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Difficultie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aged in Gyeonggi-do: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Services

경기도 지역 중장년의 가족관계 어려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원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09.24
  • Accepted : 2021.11.09
  • Published : 2021.11.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family relationships of the middle-aged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and how family support services regul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A total of 8,695 middle-aged residents(aged 50 to 64 years) were chosen from among resident-respondents of the needs survey administered to establish the 4th local social security plan in Gyeonggi-do.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services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life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experienced by the middle-aged is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The lower the difficulty in family relationships, the higher the use of family support services, the more women than men, and the better the economy,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s a moderating variable, family support services significantly moderate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middle-aged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omprehensively shed light on the difficulties that confront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family support service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earch for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aged in Gyeonggi-do.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가족지원서비스가 두 요인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제4차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을 위해 실시한 지역주민의 욕구조사 자료 중 50~64세 중장년층 8,695명을 대상으로 가족지원서비스가 가족관계의 어려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중장년이 경험하는 삶의 만족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가족관계 어려움이 낮을수록, 가족지원서비스를 이용할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그리고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중장년의 삶의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인 가족지원서비스는 중장년이 경험하는 가족관계 어려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기도 지역 중장년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를 탐색하기 위하여 가족관계의 어려움과 가족지원서비스가 갖는 관계 구조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 중장년 지원에 관한 조례(2018). 경기도
  2. 고기숙(2003).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고숙자(2021). 중년기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분화, 사회적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산효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과(2021). 2020년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개요.
  5. 곽금주.민하영.김경은.최지영.전숙영(2011). 중년 직장 남성의 가족관계, 가족 외 관계 및 직무만족이 행복심리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8(3), 115-133.
  6. 김경민.한경혜(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3), 211-230.
  7. 김미곤.이태진.송태민.우선희.김성아(2018). 2018년 사회보장 대국민 인식조사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김미정.김귀분(2013).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19(2), 150-158. https://doi.org/10.14370/JEWNR.2013.19.2.150
  9. 김상호.정해식.임성은.김성아(2016). OECD국가의 복지 수준 비교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김성아.정해식(2019). 연령대별 삶의 만족 영향 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70호, 95-104.
  11. 김영란.장혜경.이윤석(2017). 가족계층에 따른 청년자녀세대의 성인기 이행 및 정책 대응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2. 김유경.이진숙.손서희.조성호.박신아(2018).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부담 구조 변화와 대응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김은영.박정윤(2013). 가족의례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와 가족역할중요도 인식에 관한 연구: 미혼남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3), 105-124.
  14. 김해은(2020). 서울시 50플러스 캠퍼스 사업이 장년 이용자의 사회참여활동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선숙(2019). 세대별 삶의 만족도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세대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30(3), 311-330.
  16. 박수선.이무영(2017). 중, 장년 1인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39-149.
  17. 박수선(2020). 생존분석을 활용한 여성의 이혼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박영신.김의철(2011). 중년기 성인 남녀의 행복 형성 요인: 전업주부, 취업주부와 그들의 남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1), 65-108.
  19. 박은선(2014). 중년 남성의 나이듦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박지숭(2014). 신중년층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마음 챙김의 긍정적 효과. 보건복지포럼 208호, 75-85.
  21. 방은령(2001). 한국 중년 남성들이 말하는 중년기의 의미와 행복 및 삶의 질.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대회지, 6, 37-60.
  22. 배수현.김기연(2019). 한국 장년 및 노인 근로자의 시간 유형별 근무형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수면의 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9(4), 11-40. https://doi.org/10.15709/HSWR.2019.39.4.11
  23. 백종관.안지선.최미옥.김정연(2020).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중장년 특화 직업훈련과정 운영 개선 방향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24. 보건복지부(2018). 2018년 사회보장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25. 보건복지부(2019.2.11). 포용적 사회보장체계 구축으로 2023년까지 삶의 만족도를 OECD 평균 수준으로 높인다: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19~'23)」 발표 보도자료.
  26. 서울특별시 복지정책실(2021). 21년 고독사 예방 종합 계획(제 4기).
  27. 손서희.김미영(2019). 서울지역 건강가정.다문화가족 지원센터 종사자의 통합 서비스 운영 경험.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4), 1-21. DOI : 10.22626/jkfrma.2019.23.4.001.
  28. 송인주(2016). 고독사 실태파악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9. 양현주(2005). 중년기 전업주부의 생성감과 가족관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유운도(2013). 1차 베이비부머와 2차 베이비부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유효순(2016). 중.장년층의 가족관계 특성,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경은(2012). 중년기 스트레스와 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명숙.이미선.이정우(2003).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특성, 가족 역동성 및 가족자원 만족도-안성지역 중.고등학생과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1), 61-76.
  34. 이상열.최석채.나용호(2001).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고찰. 대한소화기학회지, 7(10), 6-12.
  35. 이윤희(2011).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인식정도와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임정미(2020). 신중년의 사회참여 실태와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287호, 45-55.
  37. 중앙일보(2018.12.3). 「"주 일자리 은퇴나이 평균 49.1세"...고령자 상당수가 재취업하는 곳은」 보도 자료에서 산업은행연구원(2018). 「고령자 고용의 현황과 시사점」, 재인용.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175852#home.
  38. 진화영(2020). 신중년의 가족관계 현황과 향후 과제: 부양 관계를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287호, 21-34.
  39. 최미경.이영희(2010). 중년성인의 우울과 무력감, 사회적 지지 및 사회경제상태. 정신건강간호학회지, 19(2), 196-204.
  40. 최은희.장온정(2017). 지방자체단체 가족지 원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 통합방안 연구-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2(2), 329-353.
  41. 통계청(2005. 2015). 인구주택총조사 2005년 ~ 2015년.
  42. 통계청(2018). 주민등록인구현황.
  43. 통계청(2020). 2020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 조사 결과. 보도자료.
  44. 홍근미(2011). 중년여성 분노의 다면적 분석을 통한 기독교 상담 방안. 성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홍승정.윤미경.이세원.안혜경.유시영(2013). 중.노년층 남성의 성공적 노화 영향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7), 3275-3283. DOI : 10.5762/KAIS.2013.14.7.3275
  46. 황경란.박수선.안준기.조성희.박혜선(2018). 경기도 중장년 실태 분석 및 지원 방안 연구. 정책 연구보고서. 경기복지재단.
  47. 황경란(2019). 위기의 중장년, 경기도 해법은. G-Welfare Brief 3. 경기복지재단.
  48. 황경란.박지환(2019). 경기도 중장년 지원계획 수립연구. 경기복지재단.
  49. 황남희(2020). 신중년의 경제 상태 현황과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287호, 6-20.
  50.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1. Gilligan, T.D. & Huebner, S.(2007). Initi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Adolescent Version.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2, 1-16. https://doi.org/10.1007/s11482-007-9026-2
  52. Grossman, S. & Mandle, C. L.(2006). Middle-age adult. In Edelman & Mandle(6th Ed.). Health promotion throughout the life span(p. 548-569). Mosby-Year Book, Inc.
  53. Helliwell, J. F., Layard, R. & Sachs, J.(2019). World Happiness Report 2019. N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54. Kahneman, D. & Krueger, A. B.(2006). Developments in the measur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0(1), 3-24. https://doi.org/10.1257/08953300677652603
  55. Nishizono, H. N.(1985). Depression and neurosis in middle aged. Japanes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14(9), 1301-1307.
  56. Wang, S., Helliwell, J. F., Lee, G. E., Zhou, W., P, C., Barrington-Leigh & Choi, S.(2014). Measuring and explaining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 (S. Wang Ed.): Korea Development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