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ological population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9초

사라리 축우폐사의 원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etiological agents of sudden death in cattle at the region of Sarari in Korea)

  • 정종식;박노찬;김정화;김영환;조광현;조민희;손재권;김영욱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5-347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clinicopathological, microbiological, pathological observations and other tests from sudden death in feedlot cattle at the region of Sarari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4 to 1999. Massive or sporadic occurrence of sudden death has been observed in 101 heads of 47 farmhouse. There were 20.8% in spring, 29.7% in summer, 16.8% in autumn, 32.7% in winter, and 62.3% in reproductive, 27.7% in growing, 5.0% in beef cattle, 5.0% in calf in prevalence of sudden death in cattle. Enterotoxemia(88.0%), pneumonia(3.5%), intestinal diarrhea(3.5%), liver abscess(1.5%) and indigestion(1.5%) were detected from 67 heads of sudden death cattle. In clinical observations, cattle were generally died of sudden recumbency with convulsions followed anorexia, depression, ataxia, muscular tremor, tachycardia and dyspnea without any premonitory symptoms. Epidemiological surveys showed no evidence that other factors such as pesticide, insecticide, fertilizer, chemical drug3 and those of others caused sudden death. Macroscopically, there were coagulation disorders of blood, congestion, edema and haemorrhage of lung, congestion and haemorrhages, watery and blood-tinged contents of small intestine. Histopathologically, we observed pulmonary congestion and haemorrhage, necrotic intestinal mucosa accompanied with haemorrhage and congestion, and also increased globule leukocytes between bronchial epithelia with mild pneumonia. Clinicopathologically, only elevation of blood gluco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was detected. Magnesium and calcium deficiency were not detected, but parasites were detected highly in normal and dead cattles. Microbiologically, Clostridium(Cl) pefringens were detected from small intestinal contents of 94% (63/67) of sudden death cattle and 51%(51/101) of slaughter cattle, and the population were $10^{6-8}$/cfu/$m\ell$ after 16~32 hours. Consequently, it was proved that the cause of death in cattle was enterotoxemia. Pathogenic test of mouse and goat inoculated with Cl perfringens type A toxin has been demonstrated as similar observation to natural cases. I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mpicillin, bacitracin, polymycin, cephalothin, penicillin, choramphenicol, erythromycin, tetracycline were highly susceptible, and amikacin, gentamicin, kanamycin, neomycin, streptomycin, sulfamethoxine, sulfamethazine were resistant. Cl perfringens were resisted for 4 hours in 3% formalin, 20 minutes in 4% phenol, 20 minutes in 0.5% mercuric chloride and 40 minutes in 0.1% sodium hydroxide, respectively. The useful method to prevent from occurrance of enterotoxemia in feedlot cattle was a dietary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and miyari acid.

  • PDF

Trichloroethylene으로 오염된 지하수 제거공정의 미생물 다양성 및 분리균주 Pseudomonas sp. DHC8의 특성 (Microbial Diversity of the Trichloroethylene Contaminated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nd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p. DHC8)

