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anol Extracts

검색결과 1,991건 처리시간 0.024초

추출용매에 따른 비단풀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prepared using different solvents)

  • 권유리;이현령;황소현;권오준;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52-258
    • /
    • 2016
  • 비단풀의 이용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추출용매에 따른 효율적인 추출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물, 에탄올, 메탄올 세 가지 용매별로 환류냉각 추출한 건조 비단풀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율은 메탄올,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이 각각 21.88%, 21.09% 및 20.63% 순으로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g당 각각 273.25 mg/g, 20.05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에탄올 추출물이 8.42 mg/g으로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환원력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비단풀 추출물의 다양한 생리활성 검z증을 위하여 효소실험을 실시하였으며 HMG-CoA 저해활성의 경우,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물 추출물이 조금 더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 및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의 경우 비단풀 메탄올 추출물이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비단풀 메탄올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향후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Chinese Cabbage 잎과 뿌리가 메탄올층의 Bromobenzene 간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the Methanol Fraction of Chinese Cabbage on Liver Injury in Rats Treated by bromobenzene)

  • 이효정;김관현;이은옥;최종원;강경선;윤병수;김성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177-1181
    • /
    • 2003
  • Chinese cabbage is a vegetable of Cruciferous family. It was usually consumed as Kimchi. It was known to have amount of vitamin c. Recently the trend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combined with oriental herbs. For this aim th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hepatoprotective effect via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and root of Sanchon Chinese cabbage(Brassica campetris L.) comparatively. The methanol extracts of Chinese cabbage were test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and the activities of free radical generating enzyme in vitro in bromobenzene-treated rats. The methanol extracts of chinese cabbage reduced bromobenzene-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and inhibited the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The methanol extracts of chinese cabbage did not activate amionopyrine N-demethylase, aniline hydroxyl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Epoxide hydrolase activity was decreased by bromobenzene, which was restored by pretreatment of the methanol extracts of chinese cabbag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ethanol extracts of Chinese cabbage is reduced by enhancing the activity of epoxide hydrolase.

시판 갈근탕의 항산화능의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bilities of Commercial Gal Geun Tang)

  • 김동렬;곽결순;정석문;이승철;하정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28-732
    • /
    • 2003
  • 5개 회사의 시판 갈근탕 엑스과립 3 g에 물과 메탄올 97$m\ell$를 각각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물을 조제한 다음 항산화능을 비교 조사하였다. 탄닌산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총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평균 0.14 mM이었고, 제조회사에 따라 0.07 mM에서 0.23 mM의 범위를 보였다. 물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5개 제품의 평균값이 0.23 mM로서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상당히 높았고, 0.12 mM에서 0.28 mM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메탄올 추출물의 평균값이 85.54%로 대조구인 0.1% BHA의 72.26%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고, 물 추출물의 평균값은 69.7%로서 대조구인 0.1% 아스코르빈산의 92.7%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TBARS 측정 에 의한 지질 과산화 저해율은 메탄올 추출물의 평균 저해률은 26.95%이었고, 전체적으로 17.02~37.36%의 범위를 보였다. 한편 물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 저해율은 평균 18.62%로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 평균값은 0.77단위로 대조구의 환원력 1.05단위의 73.1% 수준이었고, 물 추출물은 평균 0.88 단위이었다. 따라서, 시판 갈근탕 엑스과립은 제조 회사와 추출용매에 따라 항산화능의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에탄올-물과 메탄올-물 혼합 용매를 이용한 대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Extracts by Mixed Solvents Ethanol-Water and Methanol-Water)

  • 김지영;맹영선;이기영;이성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93-498
    • /
    • 1996
  • The effective extrac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from soybeans was studied by the mixed solvents of methanol or ethanol with water at 30$^{\circ}C$ and 85$^{\circ}C$. At accelerated peroxidation condition, POV (peroxide value) of soybean oil and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of egg yolk liposome with extracts added, were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In the peroxidation of soybean oil, antioxidative substance of soybeans was extracted more effectively by methanol and at higher temperature 85$^{\circ}C$, and the deffated and roasted soybean extract (DRS) showed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But in the Peroxidation of egg yolk liposome, methanol extract from the roasted soybeans (ROS) showed higher activity.

  • PDF

L1210 세포에 대한 약용 식물의 세포독성 검색 (Screening on Cytotoxicity of Medicinal Plants against L1210 Cell)

  • 배기환;민병선;도동선;김남수;양기종;안병준
    • 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91-495
    • /
    • 1992
  • For the research of cytotoxic natural products, 50 medicinal plants were extracted with benzene and methanol, separately, and screened against L1210 cells. From the results(Table I), 6 samples showed cytotoxicity both in benzene and methanol extracts of 17 samples in benzene extracts and 3 samples in m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Generally, the cytotoxicity exhibited high frequency (34%) in benzene extract but low frequency in methanol extract (6%), it meant that active cytotoxic components had less polarity. $ED_{50}$ values less than $10\;{\mu}g/ml$ were observed in 17 medicinal plants.

