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satellite Marker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35초

말에서 개체식별 및 친자확인을 위한 ISAG Microsatellite Marker의 유용성 및 표준화 (Standardization and Usefulness of ISAG Microsatellite Markers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and Parentage Verification in Horse Breeds)

  • 권도연;조길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0-225
    • /
    • 2009
  • 말에서 개체식별 및 친자확인을 위한 ISAG microsatellite marker의 적용을 위한 유용성 및 표준화를 위해 더러브렛종 6두를 포함한 다양한 품종의 20두를 대상으로 22개의 ISAG microsatellite marker를 분석한 결과 대립유전자의 수는 4개에서 8개로 분포하였고 더러브렛종에서 출현하는 대립유전자의 대부분이 비더러브렛종에서도 출현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ISAG microsatellte marker를 제주말의 혈통등록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과 일본인에서 1번 염색체에 부착되는 microsatellite marker의 특징 (Characterization of microsatellite markers covering chromosome 1 in the Korean and Japanese populations)

  • 이유진;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37-543
    • /
    • 2004
  • Microsatellite market는 유전연관분석을 위한 매우 유용한 유전표지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market들은 서양인의 정보를 이응하고 있으므로 다른 종족에서 사용할 때는 종족간에 존재할 수 있는 유전 변이의 현저한 차이를 검증해야 한다. 한국인과 일본인 집단에서 종족간 유전 변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 96명의 비 혈연관계의 한국인과 일본인 개체들에서 DNA를 채취하였다 그리고 microsatellite set(ABI PRISM Linkage Mapping Set- HDS,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을 이용하여 1번 인간 염색체 전 부위에 걸쳐 51개의 microsatellite marker들을 배열하고 부착된 marker들의 위치를 분석하여 대립유전자 빈도와 이형질성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과 서양인 집단 사이에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나 한국인과 일본인 집단 사이에서는 매우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전 연관 연구에 앞서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microsatellite marker에 관한 광범위한 검증을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한국인과 일본인 집단 사이에서 유사하게 나타난 대립유전자 빈도와 이 형질성은 두 민족간의 동질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두 민족을 대상으로 한 1번 인간염색체와 관련된 유전 질환의 유전 연관 연구를 시행할 때 동일한 microsatellite marker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고양이의 개체식별을 위한 microsatellite marker 분석 (Analysis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Forensic Identification in cats)

  • 조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2-386
    • /
    • 2006
  • 고양이의 혈통 등록을 위한 개체식별 및 친자판정을 목적으로 microsatellite DNA다형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고양이 20두를 대상으로 microsatellite DNA다형의 대립유전자를 조사한 본 연구에서는 관찰된 대립유전자의 수는 $3{\sim}8$개 (평균 5.5개)이며 marker별 대립유전자는 FCA005 142bp (0.3750), FCA026 148 bp (0.5500), FCA075 136 bp (0.5000), FCA105 191 bp (0.4250), FCA224 156 bp (0.7750), FCA229 166 bp (0.6500), FCA240 163 bp (0.3000), FCA293 185 bp (0.5000), FCA453 186 bp (0.5500), FCA651 134 bp (0.6750) 대립유전자가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Expected heterozygosity와 PIC는 각각 $0.390{\sim}0.827$(평균 0.639), $0.357{\sim}0.780$(평균 0.581)으로 나타났고 FCA240의 marker는 PIC value가 0.70 이상이었다. 또한 PE는 $0.076{\sim}0.444$으로서 10개 marker를 조합시 total PE는 0.9441로 관찰되었다. 10개의 microsatellite DNA다형 좌위를 가지고 친자관계를 분석한 결과 8두 중에서 1두(12.50%)가 모순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국내에서 사육중인 고양이의 개체식별 및 친자판정에 microsatellite marker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한국 보리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Korean Barley (Hordeum vulgare L.)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권용삼;홍지화;최근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2-329
    • /
    • 2011
  • 국내 육성된 보리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microsatellite marker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리 70품종을 20개의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대립유전자의 수는 2~9개로 비교적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전체 124개의 대립유전자가 분석되었다. PIC 값은 0.498~0.882 범위에 속하였으며 평균값은 0.734로 나타났다.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작성된 보리70품종의 품종간 유전적 거리는 0.10~0.91의 범위로 나타났고, 유사도 지수 0.15를 기준으로 할 때 70개 품종은 2조 보리 그룹과 6조 보리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공시 품종 모두 microsatellite marker의 genotype에 의해 뚜렷이 구분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보리의 유전적 다양성 및 품종식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ssociation between Microsatellite DNA Marker of Leptin Gene and Carcass Traits in Korean Cattle

  • Chung Eui-Ryong;Chung Ku-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6-31
    • /
    • 2005
  • Leptin, the product of the obesity (ob) gene, is synthesized in adipocytes or fat cells and has been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food intake, energy balance and body composition in mammals. Therefore, the leptin gene could be a candidate gene controlling fat deposition, meat quality and carcass traits in cattle. In this study the microsatellite genotypes for leptin gene were determined and their effects on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were estimated in Korean cattle. Six different microsatellite alleles within leptin gene were identified and gene frequencies of 173, 177, 184, 186, 190 and 192 bp alleles were 0.012, 0.308, 0.067, 0.260, 0.342 and 0.016, respectively. The microsatellite marker of the leptin gene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carcass percentage (CP) and marbling score (MS). Animals with genotypes 192/192 and 177/184 had higher CP than animals with other genotypes. Animals with genotypes 184/192 and 177/184 had higher MS compared with animals with other genotypes. Thu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177, 184 and 192 bp alleles may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cass percentage and intramuscular fat levels. No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microsatellite genotypes of the leptin gene and other carcass traits such as carcass weight (CW), backfat thickness (BF) and M. longissimus dorsi area (LDA). In conclusion, the microsatellite markers of the leptin gene may be useful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of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Korean cattle.

