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grouping subjects who scored high, middle, and low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marita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that experienced less family stress (F=6.25, p<.01). With respect to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that received high social support (F=29.68, p<.001).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subjective economic status, family relationship stress, economic stress, and family suppor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higher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the lower the family relationship stress and economic stress levels,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In addition, the greater the family support,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to improve family relationships in middle-aged married couples and to distribute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family support resources. For example,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are currently performed, including "Family School for Middle-Aged Baby Boomers" and others as part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Work regarding the promotion of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couples. In addition, continuing effort is warranted to include content on strengthening family support resources,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and promoting service accessibility.

중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은퇴 후 주거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 of the Life Style and Housing Selection Attributes of the Middle-aged People)

  • 임선미;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74-8088
    • /
    • 2015
  • 중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은퇴 후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차이 및 은퇴 후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중년층은 자신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안락한 주거환경에서 여유롭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높게 나타났고, 이에 편승하여 보건 의료시설, 문화, 휴양, 오락시설 등과 수준 높은 서비스가 제공되는 미래노인 주거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주택수요 구조 변화의 또 다른 요인으로 꼽히는 것은 주5일 근무제의 확산, 소비수준의 향상, 교육수준의 향상,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산 등 사회.문화. 경제적 환경의 전반적인 변화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중년층은 기존의 노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신을 젊게 생각하고 도전적이며 능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은 더욱 다양하게 전개될 것이며 노후의 다양한 삶의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주택 및 주거환경 계획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중년층의 은퇴 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주거만족과 주거선호를 예측하여 다양한 주택공급, 주거마케팅, 주택정책에 또 다른 관점을 제시하여, 그들이 선호하는 미래주거를 다양화 시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미래 주거환경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경기도 지역 중장년의 가족관계 어려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Difficultie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aged in Gyeonggi-do: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Services)

  • 조성희;박수선;황경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4호
    • /
    • pp.31-41
    • /
    • 2021
  •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가족지원서비스가 두 요인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제4차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을 위해 실시한 지역주민의 욕구조사 자료 중 50~64세 중장년층 8,695명을 대상으로 가족지원서비스가 가족관계의 어려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중장년이 경험하는 삶의 만족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가족관계 어려움이 낮을수록, 가족지원서비스를 이용할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그리고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중장년의 삶의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인 가족지원서비스는 중장년이 경험하는 가족관계 어려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기도 지역 중장년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를 탐색하기 위하여 가족관계의 어려움과 가족지원서비스가 갖는 관계 구조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 과정에 관한 연구: 생애주된일자리와 가교일자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ransition to Retirement of the Middle-Aged in Korea: Focused on the Career Job and the Bridge Job)

  • 최옥금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15-31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중·고령자의 은퇴 과정을 생애주된일자리, 가교일자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3차년도 국민노후 보장패널(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의 가구, 개인 및 직업력 자료를 활용하여 55세 이상 중·고령자들의 생애주된일자리, 가교일자리, 비취업의 비중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 생애주된일자리의 특성과 가교일자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고령자들의 노동시장 지위를 생애주된일자리 유지, 가교일자리, 비취업으로 나누어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중·고령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하는 비중이 감소하였으며, 가교일자리의 비중은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 과정에서 점차 '점진적 은퇴'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생애주된일자리와 가교일자리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가교일자리의 질이 생애주된일자리와 비교할 때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고령자의 생애주된일자리 유지, 가교일자리, 비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항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중·고령자가 생애주된일자리를 그만 둔 이후 가교일자리에서 일하는 것은 이들의 경제적 필요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교일자리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노동 시장정책의 확립, 그리고 생애주된일자리에서의 퇴출과 공적연금의 수급 사이의 소득 감소를 완화할 수 있는 소득보장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