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and old aged women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6초

대구지역 중·장년층의 굴절상태 연구 (A study of refraction state of middle aged & manhood in Daegu)

  • 최계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23-332
    • /
    • 2004
  • 본 연구는 타각적 굴절검사인 자동 굴절검사기기를 사용하였고 근용굴절력을 검사하였다. 대상자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중 장년 남,여들로 구성되어 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검사 대상자는 남자 161명(29.98%), 여자 356명(70.02%)으로 총 537명으로 구성된다. 2. 검사 대상자 중에서 비정시의 분포는 근시 6명(1.12%), 원시 15명(2.79%), 그 외는 난시 516명(96.09%)이다. 3. 난시안 중에서 난시 종류 따른 분포는 근시성복성난시 89명(16.57%), 원시성복성난시 245명(45.62%), 혼합난시 182명(33.89%)이다. 4. 근시도의 등가구면굴절력(M.S.E)은 -0.50D${\leq}$M.S.E.<-1.00D에 속하는 비율이 39명(21.67%), -1.0000${\leq}$M.S.E.<-2.000 에 속하는 비율이 88명(48.89%)%, -2.00D${\leq}$M.S.E.<-6.00D에 속하는 비율이 53명(29.44%)이다. 5. 원시도의 등가구면굴절력(H.S.E)은 +0.50D${\leq}$H.S.E.<+1.00D에 속하는 비율이 102명(28.57%), +1.00D${\leq}$H.S.E.<+2.00D에 속하는 비율이 176명(49.30%), +2.00D${\leq}$H.S.E.<+6.00D에 속하는 비율이 79명(23.13%)이다. 6. 가입도의 분포를 살펴보면 대상자 537명 중에서 1.00D는 43명(8.01%), 1.50D는 46명(8.57%), 2.00D는 74명 (13.78%), 2.50D는 89명(16.57%), 3.00D는 91명(16.95%), 3.50D는 96명(17.88%), 4.00D는 98명(18.25%)이다.

  • PDF

고령사회 노인연극의 지향점 고찰: 당진시 '회춘유랑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Elderly Theatre in Aged Society: Around the 'Hoechun Circus' in Dangjin)

  • 오판진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359-3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지원 측면의 노인복지에 속하는 노인연극 프로그램의 한 사례를 분석하여 노인연극의 지향점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충남 당진시 할머니들로 구성된 '회춘유랑단'의 활동 사례를 조사하고, 그 공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례 연구와 연행 이론을 사용하였으며, 동료 검토법(peer examination)의 전략을 사용하여 연구의 타당도를 높였다. 연구 결과, 노인연극 프로그램을 통해 할머니들은 첫째, 어린이와 청소년들과의 소통을 지향했고, 둘째, 몸이 불편한 다른 노인들과 소통하기를 원했으며, 셋째, 청년이나 중년은 물론 모든 주민과 소통하길 바랐고, 넷째, 연극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체험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성취감을 높이면서 노년을 즐겁고 유익하게 보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회춘유랑단'을 밴치마킹한 노인연극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노인연극에 관한 다양한 사례를 연구하고, 이런 노인연극을 지원하는 정책 연구도 필요하며, 노인연극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 과정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노인연극 프로그램이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나 국내와 국외의 단체들과 교류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연극치료 분야에서도 새로운 길을 모색할 여지가 있고, 소시오드라마나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개발이 대안이 될 수 있다.

경기 일부 지역 중년 성인의 식사 패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에 관한 연구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by Dietary Patterns of Middle-aged Adults in Gyeonggi Province)