A Major DNA marker Mining of ILST035 microsatellite loci in Hanwoo Chromosome 6

  • 이제영;여정수;김재우;이용원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3권2호
    • /
    • pp.97-104
    • /
    • 2002
  • K-Means modelling has been tried for finding major DNA marker of ILST035 microsatellite loci in Hanwoo Chromosome 6 linkage map. Major DNA markers are obtained from the ILST035 microsatellite through quantitative trait loci(QTL) and data mining modelling.

  • PDF

Genetic Diversity of Barley Cultivars as Revealed by SSR Masker

  • Kim, Hong-Sik;Park, Kwang-Geun;Baek, Seong-Bum;Suh, Sae-Jung;Nam, Jung-Hy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79-383
    • /
    • 2002
  • Allelic diversity of 44 microsatellite marker loci originated from the coding regions of specific genes or the non-coding regions of barley genome was analyzed for 19 barley genotypes. Multi-allelic variation was observed at the most of marker loci except for HVM13, HVM15, HVM22, and HVM64. The number of different alleles ranged from 2 to 12 with a mean of 4.0 alleles per micro-satellite. Twenty-one alleles derived from 10 marker loci are specific for certain genotypes. The level of polymorphism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based on the band pattern frequencies among genotypes was relatively high at the several loci such as HVM3, HVM5, HVM14, HVM36, HVM62 and HVM67. In the cluster analysis using genetic similarity matrix calculated from microsatellite-derived DNA profiles, two major groups were classified and the spike-row type was a major factor for clustering. Correlation between genetic similarity matrices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s and pedigree data was highly significant ($r=0.57^{**}$), but these two parameters were moderately associated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RAPD-based genetic similarity matrix was more highly associated with microsatellite-based genetic similarity ($r=0.63^{**}$) than coefficient of parentage.

경주개(동경이)의 혈통확인을 위한 microsatellite DNA 다형성 분석 (Analysis of Microsatellite DNA Polymorphisms for Pedigree Verification in Kyungju Dog(Dongkyung-i).)

  • 이은우;최석규;조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02-906
    • /
    • 2008
  • 경주지방에서 사육 중인 경주개(동경이) 51두를 대상으로 8개의 microsatellite marker을 이용하여 DNA형을 분석한 결과 대립 유전자 수는 $4{\sim}12$개(평균 8.5개)로 검출되었으며 Expected heterozygosit와 PIC는 각각 $0.6162{\sim}0.8746$(평균 0.7587)와 $0.5461{\sim}0.8512$(평균 0.7167)으로 나타났고, PEZ3, PEZ6, PEZ12, FHC2054 marker는 PIC가 0.7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들 marker는 향후 동경이의 개체식별 및 친자확인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공시재료 51두 중 사육가에 의해 혈통이 알려진 5두를 대상으로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혈통을 분석한 결과 3두에서 현재 가계도와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서 동경이에 대한 체계적인 혈통 정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량의 쌀 시료 분석을 위한 DNA 추출법 (High-Throughput DNA Extraction Method for Marker Analysis in Rice Grain)

  • 최영덕;이해광;이윤숙;윤정희;김수정;박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69-273
    • /
    • 2006
  • The study of molecular markers to improve crops largely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rapid and of efficient DNA extraction methods. Here we developed a cheap and convenient method to isolate genomic DNA from rice grains suitable for large-scale microsatellite analysis. We confirmed that the isolated rice DNA is suitable for PCR analysis with STS marker and SNP marker, as well as microsatellite marker. Further, we established high-throughput DNA extraction system in a 96-well plate format which make it possible high-throughput analysis of microsatellite markers with rice grains. This implies that the new method could be a useful tool for other types of marker analysis in large scale.

Characterization of Indian Riverine Buffaloes by Microsatellite Markers

  • Sukla, Soumi;Yadav, B.R.;Bhattacharya, T.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1호
    • /
    • pp.1556-1560
    • /
    • 2006
  • Six breeds of riverine buffalo viz. Murrah, Mehsana, Jaffrabadi, Nagpuri, Nili-Ravi and Bhadawari were characterized using FAO-recommended cattle specific microsatellite markers. Among the total of twenty microsatellite markers screened to explore genomic variability of six buffalo breeds, only ten were polymorphic in nature. Four out of ten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were rated as informative. The numbers of alleles detected ranged from 2 to 7, with a mean of $5.5{\pm}0.07$ per microsatellite marker. The most polymorphic marker was BM1818 with a total of 7 alleles present at this locus. One breed specific marker was found in each of Mehsana (BM1818) and Bhadawari (ILSTS030) and four were found in Jaffarabadi (BM1818, ILSTS030, ILSTS054 and ILSTS011). Genetic distance (Ds) between the Mehsana and Bhadawari breed was the maximum (0.29), followed by Murrah and Mehsana (0.27), and Nili-Ravi and Bhadawari (0.26). The lowest Ds was found between the Jaffrabadi and Nagpuri breeds which was only 0.05. The highest divergence time of 1318 years was established between Mehsana and Bhadawari breeds whereas it was found to be lowest (272 years) between the Jaffrabadi and Nagpuri br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