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 Bubbl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7초

사각 마이크로 채널 내 Taylor 유동 특성 예측에 대한 연구 (Prediction of Two-phase Taylor Flow Characteristics in a Rectangular Micro-channel)

  • 이준경;이관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7호
    • /
    • pp.557-56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600{\times}600{\mu}m$ 사각 마이크로 채널에서의 기-액체 테일러(슬러그) 흐름의 특성을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 유체로는 질소와 물을 사용하였으며, 액체 및 기체 겉보기 속도는 각각 0.01 ~ 3 m/s, 0.1 ~ 3 m/s 의 범위에서 테일러 흐름이 나타나는 구간에서만 데이터를 얻었다. 기포 길이, 액체 슬러그 길이, 기포 속도 그리고 기포 생성 주파수를 고속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미지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제시된 측정값(기포 길이, 액체 슬러그 길이, 기포 속도)과 이전 문헌에서 제안된 경험적 모델의 비교결과 대부분 오차가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포와 액체 슬러그 길이 그리고 기포 속도에 대한 개선된 모델을 제시하였고, ${\pm}20%$ 이내의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기포 생성 주파수는 기포 길이, 액체슬러그 길이 그리고 기포 속도의 관계를 이용하여 ${\pm}20%$ 이내에서 예측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오존용해탱크 구조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마이크로오존버블 생성 (Efficient Micro-Ozone-Bubble Generation by Improving Ozone Dissolution Tank Structure)

  • 박용화;이광희;장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549-555
    • /
    • 2017
  • 본 연구는 오존용해탱크 구조에 따라 마이크로오존버블의 분포, 에너지 소비, 수처리 효율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오존용해탱크 내부의 격판은 압력의 변화, 전단력, 선회유동을 발생시키고 이는 버블 직경의 크기에 변화를 준다. 버블 직경의 크기는 내부의 격판에 따라 10.5%까지 차이가 났다. 오존 버블 직경의 변화는 에너지 소비와 관련이 깊다. 오존 버블이 작아질수록 버블생성에너지는 높아지지만 용존 효율이 올라가면서 오존생산에너지는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버블생성에너지와 오존생산에너지의 합이 최소인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생성하는 오존용해탱크를 선정하여야 한다. 동일한 양의 오존가스을 방류수에 주입하기 위해 소비된 에너지는 내부의 격판에 따라 2.5%까지 차이가 났다. 하지만 수처리 효율까지 고려한다면 오존용해탱크 선정 조건이 달라진다. 오존 버블이 작아질수록 증가하는 자유라디칼이 수처리에 매우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동일한 오존주입농도에서도 내부의 격판에 따라 수처리 효율이 10.4%까지 차이가 났다. 따라서 수처리 효율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마이크로오존버블을 생성하는 오존용해탱크 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마이크로버블과 자외선/과산화수소 산화공정을 이용한 광산배수의 중금속 처리 특성 (The Treatment Properties of Heavy Metals in Acid Mine Drainage with Micro-bubble and UV/H2O2 Oxidation Process)

  • 정용준;정재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3-309
    • /
    • 2017
  • Aeration with low energy micro-bubble generation and $UV/H_2O_2$ processes was introduce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oxidation treatment for acid mine drainage. During 10 hours of aeration with micro-bubbles, Fe and As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to 18.1 and 61.8%, respectively, while Cu, Cd, Al were kept at influent concentrations. Other heavy metals such as Mn, Cr, Pb, Zn, and Ni concentrations fluctuated due to the repetition of oxidation and release. Twenty days of aeration indicated the oxidation possibility for Cu, Cd, and Al. With the employment of $UV/H_2O_2$ processes, more than 77% of Cu and Fe removed, whereas slightly more than 30% of Cd and Al removed.