  • 남지현;신지혜;권기욱;배우근;이동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36-342
    • /
    • 2013
  •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richloroethylene (TCE)은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일으키며, 암 유발물질로 환경에서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고정화 담체를 이용한 TCE로 오염된 지하수 처리 시스템의 세균 군집구조를 조사하고, 우점종을 분리 및 동정하고 TCE 제거특성을 확인하였다. TCE로 오염된 지하수 처리공정의 세균군집을 16S rRNA 유전자 라이브러리의 염기서열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주요 개체군은 BTEX 분해세균으로 알려진 Pseudomonas 속이었으며 Pseudomonas putida 그룹이 가장 우점하였다. Pseudomonas putida 그룹의 우점은 높은 toluene과 TCE의 농도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TCE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 반응기에서 toluene과 TCE 분해 세균을 분리 배양하였으며 Pseudomonas sp. DHC8로 명명하였다. 형태학적 특징, 생리 생화학적 특징,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 결과 DHC8 균주는 P. putida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seudomonas sp. DHC8을 이용하여 TCE (0.83 mg/L)와 toluene (60.61 mg/L)에 대해 분해실험을 실시하였을 때 12.5시간 동안 TCE는 72.3%, toluene은 100.0% 제거되었다. 또한, TCE와 toluene의 제거속도는 각각 0.02 ${\mu}mol/g$-DCW/h와 2.89 ${\mu}mol/g$-DCW/h였다. 본 연구 결과는 TCE의 생물정화를 위한 반응기의 최대 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압축공기 분사시스템을 이용한 유류오염 해안의 효율적 정화 및 이에 따른 미생물군집분석 (Efficient Clean-up of Oil Spilled Shorelines Using the Compressed Air Jet System and Concomitant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 장재수;김경희;이재식;;고성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3-359
    • /
    • 2013
  • 본 연구의 목표는 압축공기분사시스템을 이용하여 원유로 유출이 된 해안을 정화함에 있어서 그 정화효율성과 정화 전후의 총석유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농도 및 미생물군집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그 최적 정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압축공기제트시스템을 2-5회 연속적용 시 오염지의 TPH가 약 66%까지 저감이 된 반면에 대조구인 해수를 펌핑한 경우에는 40% 정도의 저감효과가 관찰이 되었다. 압축공기의 분사 후 PCR-DGGE에 의한 미생물군집분석 결과에서는 유류분해미생물의 군집은 확인이 되지 않았다. 이는 정화에 의한 낮은 TPH 농도(약 100 mg/kg 수준, 탄소원), 처리환경에 내재적인 제한적인 질소 및 인의 농도에 기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잔여분의 유류는 에어제트시스템을 적용시 제한적 영양염류(질소 및 인 등)를 적절한 방식과 농도로 투여할 경우 거의 완전하게 제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본 기술은 고농도의 유류 및 유기물로 오염된 다양한 수질환경 및 토양환경의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정화에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청 인근지역 어린이, 청소년의 엽산 섭취량과 급원식품 - 일부 식품의 엽산 분석으로 수정한 데이터베이스 활용 (Dietary folate intake and food sourc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hungcheong area - Using nutrient database revised by measured folate in selected foods)

  • 김지현;이은정;현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94-1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엽산의 급원식품으로 보고된 식품 51종의 엽산을 분석하고, 값에 차이가 많이 있는 경우 엽산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여, 수정한 데이터베이스로 어린이와 청소년의 엽산 섭취량을 추산하고 급원식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대전, 충청도 및 전라도에 거주하는 만 20세 미만 567명으로 비연속 2일 동안의 24시간 회상법에 의해 식품섭취조사를 실시하였다. 51종의 식품을 새롭게 분석하여 현재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 결과 현재 값의 18.7%~322.9%의 결과를 얻었다. 기존의 값이 실험한 두 값 사이에 있거나, 기존값과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수정하지 않았으며, 그 외에 차이가 있는 40종은 새로운 분석값으로 수정하였다. 수정한 데이터베이스로 대상자들의 엽산 평균섭취량을 성별, 연령별로 나누어 계산한 결과 모든 연령층에서 평균 엽산 섭취량이 권장섭취량보다 높았으나 12~14세 남자와 12~19세 여자의 평균 엽산 섭취량은 권장섭취량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란, 배추김치, 쌀, 귤은 모든 연령층에서 엽산 급원식품의 10위 안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급원식품 51종만을 분석하였으나 한국인들이 자주 먹는 식품의 조리 후 엽산 함량을 분석하여 보완해 나감으로써 더 정확한 엽산 섭취량을 추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12~19세 여자의 평균 엽산 섭취량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엽산은 성장기 및 가임여성에게 특히 중요한 비타민으로써 이들을 위한 엽산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육에 오염된 미생물의 감마선 살균 (Radurization of the Microorganisms Contaminated in Beef)