  • 이유신;이무용;이심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27-536
    • /
    • 2014
  •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식사 패턴을 파악하고, 식사 패턴에 따른 영양소 섭취실태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식품군별 평균 섭취량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통해 육류, 주류, 난류, 유지류 등의 섭취가 두드러진 '육류와 술', 주식으로 잡곡류를 섭취하고 과일과 채소 등을 섭취하는 '잡곡과 채소 및 과일', 주식으로 백미를 위주로 하고 김치와 어패류를 섭취하는 '백미와 김치 및 어패류' 패턴이 분리되었다. 2) '육류와 술' 패턴의 요인점수가 높아질수록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가 증가하였고, 연령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잡곡과 채소 및 과일' 패턴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류와 술' 패턴의 경우 남자, '잡곡과 채소 및 과일' 패턴의 경우 여자의 비율이 높았고, '백미와 김치 및 어패류' 패턴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사 요인점수의 사분위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은 '육류와 술' 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에너지, 단백질, 나트륨의 섭취가 증가하였고, '잡곡과 채소 및 과일' 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탄수화물, 칼륨, 칼슘과 식이섬유의 섭취가 증가하였으며, '백미와 김치 및 어패류' 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에너지와 지질의 섭취가 증가하였고, 탄수화물, 칼륨과 식이섬유의 섭취가 감소하였다. 4) 식사 패턴과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에서 '육류와 술' 패턴의 경우 보정 후 단백질과 나트륨의 섭취가 양의 상관관계였으나, 탄수화물, 식이섬유, 칼슘, 칼륨 등의 섭취는 음의 상관관계였고, '잡곡과 채소 및 과일' 패턴의 경우 단백질, 지질, 나트륨과 티아민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백미와 김치 및 어패류' 패턴과 지질의 섭취는 양의 상관관계였고, 탄수화물, 식이섬유, 칼륨 등의 무기질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5) 식사 요인점수의 사분위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는 '육류와 술' 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복부비만과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졌고, '잡곡과 채소 및 과일' 패턴의 식사를 할수록 고중성지방혈증에 대한 위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식사 패턴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간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육류와 술의 섭취를 줄이고, 잡곡을 위주로 채소와 과일 등을 추가한 균형 잡힌 건강식을 섭취하는 것이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권장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와 관련요인 (Differenc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cial Class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

  • 임경태;권인선;김순영;조영채;남해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89-2198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의 차이를 측정하고, 이러한 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년-2009년) 자료를 이용하여 20-69세 성인 7,992명을 대상으로 성별로 층화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인 EQ-5D index의 사회계층별 분포를 보면, 남자에서는 신중간층(II계층)이 0.96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위 및 중상위계층(I계층)이 0.965점, 노동계층(IV계층) 0.958점, 구중간층(III계층) 0.955점, 하위계층(VI계층) 0.941점, 농촌자영자층(V계층) 0.918점 순이었다. 여자에서는 신중간층이 0.95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상위 및 중상위계층이 0.955점, 노동계층 0.936점, 구중간층 0.932점, 하위계층 0.908점, 농촌자영자층 0.866점 순으로 계층 간 차이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사회계층별 차이에 기여하는 요인은 남성의 경우 만성질환, 업무스트레스, 교육, 소득수준 등이었고, 여성의 경우 이들 변수와 함께 건강행태가 기여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낮은 사회계층일수록 낮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보이며, 교육과 소득수준을 제외하면 만성질환 유병이 사회계층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의 식이섭취실태와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I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Astudy on the dietary intake and health of aged person I -Based on elderly person in Seoul-)

  • 이현옥;염초애;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72-80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intake and that of health by mean of questionarie and interview for male and female old persons living in Seoul area. The contents of study included general aspects, physical status and health, nutrient intake, and food intake frequency. The results from the abov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ge group in the range of 60 to 79 years old was 71%, and the average number of family was 4.9. The educational level was 56% of elderly persons were elementary or middle school graduates . 42.8% of elderly persons had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490,000 to 300,000. 2. The aged average height, weight, and physical index were 164.9cm, 55.8kg and 20.4 in male, 152.7cm, 46.0kg and 20.3 in female which were lower than the Korean average standard. (male; 167.0cm, 61.0kg, female; 156.0cm, 55.0kg) In the degree of health self-consciousness, percentage distribution of poor and very poor was 29% in male, 59% in female. Among the condition of disease, neuralgia was 23.8%, hypertension was 17.2%, diabetes was 5.4%. 3. Average daily calorie intake was $63.9{\sim}70.4%$ for male and $76.4{\sim}83.9%$ for female which were lower than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Protein intake was $42.9{\sim}57.3g$ (which was $72.8{\sim}82.6%$ RDA) for elderly person, the proportion of animal protein to total protein intake were $24.3{\sim}28.2%$($12.9{\sim}16.2g$). Iron, Vitamin $B_1$, $B_2$ Niacin intake exceeded the RDA, but the intake of Calcium, Vitamin C were far less than that of RDA. 4. In the correlations between nutritional intakes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health, economic living situations and educational level as the factors which might influence the condition of nutritional intake was significant(P<0.01). 5. Food intake frequency of meats, fishes, eggs, for average of $1{\sim}2$ days per week were $44.8{\sim}50.5%$, that of milk and milk products for scarecely week were 42.9.% Correlation of food intake frequency was divided three levels-good, fair, poor. Food intake frequency as the factors which might influence the condition of nutritional intake was significant(P<0.01). The results of the survey reveal that many of elderly show evidence of general nutrient intake deficiency, it requires first of all importance of nutrition to improve nutritional level through to promotion of elderly health.

