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status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1초

3세이하의 어린이의 치아우식증과 관련된 미생물학적 선별검사 (CARIES-RELATED MICROBIOLOGICAL SCREENING IN CHILDREN UNDER THREE YEARS OF AGE)

  • 박재홍;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8-737
    • /
    • 2003
  • 3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구강 내 미생물과 타액완충능이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87명의 어린이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치태와 자극성타액을 각각 면봉과 면구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0.94%의 lactic acid를 타액 표본에 첨가하기 전과 후의 pH를 각각 측정하였고 타액표본을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선택배지와 비선택배지에 접종하였다. Mutans streptococci (MS), lactobacilli (LB), total viable count (TVC)의 집락수와 타액의 pH와 완충능을 어린이의 치아우식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극성타액과 치태 모두에서 MS와 LB가 치아우식증과 높은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2. 치아우식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미생물의 집락수는 다음과 같았다. 1) 자극성 타액 1 ml당 MS 집락수가 $10^5$ 이상 2) 치태 1 ml당 MS 집락수가 $2{\times}10^5$ 이상 3) 자극성타액 1 ml당 LB 집락수가 $10^3$ 이상 4) 치태 1 ml당 LB 집락수가 $10^3$ 이상 3. 타액의 pH와 완충능은 유아기우식증과 관련이 없었다. 4. MS 검사는 LB 검사 보다 높은 예측치 (predictive value)와 교차비 (odds ratio)를 보였다. 5. MS 집락수는 어린이에 있어서 치아우식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믿을만한 미생물학적 검사로 일반적인 세균배양법을 이용하거나 상품화된 검사기구를 이용하여 쉽게 임상에 적용할 수 있다.

  • PDF

우리나라 도계장 수거계육의 미생물학적 위생실태 조사 (Survey on the Statu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Chicken Meats Collected from Poultry Processing Plants in Nationwide)

  • 우용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86-192
    • /
    • 2007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규모로 15개 시 도에 위치한 도계장에서 직접 수거한 도계육에 대하여 미생물 오염도 조사로서 총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포도상구균수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특히 주요 인수공통 병원성 세균들인 Salmonella 속균과 Campylobacter jejuni,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E. coli O157:H7 균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도계장에서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처리를 위해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인 염소(20mg/L포함)를 첨가한 염소수로서 수세한 처리계육과 그렇지 않은 비처리 도계육 상호간에 대해서도 Salmonella 속균의 분리율과 기타 균종의 억제효과에 대해서도 비교조사를 수행하였다. 먼저 예비조사로서 강원지역을 비롯한 전국 6개 시 도의 도계장 유래 계육에 대해서 세균오염도의 비교조사에서는 포도상구균수, 대장균군수 및 총세균수의 순서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이 성적은 시판계육의 미생물 오염도 수준보다는 $10{\sim}100$배 이상 낮은 오염도 성적이었다. 그리고 동일계육에 대한 Salmonella 속균의 분리율은 63.3%(19/30)였고, S. enteritidix (33.3%)가 가장 지배적인 혈청형이었으며, 동시에 S. typhimurium (3.3%), S. muenchen (30.0%)도 분리되었다. 하편, 염소수로 세척한 도계육은 총세균수와 대장균군수의 비교조사에서 비처리 계육보다도 약 100배정도로 균수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포도상구균수에서는 양자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알았다. 또한 Salmonella 속균에 대한 억제효과의 비교조사에서도 20 ppm의 염소처리로서는 포도상구균과 마찬가지로 Salmonella 속균에 대해서도 뚜렷한 억제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보다 확대된 규모의 조사결과에서 제주도를 포함한 부산, 경남, 대구, 경북, 전남, 광주, 전북, 충남, 대전, 충북, 강원, 서울, 인천 및 경기지역을 포함하여 총 15개 시 도의 도계장 수거계육에서 Salmonella속균은 58.3%(67/115)에서 분리되었고, S. muenchen (57.3%)과 S. enteritidis (22.7%)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인수공통병원균 중에서는 L. monocytogenes(43.5%), C. jejuni(37.4%), S. aureus(30.4%)의 순서로 분리되었으나, E. coli O157:H7은 국내 계육에서 전혀 분리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도계육이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시판되기 위해서는 최종적인 도계공정 이후 다양한 유통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교차 및 추가오염의 기회를 줄이기 위한 보다 철저한 위생관리 대책과 보완대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 성적을 통하여 비로소 확인할 수 있었다.