  • 육홍선;김성;이경행;김영지;김정옥;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2-218
    • /
    • 1999
  • 우육의 사태부위를 대상으로 포장방법(함기, 진공), 저장온도(-20, 4, $25^{\circ}C$) 및 저장기간에 따른 오염미생물의 감마선 조사(1, 3, 5 kGy)에 의한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시험 우육의 초기 미생물 오염도는 호기성 전세균 약 $8.0{\sim}10^2\;CFU/g$, 총 젖산균 약 $2.0{\times}10^2\;CFU/g$, 효모 약 $8.0{\times}10^1\;CFU/g$, Pseudomonas sp. 약 $6.0{\times}10^2\;CFU/g$이었고,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군도 약 $7.0{\times}10^2\;CFU/g$으로 높은 초기 오염도를 보여 적절한 위생화 처리가 요구되었다. 감마선 살균효과에서 5 kGy 내외의 감마선 조사와 $4^{\circ}C$이하의 냉장 및 냉동저장으로 부패미생물을 살균 또는 감균시켜 저장 기간을 크게 연장시켰고, 특히 병원성 미생물의 완전 사멸 및 생육억제로 위생화 처리가 가능하였다. 한편 함기 및 진공 포장구간의 미생물 생육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우유와 즉석섭취 메추리알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지방과 저장온도의 영향 (Effect of Fat Content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Survival Kinetic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Milk and Ready to Eat (RTE) Quail Eggs)

  • 고영미;홍수현;박근철;나유진;문진산;윤기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03-612
    • /
    • 2014
  • According to the microbiological standard, Staphylococcus au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Listeria monocytogenes should not be detected in milk and egg products in Korea. Refrigerated food such as milk must be kept under $10^{\circ}C$ at retail markets. However, temperature abuse of refrigerated foods at such markets is often observed. We compared the growth and survival kinetics of S. aureus and C. perfringens at 10 and $15^{\circ}C$, and the growth kinetics of L. monocytogenes at 4 and $10^{\circ}C$ in whole and skim milk and ready-to-eat (RTE) quail eggs to evaluate their growth possibilities at retail markets.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the level of S. aureus reached the maximum level ($10^8-10^9CFU/ml$) in whole milk, non-fat milk and RTE quail eggs within the expiration date. Even low contamination levels of S. aureus (10 CFU/mL) grew rapidly in milk and quail eggs to reach the maximum level within the shelf life. Survival of C. perfringens in whole milk was greater than that in non-fat milk, indicating that the fat content in milk influences the survival of C. perfringens. For L. monocytogenes, the population in milk increased by 0.5-1 log CFU/mL at $4^{\circ}C$, while the populations reached the maximum level at $10^{\circ}C$ within the expiration date, regardless of initial contamination levels. In quail eggs, L. monocytogenes grew to the maximum level within the expiration date (60 days) at both temperatures. S. aureus and L. monocytogenes must be controlled to be negative, and proper temperature management should be emphasized at retail markets to protect the consumer. Since C. perfringens did not grow in milk and RTE quail eggs, there is no risk due to the growth of C. perfringens in these products at retail markets.

단기 숙성 생햄에서의 식중독균의 오염과 저장 중 미생물의 성장 변화 (Determination of the Prevalence of Pathogenic Bacteria and the Changes in Microbiological Growth Pattern of Cured and Short-Ripened Raw Ham During Storage)

  • 이근택;이연규;이정표;이정우;손세광;최석호;이승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7-131
    • /
    • 2007
  • 본 연구는 단기 숙성형 생햄의 식중독균 오염 상태와 냉장 및 실온 저장 조건 중 미생물수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생햄의 등심 원료육에서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총균수는 $3.11\;log\;CFU/cm^2$이었고 유산균, Pseudomonas spp., Clostridium perfringens 및 효모와 곰팡이는 모두 2 log 미만이었으나 Enterobacteriaceae가 3.11 log로서 주종균이었다. 생햄 원료 및 10과 $25^{\circ}C$에서 저장 된 제품에서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 O157:H7 등 6가지 식중독균은 발견되지 않았다. 생햄의 초기 총균수는 3.06 log CFU/g이었으며 90일 후에도 균수 증가는 미미하여 $10^{\circ}C$$25^{\circ}C$에서 각각 4.6과 4.69 log CFU/g이었다. 생햄의 저장 중 주 종균은 유산균과 Staphylococcus균이었다.

