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water quality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7초

실내오염물질 정화를 위한 수생식물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tential of Aquatic Plants to Remove Indoor Air Pollutants)

  • 박소영;김정;장영기;성기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9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quatic plant as a botanical air purification on the indoor air pollution by formaldehyde. Three aquatic plants such as Eichhornia crassipes, Cyperus alternifolius, Echinodorus cordifoliu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y were placed in the artificially contaminated chamber under laboratory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ree plants could remove the formaldehyde from the contaminated air system effectively. Reduction in the formaldehyde levels by Eichhornia crassipes, which is the floating plant,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factors of plant and water. Reduction in the formaldehyde levels by Cyperus helferi and Echinodorus cordifolius, which were emergent plant, was due to the complex effect of plant, soil medium and water. In aquatic plant system, dissolution, microbial degradation in rhizosphere, uptake through root and shoot, sorption to soil and shoot, hydrolysis are known as the main mechanisms of water soluble pollutants in the given system. The advantages of indoor air quality control system using aquatic plants can be; 1) various purifying mechanisms than foliage plants, 2) effective for decontamination of water soluble pollutants; 3) easy for maintenance; 4) diverse application potential. Therefore it was suggested from the results that indoor air control system of aquatic plants should be more effective for reduc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시화호 인공습지의 수질정화 및 암모니아 산화균의 분포 연구 (The Efficacy of Water Pur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Ammonia Oxidizing Bacteria in Shihwa Constructed Wetland)

  • 김세윤;김미순;이성희;임미영;이영민;김지열;고광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8
    • /
    • 2010
  • Water quality and the distribution of ammonia oxidizing bacteria were characterized in constructed wetland of Shihwa lake. Both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fecal indicator microorganisms including total coliforms, E.coli, Enterococcus spp. were measured. In addition, denaturant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was carried out after PCR amplification of amoA gene from input, output, and wetland sites of the Banwol, Donghwa, and Samhwa stream in Shihwa lake area.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in proper range for typical nitrifying bacteria to grow and perform their biological activities. Average concentrations of fecal indicator microorganisms of wetland samples were lower than those of input sit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icrobial water quality improved by the process of constructed wetland. According to phylogenetic information obtained from DGGE from study sites, distribution of nitrifying bacteria from each of input, output, and wetland were generally distinctive one another. In addition, distribution of nitrifying bacteria between Banwol and Donghwa streams showed higher similarity (52.6%) than this of Samhwa stream (15.2%).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haracteristics of ammonia oxidizing bacteria in Samhwa were uniqu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Banwol and Donghwa stream.

유기산과 물 세척이 돈육 등심의 육질 및 표면 대장균 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cid and water washing on meat quality and surface population of E. coli of pork loin)

  • 설국환;김현욱;장운기;오미화;박범영;함준상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69-575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equencial washing of organic acid and distilled water on meat quality and the population of Escherichia coli of pork loin during cold storage. E. coli ATCC25922 was inoculated on the surface of sliced pork loin and 50 mL of 1% or 2% of organic acid and the same amount of distilled water was sprayed on the surface of pork loin. Then,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pork loin were analyzed during cold storage. During storage period, lightness, yellowness and lipid oxidati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was higher than those of not treated control. However, the population of E. coli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formic acid and distilled water sprayed pork loin sample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sidered that application of combination of washing of formic acid and water in the washing step of pig slaughter may be helpful to control the proliferation of E. coli.

블랜칭 처리가 비트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anching Treatm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eetroots)

  • 최해연;김수빈;고은성;추지혜;전희경;최진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34-44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eetroots after blanching. Beetroots were blanched in distilled water, 2% NaCl water, and 2% citric acid water at 100℃ for 3 minutes (the blanched group).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st in the control (CON) at 91.30% (p<0.05), and cooking loss was lowest in the water-blanched beetroot (BW) at 5.39% (p<0.01). Chromaticity decreased after blanching compared to CON (p<0.001). Total polyphenol contents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decreased after blanching,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rue retention (TR) of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 BW had the highest with TPC TR 91.22% and TFC TR 70.51%. DPPH and ABTS+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highest in the CON, and in the blanching group BW was highest scavenging activity. The total number of microorganisms in the CON group was 2.97 log CFU/g, whereas no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in the blanched groups. Therefore, this study, blanching in water without additives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preserving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d nutrients in beetroots and inhibiting microbial growth.