볏짚 Silage 발효를 위한 효모의 첨가 효과 (Effect of Yeast Addition in Rice Straw Silage Fermentation)

  • 옥지운;이상민;이신자;임정화;강태원;정희영;문여황;이성실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91-698
    • /
    • 2006
  • 볏짚의 silage의 발효를 위하여 기질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고려한 효모 3종 (Saccharomyces cerevisiae Hansen, Humicola grisea var. thermoidea, Candida glabrata)을 각각 접종한 구와 무처리 대조구를 포함하여 총 4 처리구를 두고, silage 저장기간별(1, 3, 6, 9, 15, 20일) pH와 조단백질함량 변화, 총 균수 및 균주의 군집상황을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Silage의 pH 변화는 무처리구에서는 발효 전 기간동안 약 5.47~5.67 범위로서 전혀 변화가 없었으나 효모 첨가구에서는 발효 6일째부터 약 4.3대로 크게 떨어진 이후, 발효 20일까지 계속 유지되었다. Silage의 조단백질 함량은 무처리구의 경우, 전 기간 동안 일정하였으나 효모 처리구는 발효 6일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는데, 발효 15일째를 기준으로 효모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 38~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단백질 함량의 증가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효모 처리구에서 SCP가 다량 합성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생균수 측정과 전자현미경 사진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본 시험에서 사용된 효모 Saccharomyces cer- evisiae Hansen과 Candida glabrata는 볏짚 silage 발효 균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s of Adaptive Laboratory Evolution in Industrial Microorganisms

  • Lee, SuRin;Kim, P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793-803
    • /
    • 2020
  • Adaptive laboratory evolution (ALE) is an evolutionary engineering approach in artificial conditions that improves organisms through the imitation of natural evolu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multi-level omics technologies in recent decades, ALE can be performed for various purposes at the laboratory level. This review delineates the basics of the experimental design of ALE based on several ALE studies of industrial microbial strains and updates current strategies combined with progressed metabolic engineering, in silico modeling and automation to maximize the evolution efficiency. Moreover, the review sheds light on the applicability of ALE as a strain development approach that complies with non-recombinant preferences in various food industries. Overall, recent progress in the utilization of ALE for strain development leading to successful industrialization is discussed.

Enzyme Based Biosensors for Detec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s-A Review

  • Nigam, Vinod Kumar;Shukla, Pratyoosh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1호
    • /
    • pp.1773-1781
    • /
    • 2015
  • Environmental security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for the safety of living organisms from a number of harmful pollutants in the atmosphere. Different initiatives, legislative actions, as well as scientific and social concerns have been discussed and adopted to control and regulate the threats of environmental pollution, but it still remains a worldwide challeng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certain sensitive, rapid, and selective techniques that can detect and screen the pollutants for effective bioremediation processes. In this perspective, isolated enzymes or biological systems producing enzymes, as whole cells or in immobilized state, can be used as a source for detection, quantification, and degradation or transformation of pollutants to non-polluting compounds to restore the ecological balance. Biosensors are ideal for the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a reliable, specific, and sensitive way. In this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different types of microbial biosensors and mechanisms of detec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toxicants are discussed.

실관 막 생물 반응기 (Hollow Fiber Membrane Bioreactor)

  • 김인호
    • 공업화학
    • /
    • 제5권6호
    • /
    • pp.911-916
    • /
    • 1994
  • 실관 막은 1970년대에 개발된 이래 인공신장기에 응용되어 막 장치개발의 대표적인 성공 예로 인용되고 있다. 실관 막을 생물 반응기로 사용하여 동물세포의 배양에 성공한 이래로 효소 고정화, 미생물 세포 배양, 그리고 식물 세포 배양에 이르기까지 실관막은 고농도, 고생산성 생물 반응기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실관 막을 이용한 생물 반응기의 연구 현황과 장래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바이오기술을 이용한 식품소재 개발의 국내·외 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novel food materials developed by using biotechnology)

  • 유상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2권2호
    • /
    • pp.171-187
    • /
    • 2019
  • Novel food materials can be produced based on biotechnology such as genetic recombination, microbial fermentation, and enzymatic engineering by utilizing living organisms such as animal, plant, and microorganism or by applying the enzymes isolated from them. Especially,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novel prebiotics and probiotics attracted great attention worldwide in the food industry, of which the research and industrial trends in food biotechnology field are promoting the production of next generation sweeteners and proliferation of beneficial bacteria in gastrointestinal tract.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ovel food materials by domestic bioprocessing technology have been sluggish due to the GMO/LMO food safety issues. Meanwhile, the US and EU do not perceive badly about gene manipulation technology, and the research is most active in the fields of crops and GMMs, respectively. Genetic scissors, which are considered as next generation technology, are notable since foreign genes do not remain in final products.