요구르트가 신선계육의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biotic Yogurt on the Microbial Quality of Fresh Chicken Meat during Cold Storage)

  • 김국경;엄석진;임중현;이경민;유석진;김현욱;김근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9-277
    • /
    • 2009
  • 이 연구는 기능성 요구르트를 이용한 신선계육의 포장이 냉장유통조건에서 닭고기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그리고 관능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닭고기의 가슴살, 정육, 절단육을 기능성 요구르트와 함께 폴리에칠렌 백에 포장한 다음,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0, 2, 4, 7일 후에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요구르트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기능성 요구르트를 첨가한 포장에서 저장기간을 통하여 총미생물수와 대장균군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의 경우에는 $10^{\circ}C$에서 2일 저장 후에 미생물학적 또는 관능적인 품질 기준의 한계에 도달하였으나, 기능성 요구르트를 첨가한 포장에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4일 후에도 신선육의 품질기준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에 의하면 기능성 요구르트를 이용한 신선계육의 포장방법은 냉장유통 되는 닭고기의 총세균수와 대장균수를 현저히 낮추어줌으로써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불 발생 후 토양 미생물의 밀도 변화 (Change of Soil Microbial Populations after Forest Fire)

  • 박동진;육연수;김종진;이상화;김창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8-81
    • /
    • 1999
  • 1997년 10월 21일에 발생한 지리산 국립공원의 산불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 미생물의 분포 밀도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산불 발생 직후 표층, 지하 5cm, 10cm, 20cm, 30cm의 각 깊이에서 토양 미생물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표층과 지하 5cm 깊이에 분포하는 세균의 밀도는 산불이 없었던 인근 지역의 $10^6$CFU/g soil 수준에 비해 $10^2$ CFU/g soi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방선균은 표층에서 완전히 소멸되었으며 지하 5cm 깊이에서는 대조구의 $10^6$CFU/g soil 수준에 비해 낮은 $10^3$ CFU/g soil 수준이었다. 곰팡이는 표층과 지하 5cm 깊이 모두에서 완전히 소멸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하 10cm 이상의 깊이에 분포하는 미생물들의 밀도는 전혀 감소되지 않았다. 또한 산불 발생 후 토양 미생물의 분포 회복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표층과 지하 5cm 깊이에서 경시적으로 밀도를 조사하였다. 산불 발생 2개월만에 미생물 밀도의 대부분은 크게 증가하여 산불이 없었던 인근 지역과 비슷하였으나토양 표층에 분포하는 방선균만은 산불 발생 4개월 후에도 여전히 대조구의 $10^6$ CFU/g soil 수준에 비해 낮은 $10^4$CFU/g soil 수준을 나타내었다.

  • PDF

페놀이 첨가된 생태계에서 세균 군집구조 변화의 분석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Community in the Ecosystem Amended with Phenol)

  • 김진복;김치경;안태석;송홍규;이동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2-79
    • /
    • 2001
  • 폐수 처리장의 방류수에 페놀을 첨가한 후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방법을 이용하여 세균군집의 구조와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료로부터 얻은 16S rRNA gene은 eubacterial primer로 증폭하였으며, 한 primer는 5'말단에 biotin을 부착하였다. 증폭된 product는 HaeIII와 AluI으로 각각 절단하였고, 절단된 단편 중에서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T-RF)를 streptavidin paramagnetic particle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T-RF는 전기영동과 silver staining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실험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 균주 10 균주를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균주마다 특징적인 T-RF를 가지는 것과 그 크기가 Ribosomal database project (RDP) 자료로부터 계산된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대조군으로 사용된 페놀을 첨가하지 않은 방류수 시료에서는 Acinetobacter, Bacillus, Pseudomonas 속 등이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었고, 페놀 (최종농도 250mg.$l^{-1}$)을 첨가한 방류수 시료에서는 Acinetobacter, Comamonas, Cytophaga, Pseudomonas 속 등이 우점종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Gel에서 분리한 Acinetobacter와 Cytophaga에 해당되는 T-RF는 재증폭 및 염기 서열 분석이 가능하였는데, database의 염기서열과 비교한 결과 Acinetobacter junii와 유연관계가 가깝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