저온처리 전해산화수로 세정한 쑥갓과 케일의 저장중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Crown Daisy and Kale Washed with Cooled Electrolyzed Acid Water during Storage)

  • 정승원;정진웅;이승현;박노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17-423
    • /
    • 1999
  • 쑥갓과 케일을 시료 중량 50배의 5$^{\circ}C$로 냉각한 전해산화수에 2분 3회 다단침지 처리한 후 저장중의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쑥갓의 경우 총균수는 무처리 쑥갓에 비해 평균 1/130, 대장균군수는 평균 1/1,170, 케일의 경우 총균수는 무처리 케일에 비해 평균 1/870, 대장균구수는 평균 1/47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1$0^{\circ}C$ 저장 6일후 부터는 무처리, 수도수 침지 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저장중 중량감소율은 쑥갓과 케일 모두 저장 3일까지는 무처리구에 비해 낮은 감소율을, 그리고 저장 3일 이후부터 무처리구에 비해 다소 높은 중량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폐기율은 전해산화수로 침지한 쑥갓과 케일이 저장 6일까지는 무처리와 수도수 침지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케일의 경우 rupture srenth 는 저장 초기에는 무처리와 수도수 침지 처리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기간 동안에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중 색도는 쑥갓과 케일 모두 저장 초기부터 무처리구보다는 수도수 침지구가, 수도수 침지구보다는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다소 높은 L, b값과 낮은 a값을 나타내었으며, 클로로필 함량 변화도 쑥갓과 케일 모두 침지 직후에는 전해 산화수로 침지한 처리구가 다소 적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3일부터 무처리구, 수도수처리구, 전해산화수 처리구의 순으로 감소속도가 빨랐다. 저장기간 중 관능적인 특성도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쑥갓과 케일 모두 변색, 조위, 폐기율, 종합적 기호도에서 무처리와 수도수 처리구에 비해 다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 PDF

Evaluation of raw wastewater characteristic and effluent quality in Kashan Wastewater Treatment Plant

  • Dehghani, Rouhullah;Miranzadeh, Mohammad Bagher;Tehrani, Ashraf Mazaheri;Akbari, Hossein;Iranshahi, Leila;Zeraatkar, Abbas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9권4호
    • /
    • pp.273-278
    • /
    • 2018
  • Due to the lack of water in arid and semi-arid areas, reuse of wastewater can be a suitable way to compensate for water scarcity. Therefore, in this research,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wastewater of Kashan Treatment Plant to use for irrigation was studied.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2016. pH, TSS, TDS, turbidity, COD, BOD5, Total Kjeldahl Nitrogen, Total Phosphorus,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nematode eggs of inlet and outle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Kashan were studi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wastewater quality parameter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tested with SPSS 22 (2014) software. The mean wastewater output of COD, BOD5, TSS, TDS and turbidity were respectively 86.6, 41.2, 11.11, 1095 mgL-1 and 17.5 NTU and the pH was equal to 7.22. Also, the average of Total Kjeldahl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22.4 and 2.2 mgL-1 respectively. The mean of Total Coliform and fecal coliform were 225, 161 MPN / 100 ml respectively. In addition, no nematode eggs were found in final efflu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eatment plants had a significant role in the control of microbial and organic pollution load of wastewater. Also, it is concluded that all parameter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of Iran's Department of Environment, so, it can be used for unrestricted irrigation.

열처리에 따른 신선편이 '로메인' 상추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fresh-cut 'Romaine' lettuce by heat treatment)

  • 배정미;이다움;정문철;최정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7-3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이 '로메인' 상추의 신선편이 가공 시 열수처리(45, 50, $55^{\circ}C/2min$)가 저장 중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각 처리구는 $5^{\circ}C$에서 5일간 저장한 후 관능품질, 호흡률, 에틸렌 발생량, 총균수, 갈변도, 총페놀, 비타민 C, 항산화 활성(DPPH, ABTS, FRAP)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모든 열처리 조건은 총페놀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45^{\circ}C$ 처리시에는 호흡과 에틸렌 발생이 증가하고 비타민 C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갈변 억제 효과도 미미하였다. $55^{\circ}C$ 조건에서는 조직의 연화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50^{\circ}C$ 열처리를 2분간 실시할 경우 조직감, 색, 미생물증식, 갈변도에서 가장 우수한 품질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저장 후 비타민 C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50^{\circ}C$ 열처리 조건은 신선편이 '로메인' 상추의 저장 중 품질 및 항산화 활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식염 고추장 양조시 항균물질 혼합첨가의 영향 (Effect of Combined Use of various Anti-microbial Materials on Brewing of Low Salted Kochujang)