Bacterial Contamination and Disinfection Status of Laryngoscopes Stored in Emergency Crash Carts

  • Choi, Jae Hyung;Cho, Young Soon;Lee, Jung Won;Shin, Hee Bong;Lee, In Ky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3호
    • /
    • pp.158-164
    • /
    • 2017
  • Objectives: To identify bacterial contamination rates of laryngoscope blades and handles stored in emergency crash carts by hospital and area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intubation attempts. Methods: One hundred forty-eight handles and 71 blades deemed ready for patient use from two tertiary hospitals were sampled with sterile swabs using a standardized rolling technique. Samples were considered negative (not contaminated) if no colonies were present on the blood agar plate after an 18-hour incubation period. Samples were stratified by hospital an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intubation attempts (10 attempts per year) using the ${\chi}^2-test$ and Fisher exact test. Results: One or more species of bacteria were isolated from 4 (5.6%) handle tops, 20 (28.2%) handles with knurled surfaces, and 27 (18.2%) blad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n the handle tops and blades between the two hospitals and two area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intubation attempt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hospitals and two areas in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on the handles with knurled surfaces (p<0.05). Conclusions: Protocols and policies must be reviewed to standardize procedures to clean and disinfect laryngoscope blades and handles; handles should be re-designed to eliminate points of contact with the blade; and single-use, one-piece laryngoscopes should be introduced.

Role of RIN4 in Regulating PAMP-Triggered Immunity and Effector-Triggered Immunity: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 Ray, Sujit Kumar;Macoy, Donah Mary;Kim, Woe-Yeon;Lee, Sang Yeol;Kim, Min Gab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7호
    • /
    • pp.503-511
    • /
    • 2019
  • As sessile organisms, plants have developed sophisticated system to defend themselves against microbial attack. Since plants do not have specialized immune cells, all plant cells appear to have the innate ability to recognize pathogens and turn on an appropriate defense response. The plant innate immune system has two major branches: PAMPs (pathogen associated molecular patterns)-triggered immunity (PTI) and effector-triggered immunity (ETI). The 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self and non-self is a fundamental feature of living organisms, and it is a prerequisite for the activation of plant defenses specific to microbial infection. Arabidopsis cells express receptors that detect extracellular molecules or structures of the microbes, which are called collectively PAMPs and activate PTI. However, nucleotidebinding site leucine-rich repeats (NB-LRR) proteins mediated ETI is induced by direct or indirect recognition of effector molecules encoded by avr genes. In Arabidopsis, plasmamembrane localized multifunctional protein RIN4 (RPM1-interacting protein 4) plays important role in both PTI and ETI.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RIN4 functions as a negative regulator of PTI. In addition, many different bacterial effector proteins modify RIN4 to destabilize plant immunity and several NB-LRR proteins, including RPM1 (resistance to Pseudomonas syringae pv. maculicola 1), RPS2 (resistance to P. syringae 2) guard RIN4. This review summarizes the current studies that have described signaling mechanism of RIN4 function, modification of RIN4 by bacterial effectors and different interacting partner of RIN4 in defense related pathway. In addition, the emerging role of the RIN4 in plant physiology and intercellular signaling as it presents in exosomes will be discussed.

초음파를 활용한 식품 살균 기술의 연구 현황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microbial disinfection of food using ultrasound)

  • 송경모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3호
    • /
    • pp.277-283
    • /
    • 2020
  • 식품의 보존성 및 안전성 증대를 위해 살균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가열 살균 기술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공정 중 식품의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한 살균 기술로 신공정 기술을 활용한 비가열 살균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초음파 기술은 특유의 캐비테이션 현상으로 미생물의 파괴가 촉진되어 살균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음파 기술 단독으로는 사멸 효과가 낮으며, 다양한 공정기술과 함께 적용하여 사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초음파와 함께 처리할 수 있는 공정으로는 가열, 고압, 화학적 처리 등 전통적인 살균 방법 뿐 아니라 자외선 조사, PEF 등 신공정 기술이 있다. 초음파 기술을 적용한 다른 공정과 달리 살균 기술은 아직 실험실 수준에 머물러 있어 산업적 적용을 위한 장치의 개발, 최적 공정 확립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