  • PDF

198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주요결과

  • 한국인구보건연구원
    • 한국인구학
    • /
    • 제12권1호
    • /
    • pp.104-142
    • /
    • 1989
  • 도시화 및 산업화는 가족의 애정기능 증대, 친족관계 약화, 공사영역분리,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 및 취업기회 증가, 부부관계의 평등성 추구 등을 통해 이혼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져 왔다. 혼인·이혼신고 자료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970년∼1995년 동안 발생한 한국의 성별, 연령별, 시도별, 교육수준별 이혼율을 비교하였다. 이혼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이혼율, 일반이혼율, 연령별이혼율, 연령표준화 이혼을 전체인구와 유배우인구를 대상으로 각각 산출하였고, 각종 이혼력 지표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1970년∼1995년 동안 이혼율이 3배 증가하였으며, 1995년 현재 유배우인구 천 명당 3.2건의 이혼이 발생하였다. 동기간 동안 24세 이하 연령층의 이혼율이 가장 높았고, 전 연령층에 걸쳐 빠른 속도로 이혼율이 증가하였는데, 증년층의 이혼율 증가 속도가 가장 빨랐고, 남성보다는 여성의 상대적 이혼율 증가 정도가 더 빨랐다. 시도별 이혼율은 전연령층에 걸쳐 서울, 부산, 인천, 대전, 경기, 제주도가 높았고, 강원도와 전라북도 25∼34세 연령층의 이혼율이 높았다. 교육수준별 이혼율이 남자는 초등학교 졸업집단에서, 여자는 고등학교 졸업 집단에서 가장 높았고, 남자는 대졸 이상 집단, 여자는 무학 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경기도 농촌 지역 여성노인의 건강 및 식생활 실태조사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Dietary Intake of Rural Elderly Women in Kyeonggi Province)

  • 이종현;김민선;이연숙;박양자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5-144
    • /
    • 1994
  • 경기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농촌 여성노인 133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 영양소 섭취실태 및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60~69세가 41.4%, 70~79세가 48.1%였고 가족수는 3명 이상이 76.0%, 2명인 경우가 20.9%, 노인 혼자 살고 있는 경우는 13.2%를 차지하였다. 학력 정도는 무학이 72.4%, 국졸 26.8%로 학력수준이 매우 낮음을 보였다. 2. CMI를 이용한 건강상태 조사결과 총45점 만점 중 평균 $29.1\pm6.8$점이었으며, 11~25점이 30.1%, 26~33점이 40.6%, 33~44점이 29.3%였다. CMI 각 항목에 대한 호소율은 관절 및 골격근에 대한 증상이 68.8%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피로감, 정신적 불만, 이비인후계, 신경계의 순이었다. 가족원수, 교육수준 및 영농참여에 따른 CMI값은 큰 차이가 없었고, 연령의 경우 65세 미만에서는 CMI값이 낮은 경우가 44.0%로 가장 많았으며, 65~79는 중간상태가 가장 많은 반면 80세 이상에서는 CMI값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높거나 낮은 경우에 중간인 경우보다 CMI가 낮았으며 조사대상자가 스스로 느끼는 계층의식과의 관계에서는 잘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못산다고 생각하는 경우보다 약간 높은 CMI값을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thiamin과 ascorbic acid를 제외하고는 모두 권장량에 미달되었다. 에너지는 권장량의 84.1%, 단백질은 67.0%, riboflavin은 90.1%를 섭취하고 있었으며, vitamin A는 권장량의 49.1%로 제일 낮은 섭취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칼슘은 권장량의 55.1%를 섭취하였다. 영양소 섭취량과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독신인 경우에 에너지, 단백질, ascorbic acid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CMI값을 low, middle, high의 3 group으로 나누어 영양소 섭취량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칼슘을 제외한 다른 영양소들에서 low group과 다른 두 group사이에 유의적인 차이 (p<0.05)를 보였으며, riboflavin은 low group과 middle group 사이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의 CMI값과 영양소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는 칼슘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p<0.001로 높게 나타났다. 4. 식습관 조사결과 식사의 규칙성은 응답자의 84.8%가 항상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식을 하는 경우의 해당 끼니는 점심 52.4%, 아침 28.6%, 저녁 19.0%의 순이었고 결식을 하는 이유로는 식욕이 없어서가 40.9%로 가장 많았다. 음주율은 28.8%로 주로 막걸리, 소주 위주였으며 흡연정도는 19.2%였다. 음식의 짠맛에 대한 기호도는 싱겁게 먹거나(43.4%), 약간 싱겁게 먹는 것(25.6%)으로 나타났으며 생선과 육류에 대한 선호도는 육류보다 생선을 약간 더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가지 모두를 섭취하지 않는 사람도 23.5%나 차지하여 단백질 식품의 질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양제 복용은 대상자의 38.3%가 실시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농촌여성노인이 가지고 있는 건강문제 중 관절 및 골격근 문제가 가장 심각하며, 영양소 섭취량 중 retinol, calcium, protein의 섭취가 현저히 부족하였다. 일반적인 특성과 식습관은 건강상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CMI 값과 영양소 섭취량과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독신 여성노인에 있어서 영양소 섭취량이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는 농촌여성 노인의 건강상태 및 영양소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본다.