인공호소에서 마이크로 버블 포기에 의한 수리학적 영향반경과 용존산소 분포 (Hydraulic Impact Scope and Dissolved Oxygen Distribution by the Micro-bubble Aeration in an Artificial Lake)

  • 최선화;박형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4호
    • /
    • pp.263-27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호소 수체에 산소를 포기시켜 주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충남 아산에 위치하고 있는 죽산호에 설치하여 수체에 미치는 수리학적 영향반경과 용존산소 (DO) 농도 분포를 조사하였다. 수체에 미치는 수리학적 영향반경은 로다민 염료를 이용한 추적실험을 하였으며, 마이크로 버블 제트류의 수평방향으로 총 160 m 길이의 가이드라인을 설치하여 10 m 지점마다 수심 1 m, 2 m, 3 m에서 로다민 농도, 수온, DO 등을 측정하였다. 죽산호의 로다민 배경농도는 $0.3-0.5{\mu}g/L$이었고, 용액 주입 후 15분 이내에 20-40 m 거리까지 확산되었으며, 거리 50-120 m의 수심 2 m 지점에서 로다민 농도가 $3.1-12{\mu}g/L$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제트류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 범위는 40-50 m이고, 그 이후에는 이류 및 확산에 의한 영향으로 120 m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 DO 농도는 경과시간과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7.4-12.6 mg/L의 농도를 유지하였고, 마이크로 버블 적용 전의 호소 바닥층 DO 0.2 mg/L에서 운영 후 8.0 mg/L 이상으로 DO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마이크로 버블 포기 기술은 농업용 호소의 수질 관리와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로다공성 코팅된 인접 복수 발열체에 대한 PF5060의 냉각 특성 (Characteristics of Cooling for the Adjacent Double Micro-Porous Coated Surfaces in PE5060)

  • 김태균;김윤호;이규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0권7호
    • /
    • pp.646-655
    • /
    • 2006
  • The present research is an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oling behavior for the adjacent copper blocks with surface roughness or micro-porous coated surfac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saturation state or within subcooled states of PF5060. The effects of heater orientation and the intervals between heating surfaces or substrates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heat flux conditions. The boiling performance of copper block with micro-porous coated surface was better than that of copper block with surface roughness. It is understood that the bubble sweeping enhances boiling performance for the heaters with inclinations of $\theta=45^{\circ}\;and\;\theta=90^{\circ}$, where as the bubble flattening decreases boiling performance for the heaters with inclinations of $\theta=135^{\circ}\;and\;\theta=180^{\circ}$. In comparison to upper heater and below heater with orientation, the upper heater has lower superheat temperature than the below heater due to the bubble sweeping. It is also found that boiling performance decreases in the case of adjacent double heaters with only 0.2cm substrate interval.

An Ozone Micro-bubble Technique for Seed Sterilization in Alfalfa Sprouts

  • Kwack, Yurina;Kim, Kyoung Koo;Hwang, Hyunseung;Chun, Changho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901-905
    • /
    • 2014
  • The efficacy of ozone micro-bubble water (OMBW) in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s on alfalfa seed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surface of alfalfa seeds using microscopy and found that many cracks and crevices existing on the surface could harbor pathogens. Alfalfa seeds were treated with tap water (TW), micro-bubble water (MBW), ozone water (OW), ozone micro-bubble water (OMBW), and chlorine water (CL) for 5 min, and total microbial population, E. coli and Salmonella spp. colonies were determined. Also, the sterilized seeds were germinated and cultivated for 5 d after sowing to investigate the percentage of germination and the growth of alfalfa sprouts. The treatments with OMBW and CL were most effective in reducing total microbial populations and E. coli was eliminated by OW, OMBW, and CL treatments. CL treatment reduced the percentage of germination and fresh weight of alfalfa sprouts, but OMBW did not cause any negative effects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alfalfa sprou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MBW can be used as an effective sanitizer for eliminating seed-borne pathogens without detrimental effects on seed viability.

X-ray 미세 영상기법을 이용한 불투명 튜브 내부 미세기포의 크기 및 속도 동시 측정 (Simultaneous measurement of size and velocity of micro-bubbles in an opaque tube using X-ray micro-imaging technique)

  • 김석;이상준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46
    • /
    • 2003
  • The x-ray micro-imag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measure the size and velocity of micro-bubbles moving in an opaque tube simultaneously. Phase contrast images were obtained at interfaces of micro-bubbles between water and air due to different refractive index. Micro-bubbles of $20\~120{\mu}m$ diameter moving upward in an opaque tube $(\phi=2.7mm)$ were tested. For two different working fluids of tap water and DI water, the measured velocity of micro-bubbles is rough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bubble siz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