  • PDF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의 라디칼 활성, Tyrosinase 억제 활성, 항알레르기 활성 검색 (Screening of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s, Tyrosinase Inhibition and Anti-allergic Activities Using Opuntia ficus-indica)

  • 윤진석;이봉호;최병욱;박관하;이남호
    • 생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12-415
    • /
    • 2000
  • We have examined radical scavenging effects,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and anti-allergic activities on the methanol extracts of Opuntia ficus-indica cultivated in Cheju island. By the comparison of the four samples, methanol and 50% methanol extracts of respective fruits and stems of Opuntia, the most desirable activities were obtained in the sample of the stem's methanol extracts. Based on this analysis, further study to identify the active components in this sample is warranted.

  • PDF

Ammonia as Extractant and Reactant for Ginsenosides

  • Cho In-Ho;Hohaus Eberhard;Lentz Harro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86-490
    • /
    • 2002
  • In different approaches ginsenosides were extracted from Korean ginseng roots by ammonia and for comparison with methanol-water and water. The extracts have been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o evaluate yield and selectivity of extractions of ginsenosides. Water supplied the lowest yield. The yields of extracts with liquid ammonia were higher than those with methanol-water. However, this is partly due to the conversion of malonyl ginsenoside to normal ginsenosides by ammonia. It was proved by HPLC that malonyl-ginsenosides $m-Rb_1,\;m-Rb_2,$ m-Rc and m-Rd were converted to the corresponding neutral ginsenosides. Furthermore, ginsenosides from ginseng roots were extracted by alkaline methanol-water $(60\%)$ solutions. Alternatively, the extracts of the methanol-water $(60\%)$ extraction were treated with sodium hydroxide solution. Both methods also convert the malonyl-ginsenosides to neutral ginsenosides.

  • PDF

자생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씨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al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Seed Extracts Using Various Solvents)

  • 김민아;;성종환;정헌식;김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4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al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seed extracts using 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methanol (CM, 2:1, v/v), n-butanol and ethyl acetate (EA). The total phenol content of the five extracts ranged from 37.29 mg/g to 55.53 mg/g. Moreover, the content was high in the 70% methanol and, 70% ethanol extracts, but low in the n-butanol extract. On the contrar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decreased in the order of n-butanol (2.93 mg/g), EA (2.67 mg/g), 70% methanol (1.00 mg/g), 70% ethanol (0.88 mg/g) and CM (0.67 mg/g) extracts. The $NO_2$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by ${\beta}$-carotene bleaching assa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ability decreased in the order of 70% methanol, 70% ethanol, CM, EA and, n-butanol extracts; further, a similar tendency was also observed in the total phenol contents.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al haw seeds was closely related to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Therefore, haw seeds might be usefully applied to natural antioxidants as well as functional foods.

한국산 버섯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력 검색과 특성 (Determi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hibitory Activity of Mycelial Extracts from Several Korean Mushroom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이재경;윤정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2-144
    • /
    • 2004
  •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는 열수추출물에서는 Fomitopsis pinicola가 15 mm의 생육저해환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Codyceps militaris, Coriolus versicolor, Phellinus linteus, Fomitella traxinea가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열수 추출물들의 pH가 낮았으나 항균력이 없는 것으로 보아서 버섯추출물의 수소이온 농도는 항균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다. Methanol 추출물에서도 Fomitopsis pinicola가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생육저해환의 크기가 44 mm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버섯의 주성분은 당과 단백질이며 주로 단백다당체를 이루고 있다. 이를 구성하는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다른 기작을 보이는 갓으로 추정되며 결합하고 있는 형태도 기작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을 통해 Fomitopsis pinicola methanol 추출물이 DEAE-Sepadex의 초기 분획에서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이 분획은 당과 단백질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Fomitopsis pinicola, Codyceps militaris는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뛰어나 기능성식품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통 메주에서 분리된 단독균으로 제조한 메주추출물의 혈액암세포에 대한 저해효과 (Inhibitive Effects of Meju Extracts Made with a Single Inoculum of the Fungi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Meju on the Human Leukemia Cell Line)

  • 한정;김현정;이상선;이인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4호통권91호
    • /
    • pp.312-317
    • /
    • 1999
  • 우리나라 중요한 식품 원료인 전통 매주로부터 분리한 단독균의 접종 메주의 암세포 저해효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민간유래의 혈액암 세포주에 대한 저해활성을 MTT assay로 분석하였다. 먼저 전통 메주로부터 21종의 단독균을 분리한 후 각각 접종하여 발효된 단독균의 메주시료를 조제한 다음 80% methanol로 추출하였다. 메주 메탄올추출물은 혈액암세포중 HL60에서는 다소 낮은 성장 저해효과를 보였으나, U937과 Jurkat cell에서는 저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ucor속과 Absidia속 Aspergillus속으로 제조된 메주들에서 이들 혈액암세포에 대해 저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메주 메탄올추출물들은 인간의 정상 lymphocyte에서 대해서는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가 거의 없음을 보며주었다. 이는 단독균의 메주시료가 가지는 세포독성이 암세포에 대한 특이적인 작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