  • PDF

부산·울산지역 성인학습자들의 생애능력개발에 대한 인식 분석 (A Study on Adult Learners' Perception on the Development of Life Competencies in Busan and Ulsan)

  • 박종운;윤형근;강버들;원효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60-16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and analyze the realities and needs of life long education, the necessity and perception of life competencies and the difference of competencies on experiences of education to support life long education system for adult learners in Busan and Ulsan.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34 adult learners living in Busan and Ul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ult learners perceived that life long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to adults and appreciated an educational institution being managed by government. Second, adult learners thought that basic literacy competency and basic work competency were important and late fifties perceived that professional job is in important. Third, adult learners perceived that self directed learning and capacity of management are poor competencies. And they perceived that the government support adult learners who has economical difficulty. Forth, adult learners perceived that it was normal that 'professional job' and 'job transition abilities', 'women', 'the middle aged and old','the unemployed' and' low incomers' perceived that they have poor level.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hi}^2$ test for determin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experience in lifelong learning among adult learner groups divided by their individual backgrou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 few competencies(p<.05, p<.01).

국내 수도권 중·노년층의 한방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A Prediction Model on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Late Adulthood-Elderly)

  • 김수경;최형욱;우원홍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2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was a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o identify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build a predictive model and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1996) and related literature reviews. Method : A hypothetical model was consisted of 8 theoretical variables and 27 measured variables. Related variables includ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Behavior-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and Behavioral outcom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802 middle and old-aged people living in Seoul and Gyeong gi province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by face to face interviews between February and March, 2014. SAS ver. 9.1 and AMOS 18.0 program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 Difference in the verification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lder people who are male, with higher economic status, no chronic disease or with diabetes, no smoking, no drinking, with more exercis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but education level has no difference. 15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16 paths on the direct effect, 6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9 paths on the indirect effect in the hypothetical model. The greatest impact variable on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perceived self-esteem. Also,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previous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behavior, community environment, perceived benefit and the lower perceived barri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clusion : This research model has an empirical validity as the variables of this study verified their effects and significances.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behavior can be increased and the utilization will be higher when seeking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lan. Also, a strategy can be utilized the strategy for Korean medicine health promotion behavior.

옷감 구매행동에 있어서 지각된 위험 (perceived Risk)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urchasing Behavior of Textile and Perceived Risk.)

  • 남상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1-31
    • /
    • 1988
  • The main problem of consumer behavior is choice since the outcome of me of a choice can only be known in the future, consumers are forced to deal with the risks of und\certainty. So, perception of risk is pivotal aspect of consumer behavio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urchasing behavior of textile and perceived risk. Data were obtained from 276 housewives. ANOVA, x2-test were employ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 were : 1. general features of textile purchase behavior are as follows. Blend wools and pure wool products are prefered. Fall is the major season in purchasing textile. Wholesalers, department stores and agent stores are prefered. Purchasing decision making process independent upon not only textile itself but the practice value of the textile. Purchasing textile, married young women depend on outward shape of the textile, middle and old aged groups depend on the economic value of the textile and the credibility of the stores. 2. Perception of risk is relatively high in the preference of store, color/design, and psycological uncertainty. But the perceived risks is relatively low in brand, price and social credibility. 3.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rate of risk and the sensitiveness of the consumer. In addition, there ar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rate and the preference of shop, brand, and pric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design, and sociopsyco-logical risk and demographic variables. 4. The perceived risk of consumer would be a key stone to grasp the consumer behavior. The product company needs to provide full information which could reduce the perceived risk of consumer. there attitude would help for the mutual interests. In the future research, we need to develop the precise methods for finding variables on the perceived risk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purchase inten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