  • 박선주;김동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87-294
    • /
    • 2007
  • 소금농도를 9%에서 6%로 줄이고 항균물질로 알코올과 겨자, 키토산을 혼합첨가 하여 제조한 저식염 고추장의 숙성중의 효소활성도와 미생물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숙성 중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식염 9%인 대조구에서 심하였고, 숙성 중에 효모수는 증가하였으나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로 효모수를 조절할 수 있었다. 고추장 숙성 중 ${\beta}-amylase$ 활성은 항균물질 첨가시 증가하였으나 ${\alpha}-amylase$와 protease 활성은 조금 감소하였다. 고추장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L차 a-, b-값이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첨가 고추장이 $({\Delta}E)$값의 변화가 적었다. 적정산도는 항균물질의 첨가로 숙성 후기에 저하되었으며, 산화환원전위의 저하는 대조구에서 심하였다. 고추장 숙성 중 총당의 감소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에서 적어 환원당량이 많았으며, 숙성 후기의 알코올의 생성은 알코올에 키토산을 혼합 첨가한 고추장(EC)에서 높았다. 고추장 숙성 중기까지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였고, 숙성중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은 알코올-겨자-키토산 혼합 첨가구(EMC)에서 적었다. 12주 숙성된 고추장을 관능 평가한 결과 색과 향기에서 알코올(E) 또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가 좋아 저식염 고추장 제조시 알코올 또는 알코올-겨자를 혼합 첨가하는 것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양호하였다.

함안지역 지하수의 비소(As) 함량과 미생물 군집 특성과의 연관성 검토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Related to Arsenic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ccurring in Haman Area, South Korea)

  • 김동훈;문상호;고경석;김성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6호
    • /
    • pp.655-666
    • /
    • 2020
  • 본 연구는 함안지역 고농도 비소 오염 지하수의 미생물 군집 특성 분석을 통해 지하수 내 비소 산출 특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함안지역 지하수는 0~757.2 ㎍/L 농도 범위의 비소로 오염되어 있으며, 이는 국내에서 보고된 가장 높은 자연기원 지하수 비소 오염 농도를 나타낸다. 전체 200개 시료 중 29개(14.5%)에서 먹는물 수질 기준인 10 ㎍/L 이상의 비소 농도가 관측되었으며, 암반 지하수 관정(80~100 m 심도)에서는 50 ㎍/L 이상인 시료가 8개(4%)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함안군 북측 지역에는 비소 함량이 100 ㎍/L 이상인 관정이 7개 존재하는 특징을 보였다. 고농도 비소 오염지역 지하수의 미생물 군집 분석 결과, 8개 시료에서 서로 상이한 군집 특성을 보였으며 Proteobacteria가 평균 61.5%로 가장 우점하였다. 속(genus) 수준에서는 혐기성 균인 Gallionella속과 Methermicoccus 속, 호기성 비소 환원균인 Acinetobacter속이 각각 12.8%, 7.3%, 7.8%의 높은 비율로 존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연구 지역의 지화학적 특성과 지하수 내 미생물의 생지화학적 기작의 복합적 반응에 의해 고농도 비소 오염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지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군집에 대한 정보는 지하수 내 고농도 비소의 생성 기원과 이들의 제어 기술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미생물 첨가와 사일로 밀도가 총체벼 사일리지의 영양소 함량, 발효특성 및 호기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bial Additives and Silo Density on Chemical Compositions, Fermentation Indices,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 Crop Rice Silage)

  • 주영호;정승민;서명지;이성신;최기춘;김삼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6-1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첨가제와 사일로 밀도가 총체벼 곤포 사일리지의 영양소 함량, 발효특성 및 호기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미생물 첨가와 사일로 밀도는 사일리지의 영양소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INO 시험구에서 lactate 함량, lactate와 acetate 비율 및 LAB는 감소하였고, propionate 함량, yeast 및 호기적 안전성은 증가하였다. 사일로 밀도는 pH와 lactate 함량에 영향을 미쳤으나, 처리 구간 차이는 매우 적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L. brevis 5M2와 L. buchneri 6M1을 포함한 혼합형 LAB 첨가제 사용은 총체벼 곤포 사일리지의 호기적 안전성 개선에 유리하며, 사일로 밀도는 베일 압력이 430~770 kgf/cm2일 때 정상적인 사일리지 발효가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